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테마 기행/재미있는 Africa 이야기 II

아프리카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africa club 2012. 7. 17. 21:29

 

 

아프리카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사회 인류학자들의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회에 대한 연구는 자신을 더 비판적으로, 또 비교적으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우리사회의 차이와 차별성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 요즈음의 추세는 많은 학자들이 인류학을 식민주의 학문에서 탈 식민주의 학문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 게시글은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은 내용으로 무단복제를 하실 수 없습니다. 꼭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류학자들은 사람들 사이의 질서, 흔히 인식되어지는 규칙, 적당한 권위, 다음 세대에 이어질 도덕적인 가치, 축적되는 지식이 없으면 사회는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한다. 아프리카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생계의 방법(modes of livelihood)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아프리카인들은 수렵과 채집생활을 하는 종족들이 있다. 아프리카의 아주 적은 수의 사람들만이 사냥을 하고 야생에서 음식을 얻는다. 이제는 전적으로 야생에서 자원을 얻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콩고(Congo) 숲의 피그미(pyhmies)족이나 칼라하리(Kalahari) 사막의 산(San ; Bushmen)족 원주민들이 제한된 사냥활동을 하고 있다. 탄자니아(Tanzania)의 하드자(Hadza)족은 끊임없이 사람들이 유랑하며 떠나고 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그들이 정착하기를 요구하고 농사 기술을 가르친다.

 

 

아프리카인들은 유목을 주업으로 하는 종족이 있다. 대부분의 유목 민족들이 건조한 북부의 케냐(Kenya) 와 우간다(Uganda)에서 그리고 나일강의 상류지역에서 발견된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방목과 물이다. 그들은 건조한 시기에는 물을 찾아 떠나고 우기 때가 되면 다시 돌아온다. 다른 사람들 - Jie, Turkana, Karimojong - 은 여자와 늙은 사람들은 물이 충분한 곳으로 보내고 젊은이들을 방목하는 곳에 보낸다. 전형적인 소를 키우는 사람들은 젊은이들이 일을 처리하고 나머지 사람들을 돌본다. 케냐의 마사이족은 2000년 건기가 지속되자 목초지가 부족하게 되어 나이로비 시내에 소떼를 몰고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우간다와 충돌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아프리카인들은 농업을 주로 하지만 소를 키우기도 한다(반농반목형태). 아프리카의 땅 대부분이 급속하게 황폐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몇 년에 한 번씩 마을을 이동해야 한다. 어디에나 경작하지 않은 땅을 떠나서 충분한 땅이 있다고 간주하고 영구적으로 정착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친족들 사이에서 경작할 땅을 올바르게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아프리카의 농업사회에서는 ‘전형적인’ 것이 없다.

 

두 번째로 아프리카인들은 친족 관계(kinship)가 중요한 기능을 한다.

 

 


많은 사회에서 그리고 대부분의 아프리카 사회에서 훌륭한 관습들은 단계(unilineally)의 친족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그들의 아버지에서 아버지로 어머니에서 어머니에게로 전해진다. 아프리카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계혈통(patrilineal)을 따르고 있지만 그와는 반대로 모계혈통(matrilineal)을 따르는 사람들도 있다. 모계혈통을 따르는 사람들은 척박한 땅에서 살고 있고 마을은 작으며 그들이 이동할 때 자주 나눠진다. 많은 지역에서 소는 살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소를 키우고 50만이 넘는 가나(Ghana)의 아샨티(Ashanti)족 사람들은 그들이 재배한 코코아를 판다.

 

다른 출계율(descent rule)은 두 가지 형태의 차이점을 야기한다. 특별히 부계사회에서는 결혼할 때 신부값(bridewealth)이 있다. 잠재적으로 남편의 합법적인 자식을 낳는다는 것에 대한 지불인 것이다. 모계 사회에서 아이는 어머니쪽에 속해 있고, 결혼에 따른 지불금도 있다고 하더라도 약간의 값을 지불한다.

 

세 번째로 정치적인 조직(political system)이 특이하게 나타난다.

