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 “세계를 진단한다<지구촌 곳곳의 민족분쟁에 대하여 : ① 르완다 종족분쟁”, 외대학보, 제 643호, 1995년 5월.
1997 “츠와나인의 문화사에 대하여”,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제 9집, 1997년 12월, pp. 95-138.
2000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12집, 2000년 12월, pp. 81-144.
200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 아프리카 硏究, 제 13호, 2001년 2월, pp. 81-144.
2001 "금의 도시,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 국토(국토연구원), 2001년 6월호, pp. 114-123.
200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의식의 관계연구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학과 학생들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13집, 2001년 6월, pp. 185-238.
200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과 국가건설(nation-building) 그리고 아프리카너(Afrikaner)의 역할“, 아프리카 硏究, 제 14 호, 2001년 12월, pp. 107-204.
2002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in South African Nation Building",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15집, 2002년 6월, pp. 135-186.
2002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국가건설 : 진실과 화해 위원회(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 TRC)가 역사청산, 국민화합, 그리고 민주화 과정에 기여한 역할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硏究, 제 15 호, 2002년 12월, pp. 29-80.
2003 “아프리카 정치 : 식민지시대 극복, 제3세계 정치 중심권 부상”, 자유공론, 제38권 4호, 통권 433호, 2003년 4월, pp. 102-106.
2003 “비극의 역사 위에서 희망을 찾다 : 케이프타운", GEO, 제12권 제 7호(통권125호), 2003년 7월, pp. 154-175.
2003 “스와힐리어 속담에 나타난 아프리카인의 문화적 정체성”,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18 집, 2003년 12월, pp. 39-74.
2003 "아프리카 역사학과 구전전통의 중요성“, 아프리카 硏究, 제 16 호, 2003년 12월, pp. 27-52.
2004 "아프리카 문화와 구전전통“, 미네르바, 통권 17 호, 2004년 봄호, pp. 26-40.
2004 “아프리카의 역사․문화적 정체성과 말의 힘”, 월간국제지역정보, 제 8권, 제 5 호, 2004년 5 월호, pp. 76-80.
2004 “아프리카인들의 시간개념과 약속”, 월간국제지역정보, 제 8 권, 제 6 호, 2004년 6 월호, pp. 72-75.
2004 “아프리카인의 장로정치(Gerontocracy)와 경험의 중요성”, 월간국제지역정보, 제 8 권, 제 7 호, 2004년 7 월호, pp. 78-82.
2004 “아프리카의 구전전통에 나타난 역사의식과 문화적 정체성 :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역사가 임봉기(imbongi)를 중심으로”,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20 집, 2004년 12월, pp. 33-76.
2004 "아프리카의 구전전통에 나타난 역사의식과 문화적 정체성 : 서부 아프리카의 구전역사가 그리오(griots)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硏究, 제 17 호, 2004년 12월, pp. 51-89.
2004, Jacobus A. Du Pisani & Kwang-Su, Kim, “Establishing the Truth about the Apartheid past : historians and the South Africa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frican Studies Quarterly, Vol.8, Issue 1, Fall 2004, pp. 76-95.(SCOPUS)
2005, “아프리카 중심주의적 시각에서 바라본 아프리카 역사학의 새로운 접근 : 아프리카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硏究, 제 19 호, 2005년 12월, pp. 41-76.
2006, “서부 아프리카의 구전역사가 그리오(Griot)와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 역사가 임봉기(Imbongi)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비교연구“,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24 집, 2006년 12월, pp. 51-81.
2007, “아프리카 중심주의(Afrocentrism) : 아프리카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아프리카 硏究, 제 21 호, 2007년 2월, pp. 55-77.
2007. Fall, "One-way traffic or highway to mutual benefit? Part 1: China and Africa in the era of Mao Zedong", International Area Review, vol. 10, no. 2, Fall 2007, pp. 3-27.
2008. “탄자니아 언어정책과 국가건설에 대한 역사적 고찰: 독립이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28 집, 2008년 12월, pp. 3-40.
2009. “아프리카 중심주의적 시각(Afrocentrism)에서 바라본 스와힐리 역사와 문명의 정체성 고찰”,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1호, 2009년 봄호, pp. 67-105.
2010.06. “르완다의 국가건설과 국민통합: 르완다 제노사이드(genocide) 이후 귀환한 난민들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31 집, 2010년 06월, pp. 57-102.
2011.06. “케냐의 언어정책과 국가정체성의 관계: 스와힐리어 정책을 중심으로”,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33 집, 2011년 06월, pp. 3-42.
2011.11.10 "문명의 교차점, 카사블랑카(Casablanca)", 국토, 2011년 11월호, pp. 72-77. 국토연구원
2012.06. “아프리카의 역사학과 구전역사: ‘말하는 북(talking drum)'을 통한 역사전승.”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35 집, 2012년 06월, pp. 3-36.
2012.08.31. “A History of the Bahurutshe: The Case of the Bahurutshe ba ga Moiloa's Lineage.”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36 집, 2012년 08월, pp. 51-107.
2012.12.30. "에티오피아 악숨 문명의 정체성: 아프리카 중심주의적 시각(Afrocentric perspective)에서.“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37 집, 2012년 12월, pp. 75-122.
2012.12. Kobus du Pisani and Kwang-Su, Kim. “The Obama factor: Responses in South Africa (2008-2009)" New Contree.No. 65, December 2012, pp. 139-162.
2013.2.28. “정허(Zheng He)의 항해를 통해 바라본 중국과 아프리카의 역사적 관계 고찰” 아시아연구, 제16권 1호, 2013년 2월. pp. 29-76.
