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문학/속담

스와힐리어 속담에 나타난 아프리카인의 문화적 정체성 - 스와힐리어의 중요성과 역사적 배경

africa club 2004. 7. 13. 08:06
3. 스와힐리어의 중요성과 역사적 배경

아프리카 대륙의 종족 분류는 그곳에 살고 있는 언어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다. 전형적인 예를 들어 '반투(Bantu)' 16)라는 인종의 범위는 반투어계(語系)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부족의 총칭인 것과 같이, 언어의 분류가 인종이나 부족을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록된 역사문서가 타대륙에 비해 적은 아프리카 대륙에 있어 아프리카인들의 사회, 문화, 종교, 철학 등을 연구하는데 언어의 연구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아프리카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2,034개로 파악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스와힐리어(Kiswahili)어는 흑아프리카를 대변하는 가장 중요한 언어로서 세계 12대 언어 중 하나로 포함시키고 있으며, 과학적이며 조직적인 체계를 지닌 아름다운 언어로 알려져 있다. 17)이러한 주장은 스와힐리어 시문학의 대가인 크나퍼트(Jan Knappert) 교수가 '스와힐리어야말로 시를 위한 언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서 확인할 수 있다. 18)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10 여개 국에서 국어 또는 공식어로 혹은 교통어(Lingua franca)로 사용되는 언어로서 아프리카 대륙에서 사용 인구수, 사용나라, 보유 문학등의 기준으로 볼 때 가장 중요한 언어로서 인식되고 있다. 19)케냐,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동부는 스와힐리어를 국어(national language)로, 탄자니아에서는 공식어(official language)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외에 소말리아(Somalia) 남부,  르완다(Rwanda), 부룬디(Brundi), 말라위(Malawi), 잠비아(Zambia)북부, 모잠비크(Mozambigue) 북부, 코모로(Comoro)군도,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북단에서 사용되고 있다. 20)

< 지도 2 > 스와힐리어 사용지역 21)


이처럼 스와힐리어는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약 5000만 이상의 서로 다른 수많은 종족들 사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명실공히 교통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동부아프리카,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제 1 언어로서 스와힐리어를 사용하는 화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22)

이러한 중요성을 반영하여 외국의 중요대학에서는 아프리카 연구에 있어 스와힐리어를 필수과목으로 취급하여 연구와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역동적이며 중요한 언어인 스와힐리어를 공부하는 것은 아프리카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언어로서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Swahili란 말은 원래 아랍어의 'umani'방언 "sahil" (해안) 과 "sawahil" (해안사람)에서 유래된 것이다. 23)스와힐리어가 언제부터 생성되어 사용되었는가는 정확하지 않으나 10C경 아랍인 지리학자이며 역사학자인 알 마수디(Al Masudi)가 동아프리카 지역을 여행하고 "잔즈(Zenj)인들은 훌륭한 언어와 그 언어로 선교하는 성직자들을 갖고 있다"' 24)라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스와힐리 문명은 초기 10C동안 반투 이주민들과 아랍 상인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25)

< 지도 3 > 동아프리카 해안(The East African Coast) 26)


스와힐리란 오늘날 탄자니아 케냐의 인도양해안지방을 비롯한 그 내륙지방의 주민과 그들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어온 문화양식, 그들의 언어등을 가리키는 것이다. 즉 스와힐리문명은 10C를 전후하여 형성된 비교적 젊은 문명으로 ①해안지방에 발달한 상업도시, ②아랍과 페르시아계의 반투혼혈족, ③이슬람의 신봉, ④탈부족화, ⑤스와힐리어의 사용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속성은 내륙지방으로의 전개과정에서 많은 다양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오늘날에는 스와힐리의 본래개념이 많이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27) 현재는 스와힐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스와힐리인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스와힐리문명의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해안지방에 발달한 상업도시는 아랍으로부터 수입된 건축과 조각을 가지고 있었고 스와힐리인들의 복식은 아랍식 옷을 입었는데 남자는 모자인 코피아(kofia)를 쓰고 여자는 아랍식으로 몸과 머리를 감싸는 캉가(kanga)를 입었다. 28)

스와힐리문명의 기초가 된 이슬람문명은 아라비아반도로부터 항해를 통해 전파되었으며 그 흡수방법은 기존 동아프리카 해안의 반투족 사화에 다소 무력점령의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흡수되었다. 29) 스와힐리어의 생성도 아랍어와 반투어의 '혼합'이라기 보다는 반투어를 기초로하여 아랍어의 어휘를 차용했다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증거로는 스와힐리어가 아랍어를 근간으로하는 많은 어휘들을 차용하고는 있지만 세련된 단어들이 많고 이에 반해서 기본적인 어휘에서는 차용어가 극히 드물며 또한 문법적인 구조에서도 아주 미세한 정도만 영향 받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반투족은 아랍의 언어와 문화를 자신의 언어와 문화에 융합시켜 새로운 스와힐리문화를 창조했던 것이다. 30)