 

아프리카 민족학을 언급했던 인류학자들은 처음에 모든 사회가 정치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는지에 의문을 가졌다. 모든 사회의 정치적인 조직은 물질적 힘을 사용하여 그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것으로 전체체계의 한 부분(that part of the total system)으로서 설명되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위의 의문들은 무가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령조직(age organisation)은 유목민의 특징으로서 설명되고 있다. 이것은 모든 인구에 대해서 정치적인 기능을 부여한다. 소년기를 지나 성년기에 접어들면 성년의식을 치루고 성년이 된다. 또 나이가 들면서 의식을 치루고 다음단계로 진행한다. 

 

네 번째로 종교(religion)는 아프리카인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프리카인들은 우주는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믿고 있다. 우주는 두 개의 개념으로 설명되어 지는데 보이는 지상(인간이 거처하는 곳)과 하늘(창조자가 거처하는 곳, 영적 존재들이 함께 존재하는 곳)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하늘의 세계는 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신과 인간사이에서 중간역할을 하는 다른 영적존재들(예를 들어 조상신)이 있는 곳이다. 비록 인간이 우주의 중심에 있지만 자연세계와 관련된 보이지 않고 내재하는 인간 이외의 다른 존재들이 있다. 종교는 아프리카인들의 매일매일의 생활 속에 스며들어 있다. 사회의 도덕규범을 만들고 자연과 조화로운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음악과 춤 그리고 예술(music, dance and art)은 아프리카인들의 생활 속에서 필수적인 것이다. 음악과 춤은 종교와 분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생활로부터도 분리할 수 없다. 이것들은 종교적 행위에 필수적이다. 관습, 노래, 그리고 스텝은 오락으로서가 아니라 종교적 상징물로 표현된다.

 

아프리카의 전통예술은 사람들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영역이다. 사람들의 정령의 힘을 반영한다. 예술 그 자체를 위한 예술은 아니다. 그것은 기능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성이 존재한다. 예술은 사회의 거울이며 모든 아프리카 사회에서 아프리카의 예술인들은 종교, 사람, 신, 자연, 그리고 조상의 정신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남아공의 민주화투쟁과정에서 보여주었던 흑인들의 저항방식은 춤과 노래가 단결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매우 위협적으로 작용하였다.

 

아프리카 문화에서 가장 기본적인 특질은 이중성(duality)이다.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지상과 하늘, 자연스러운 것과 성스러운 것, 인간의 세계와 신 그리고 영적존재들의 세계등등....

 

 

 


이중성은 아프리카의 문화적 표현을 정의한다. 그러나 이중성으로 표현되는 아프리카의 문화는 적대주의와나 무질서와 대비되는 화해와 상호이해, 조화 그리고 합리적인 것이 있다. 

 

아프리카 문화와 역사 그리고 사회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지식의 폭과 깊이를 넓혀줄 뿐만 아니라 생각의 틀을 변화시켜줄 것이 틀림없다.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또 다른 모습을 진지하게 바라볼 수 있다면, 그리고 참여할 수 있다면 우리는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아프리카의 부족들의 삶 속에서 우리의 전통사회가 지키려고 했던 살맛나는 살 냄새 가득한 인간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우리 인간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예로 “우리는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우리는 아프리카인들과 비교되는 것조차 싫어하며 분명히 아프리카인들보다 행복하다고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고 또 믿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엄연한 사실은 아프리카인들은 자신들의 삶에 대해 우리보다는 행복해하고 있다. 시장에서, 길거리에서, 그리고 그 어디에서든지 발견할 수 있다.

 

아프리카는 아직도 우리에게 낯선 곳이다. 아니 아프리카에 관한 지식은 거의 무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타잔이 사는 곳, 가난과 기근, 내전이 있는 곳, 미개하고 저능한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 정도로 알고 있다. 우리가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 대한 관심이 이와 같다면 우리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차별주의자가 될 수밖에 없다.

 

 

 

"본 게시글은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은 내용으로 무단복제를 하실 수 없습니다. 꼭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