2013.06. Kobus du Pisani and Kwang-Su, Kim. ""America’s Mandela": South African responses to the rise of Barack Obama” Journal for Contemporary History. Vol. 38, Issue 1, June, 2013. pp. 62-85.
2013.06.30. "세계의 언어정책 : 아프리카의 언어정책“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여름호), pp. 130-148.
2013.08.31. Kobus du Pisani and Kwang-Su, Kim. “Oral poetry as “voice” of the African people in the historical narrative: the case of the Bahurutshe ba ga Moiloa of Dinokana“ 아프리카 硏究, 제 34 호, 2013년 08월, pp. 35-66.
2014.02.28 Kobus du Pisani and Kwang-Su, Kim. “Strategies of Survival in Troubled Times and Unforgiving Places: The Bahurutshe ba ga Moiloa in the 19th Century“ 아프리카 硏究, 제 35 호, 2014년 02월, pp. 3-50.
2014.12.31. "1950-1960년 콩고민주공화국 바콩고동맹(ABAKO)의 정체성의 변화에 대한 고찰.“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43 집, 2014년 12월, pp. 3-48. (Kim, Kwang-Su. 2014. "A Study of the Change of ABAKO Identity from 1950 to 1960."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 43: 3-48.)
2015.02.28. “1990년대 이전 중국의 대 남부아프리카 외교정책 고찰.” 아시아연구, 제18권 1호, 2015년 2월. pp. 33-76.
2015.06.30.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지명 변경과 역사의 재맥락화: 새로운 정체성과 역사의식 만들기.”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 44 집, 2014년 06월, pp. 3-48.
2015.08.31. "The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of the Identity of the Kongo Kingdom in Pre-Independence DR Congo History."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45집, 2015년 8월, pp. 3-36. (Kim, Kwang-Su. 2015. "The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of the Identity of the Kongo Kingdom in Pre-Independence DR Congo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 45: 3-36.)
2016.02.15. “프랑스어권 콩고민주공화국 BDK의 정체성 고찰.” 프랑스학연구, 제75집, 2016년 2월 15일, pp. 245-277. (Kim, Kwang-Su. 2016. "A Study of Identities of Bundu dia Kongo(BDK) of the Francophone Democratic of Republic of Congo.” Revue d’Etudes Franco-Coréennes 75: 245-277.)
2016.03.30. “아프리카중심주의(Afrocentrism) 시각에서 바라본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의 역사적 맥락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프리카 르네상스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제35집, 2016년 3월 30일, pp. 383-418.
2016.05.31. “아프리카중심주의(Afrocentrisme) 시각에서 본 프랑스어권 콩고민주공화국 역사의 맥락화: 모부투의 정통성운동과 지명변경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연구, 제32집, pp. 165-198 (Kim, Kwang-Su. 2016c.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DR Congo's History focusing on the Afrocentrism: With Mobutu Sese Seko's Historical Consciousness on place name changes.” La Revue de l’etude de la culture francaise 32: 165-198.)
2016.12.21. “Project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Museum in the DRC and Korea’s New ODA Strategy: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DRC’s History and Culture.” African and Asian Studies 15(4): 408-442. SSCI, DOI: 10.1163/15692108-12341143 / ISSN: 1569-2094, E-ISSN: 1569-2108, http://booksandjournals.brillonline.com/content/journals/10.1163/15692108-12341143)
2016.12.31. "쿠바와 남부 아프리카의 역사적 관계 고찰: 앙골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중심으로."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49집, 2016년 12월, pp. 3-42.
2017.05.25. “프랑스어권 콩고민주공화국 마얄라연합(BDM)의 정치적 정체성 고찰.” 한국프랑스학논집, 제98집, 2017년 5월, pp. 27-63. (Kim, Kwang-Su. 2017. “A Study of Political Identities of Bundu dia Mayala (BDM) of RDC.” Revue d’Etudes Françaises 98: 27-53.).
2017.08.31. Lim, Gi-Dae, Kim, Kwang-Su. “A Study on the Recent Situation and Reorganization Process of Terrorist Groups in Maghreb and Sahara.”(마그레브와 사하라 일대에서 테러집단의 최근 상황과 재편 과정에 관한 연구) 韓國 아프리카 學會誌, 제51집, 2017년 08월 31일, pp. 103-144.
2017.11.15. “프랑스어권 콩고민주공화국의 콩고연합(Bundu dia Kongo: BDK) 노래에 나타난 바콩고인 정체성.” 프랑스학연구, 제82집, 2017년 11월, pp. 437-472. (Kim, Kwang-Su. 2017. “Bakongo Identities Presented in the Songs of Bundu dia Kongo (BDK) of the Francophon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Revue d’Etudes Franco-Coréennes 82: 437-472).
2017.12.31. Lim, Gi-Dae, Kim, Kwang-Su. “The Conflict Between Arabs and Berbers in Algeria: Focusing on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y.” Mediterranean Review 10(2): 29-62).(알제리의 아랍과 베르베르 분쟁: 언어와 문화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1. 남아공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의식의 관계연구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13집, 2001년 6월 (0) | 2018.05.22 |
---|---|
김광수, "금의 도시,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 국토(국토연구원), 2001년 6월호, pp. 114-123. (0) | 2018.05.22 |
김광수. “츠와나인의 문화사에 대하여”,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제 9집, 1997년 12월, pp. 95-138. (0) | 2018.05.22 |
연구실적 - 논문 (0) | 2018.05.15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