냉전 4

아프리카의 국제관계-역사적 고찰

1884~1885 베를린회의눈 에티오피아와 라이베리아를 제외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을 잃었고, 아프리카의 국제 관계는 유럽의 식민지배를 받는 계기가 되었다. 1935~1945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은 세계에서 강력한 지역이었던 유럽이 쇠퇴하고 식민지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는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의 운동이 발생했다. 이 시기에는 또한 아프리카 국제 관계가 아프리카에 의해 결정되기 시작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1947~1989 냉전과 미·소의 각축시기는 아프리카 신생 독립국들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구(舊)소련연방의 비대칭적인 역학 관계 속에서 대리전을 치르는 양상을 보였다. 1989년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냉전이 종식되었지만 이념에 바탕을 둔 미국과 구(舊)소련연방 간 냉전은 차가운 평화(Cold..

콩고민주공화국의 냉전은 긴밀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발생한 지역분쟁이었다.

[세계의 분쟁지역]콩고민주공화국 내전은 아프리카 지역분쟁이며 자원이 있는 한 계속될 수 있다. 탈냉전시기에 아프리카는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했으며 아프리카 국가의 군사개입이 발생하여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생한 내전은 대표적인 사례로 ‘아프리카의 제1차 세계대전(Africa's World War I)’이라고 부르고 있다. 2002년 앙골라, 나미비아, 짐바브웨는 콩고민주공화국 정부 측에서 싸웠고, 르완다와 우간다는 반군편에서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를 전복시키고자 했다. 콩고민주공화국 내전에 군사를 파병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지역적 역학관계 속에서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잘 보여 준 사례였다. 냉전시기에는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했으나 탈냉전시기에는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와 지역..

1980년대 말부터 왜 아프리카에서 민주화가 시작되었을까?

많은 부분에 있어 1990년대 초 아프리카 정치사는 냉전의 소산이었다. 초강대국인 미국과 소련의 대결구도가 없었다면 아프리카에서 독재자들이 계속해서 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독립한 후 30여 년 동안 아프리카의 정치․경제 상황은 국제사회의 이데올로기 대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동서 냉전이 종식되고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국가들의 관심이 아프리카에서 멀어지면서 아프리카인들의 인식도 달라졌다. 강대국이 아프리카에 대한 국제적인 지원을 위해 더 이상 경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아프리카에 결정적인 변화의 동인이 되었다. 1990년 초기, 독립 이후 처음으로 아프리카의 통치자들은 외국 후원이나 지지보다 국내 지지가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아프리카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정권이 가지고..

아프리카의 정치 - 냉전이후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발전

아프리카의 정치 - 냉전이후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발전 30년 이상의 부패와 독재 정치를 겪고 난 후였던 1990년대 초에는 실제로 아프리카 전 대륙에서 강력한 정치적 개혁과 민주화를 보여주는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아프리카인들은 1989년 베닌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 초 여세를 몰아 독재적 지배에 저항하기 시작했다. 숨막힐 듯 답답하고 악화된 경제와 구 소련 및 동구 유럽의 몰락으로부터 자극 받은 아프리카인들은 다당제 정치체제와 시민의 자유 확대, 자유 선거를 요구했다. "본 게시글은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은 내용으로 무단복제를 하실 수 없습니다. 꼭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자유화의 물결은 남아공과 나이지리아의 민주화 과정으로 인해 최고조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 남아공은 1990년 2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