스와힐리 문명의 형성과 발전은 아래의 지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계절풍(monsoon)의 영향이 중요한 작용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바람은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북동풍이, 5월에서 9월까지는 남서풍이 불어 아랍인들이 다우(Dhow ; 돛이 하나인 외돛 범선)를 타고 동아프리카에 왔다가 다시 되돌아갈 수 있었던 것이다. 31)

< 지도 4 > 1200년경 인도양 무역 32)


결론적으로 스와힐리어는 역사적으로 이미 2000여년전부터 아랍인, 페르샤인, 인도인들의 동아프리카 해안과의 접촉으로 현지의 반투어를 사용하는 원주민들과의 교류가 이루어지던 중 특히 아랍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발전하였다. 그 외에도 역사적 접촉을 계기로 페르샤어, 구지라티어, 힌디어, 포루투갈어, 영어등으로 부터 많은 외래차용어를 받아들였다. 33)

아랍·스와힐리인들에 의한 내륙교역이 18C에 활발하게 진행된 것을 필두로 서구세력에 의한 식민통치기간동안 스와힐리어는 상업언어(trading language)이며 교통어(lingua franca)로서 그리고 효율적인 식민지배정책을 위해 내륙으로 급속히 확장 전파되었다. 그로 인하여 이 지역에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 종교, 생활방식 또는 인종적 특성까지도 혼합된 형태의 스와힐리 문명이 창조되었다. 34)

< 지도 5 > 잔지바르 오만체제하의 주요 교역통로 35)


스와힐리어는 이처럼 역사적으로나 인종적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방언이 발견되고 있다. 비반투어 사용자들이 제 1언어로 사용하는 스와힐리어와 반투어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스와힐리어는 현저히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지리적 방언(Geographical dialect)으로서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키웅구아나(Kiunguana)어 라무(Lamu)에서 사용되는 키아무(Kiamu)어, 몸바사(Mombasa)에서 사용되는 키음비타(Kimvita)어, 잔지바르(Zanzibar)에서 사용되는 키웅구자(Kiunguja)어 등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차이점이 상당히 많다. 이밖에 사회적 방언(Social dialect)으로는 유럽인이나 아시아인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피진 스와힐리어로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표준 스와힐리(Standard Swahili)어는 잔지바르에서 사용되는 키웅구자(Kiunguja)어를 말하며 동부아프리카 지역의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고, 매스·미디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다. 36)

스와힐리어의 체계화와 보급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들은 19C 이 지역에 들어왔던 독일의 선교사들이었다. 그들은 효율적인 포교를 위해 성경의 스와힐리어 번역작업 및 스와힐리어 교육을 위한 스와힐리어 문법서 발간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독일의 반투어학자 칼 마인호프(Karl Meinhof)는 스와힐리어 철자법 및 표준어를 정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선교사인 크라프(Ludwing Krapf ; 1850)는 몸바사에서 성경번역 및 스와힐리어 사전을 편찬함으로서 스와힐리어 연구에 초석을 마련하였다. 이후 영국의 스티어(E. Steere ; 1908) 박사는 Swahili Exercises라는 문법서를 발간하면서 시작된 스와힐리어 연구는 프랑스의 사클라우스(Sacleaux ; 1090), 영국의 애쉬톤(Ashton ; 1944), 패럿(Perrot) ; 1951), 그리고 미국의 롱맨(Loogman ; 1965)을 통하여 소위 학교문법(School grammar)의 형태로 대학에서 교수되기에 이르렀다. 1960년대 구조주의 언어학이 널리 알려지면서 보다 전문적인 문법기술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텍사스 대학의 폴로메(Polom  ; 1967)에 의해 이루어 졌다. 변형생성문법의 등장과 함께 통사론이 비탈레(A. Vitale ; 1981)에 의해 기술됨으로서 스와힐리어 연구에 보다 전문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37)



16) 반투(bantu)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블레크(W. H. I. Bleek)로 1862-69년에 반투어에 대한 광범위하고 폭넓은 내용을 담은 저서, 『남아프리카 언어 비교문법(A comparative grammar of South African languages. part I. Phonology, part II. The noun)』을 출판하였다. bantu의 어근에 해당하는 -ntu는 '사람'을 의미하며 여기에 접두사 ba-가 첨가된 것이다. 따라서 bantu라는 단어의 뜻은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반투어에서 사용되어진다. 권명식, 아프리카학 입문 : 역사비교언어학적 접근 (서울, 명지 출판사, 1988), p. 24.

17) 김윤진, "스와힐리어의 언어적 특성", 외대통역협회지, 제 4 권, 1986, p. 55. ; 권명식, 스와힐리어 문법구조 (서울, 한국외국어대하교 출판부, 2003), p. i(서문).

18) 김윤진, "스와힐리어의 언어적 특성", 외대통역협회지, 제 4 권, 1986, p. 56.

19) 권명식, "스와힐리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한국외대 서학인, 제 1 권, p. 120. ; 권명식, '탄자니아의 언어상황과 언어정책",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5 집, 제 1권, p. 7.

20) Hinnebusch, T. & Mirza, S.M., Kiswahili : msingi wa kusema kusoma na kuandika (Washing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79), pp. xiii-xiv(introduction). ; 권명식, "스와힐리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한국외대 서학인, 제 1 권, pp. 116-127. ; S.M. Zawawi, Say it in Swahili (New York, Dover Publications Ltd., 1972), p. 1-2. ; 권명식, 스와힐리어 연구 (서울, 명지출판사, 1986), p. 2.

21) J. Russell, Swahili (UK, Teach Yourself Books, 1996), p. 3.

22) 권명식, '탄자니아의 언어상황과 언어정책",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5 집, 제 1권, pp. 7-8.

23) 스와힐리란 말은 아랍어로 해안을 의미하는 sahel의 복수 swahel에서 온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 J.D. Rollins, A history of Swahili prose (Leiden, E.J. Brill, 1983), p. 11.

24) 잔즈는 페르시아어로 '검다'는 뜻이며 이는 아프리카를 지칭하는 말이다. E. J. Murphy, History of African Civilization (New York, Dell Publishing Co. Inc., 1972), pp. 226-227.

25) 7C부터 시작된 아랍인들의 정착으로 교역활동이 활발해지자 동아프리카 해안 일대에는 교역중심도시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물질적인 부를 바탕으로 차츰 독자적인 도시국가로 성장하였다. 이 도시국가들이 가장 번창하였던 15C에는 남쪽의 소랄라로부터 북쪽의 모가디슈까지 모두 30여개가 있었다. 오늘날의 모잠비크 해안에는 킬와, 마피아, 잔지바르, 펨바등이 케냐해안에는 몸바사, 말린디, 라무, 페이트등이 소말리아 해안에는 키스마유, 부라바, 모가디슈등이 있었다.

26) D. Nurse & T.J. Hinnebusch, Swahili and Sabaki : A linguistic histo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p. 1.

27) 라윤도, "스와힐리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 호, 1982, pp. 121-122.

28) 라윤도, "스와힐리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 호, 1982, p. 134.

29) 라윤도, "스와힐리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 호, 1982, p. 127.

30) 아랍인들이 북아프리카에서는 가족단위로 이주하여 그들 고유의 문화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었으나 동아프리카 해안에 온 아랍인들은 대부분 선원이나 상인들로 혼자 오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들은 반투 아프리카인 여자들과 결혼을 하여 살게 되었으므로 자연히 반투족에 흡수 동화되었던 것이다. ; 라윤도, "스와힐리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 호, 1982, pp. 134-135.

31) 김윤진, 東아프리카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4), p. 35.

32) B. Davidson, "Africa in historical perspective", Europa Publications Ltd., Africa South of the Sahara 1992 (London, Europa Publications Ltd., 1991), p. 8.

33) T.J. Hinnebusch & S.M. Mirza, Kiswahili : msingi wa kusema, kusoma na kuandaka (Washing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79), pp. xvii-xix. ; 권명식, '탄자니아의 언어상황과 언어정책", 韓國아프리카 學會誌, 제 5 집, 제 1권, pp. 11-22.

34) 스와힐리어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라윤도, "스와힐리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 호, pp. 119-150을 참조할 것.

35) 라윤도, "스와힐리어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호, 1982, p. 142.

36) 김윤진, "스와힐리어의 언어적 특성", 외대통역협회지, 제 4 권, 1986, p. 56. ; Hinnebusch, T. & Mirza, S.M., Kiswahili : msingi wa kusema kusoma na kuandika (Washing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79), pp. xv-xvi(introduction).

37) 권명식, 스와힐리어 문법구조 (서울, 한국외국어대하교 출판부, 2003), pp. i-ii(서론). ; Z. Marsh & G.W. Kingsnorth,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East Africa (London, Cambridge Univ. Press, 1966), pp. 75. ; 라윤도, "스와힐리 文明의 歷史的 展開過程", 아프리카 硏究, 제 2 호, 1982, p. 146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