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스와힐리어 연구

제1부. 스와힐리어 문법(Kiswahili Grammar) - 3장. 스와힐리어의 언어학적 특징

africa club 2015. 3. 15. 20:39

4.

5.

제 3 장

① 스와힐리어의 언어학적 특징

 

 

 

스와힐리어는 문법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요소인 여러 개의 작은 형태소(形態素 ; morpheme) 에 의해 문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간략히 정리하여보면 첫째, 첨가어적 (添加語 ; affixing language) 성격이다. 둘째, 명사의 부류체계와 다양성(system of class prefix of Noun)을 가지고 있다. 셋째, 일치현상(concordial agrement)이 철저하게 적용되고 있다. 넷째, 명사의 성(性)이 없다(absence of grammatical gender). 다섯째, 모음조화 현상(vowel harmony)등과 같은 반투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31)

 

 

가. 1. 형태론

 

1) 1.1 명사부류체계(Noun Class System)32)

 

스외힐리어에서 모든 명사들은 각각의 명사들이 갖는 의미범주에 따라 8개의 부류로 나누어지며 따라서 모든 명사는 반드시 하나의 집단에 속하여 분류된다. 각 명사의 복수형태는 어근은 변화되지 않으며 부류접사(prefix)로써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따라서 명사는 한 벌의 쌍으로 숙지하는 것이 좋다.

문장이나 구에서 명사들을 수식하는 단어들은 문장이나 구에서 나오는 명사가 속한 부류의 호응(concord) 또는 일치(agreement)현상을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따라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명사부류는 주격 호응접사(Subjective Concord) 또는 동사적 호응접사(Verbal Concord), 목적격 호응접사(Objectival Concord), 형용사격 호응접사(Adjectival Concord) 그리고 관계대명사 호응접사(Relative Concord) -o, 연결 호응접사(Connective Concord) “~의(-a), 소유대명사, 지시대명사(근칭, 원칭, 기지칭), 의문대명사 “어느, 어떤(-pi)”, 강조계사 “바로 ~이다(ndi)”, 양사 “모든(-ote)”, “어떤(-o ote)", "~을 지닌(-enye)”등이 속하는 대명사적 호응접사(Pronominal Concord)33)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호응관계를 얼마나 빨리 습득하는가가 스와힐리어 학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예를 들어 명사구를 형성하는 형용사, 수사, 소유대명사, 지시대명사는 명사구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명사의 부류에 따라 호응접사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명사의 부류체계는 명사자체뿐만 아니라 문장을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1) Mfano)

(2)           단수                                                                복수

(3)        m - tu : 사람(person)                                         wa -tu :사람들(people)

(4)        m - ti : 나무(tree)                                         mi - ti : 나무들(trees)

(5)        ki - tu : 일(thing)                                         vi - tu : 일들(things)

 

스와힐리어는 모두 8개의 명사부류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여 명사를 분류하여 18개의 부류체계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첫째, m/wa class(1/2 class) : 사람, 신분을 나타낸다.

(6)

(7) Mfano) mtu/watu(사람), mzee/wazee(노인), mwalimu/walimu(선생님)

 

둘째, m/mi class(3/4 class) : 나무, 식물(채소)를 나타내는 명사가 속한다.

(8)

(9) Mfano) mti/miti(나무), mboga/miboga(채소), mnazi/minazi(코코넛 나무)

 

셋째, (ji)/ma class(5/6 class) : 과일 명, 의미가 확대된 확대명사, 수량을 셀 수 없는 추상명사등이 속한다.

(10)

(11) Mfano) jino/meno : 치아, tunda/matunda(과일), mafuta : 기름, mtu(사람) - jitu/majitu(거인)

 

넷째, ki/vi(cha/vya) class(7/8 class) : 언어 명, 신체적 결함을 지닌 사람, 지소격 명사들이 포함된다.

(12)

(13) Mfano) kiswahili/viswahili(스와힐리어), kipofu/vipofu(장님), chakula/vyakula : 음식,

(14) mji(도시) - kijiji/vijiji(조그만 마을),

 

다섯째, N class(9/10 class) : 단수와 복수형태가 동일하며 일반적인 대상의 명칭, 동물의 명칭, 영어차용명사 등 외래어, 지명 및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가 이에 속한다.

(15)

(16) Mfano) mbwa(개), ndugu(형제), rafiki(친구), mashariki(동쪽), baiskeli(자전거)

 

여섯째, U class(11-14 class) : 단수일때는 u, 복수일때는 ∅, n, ma로 나타나며 집합명사, 추상명사, 물질명사가 속한다.

(17)

(18) Mfano) umoja/∅(단결), wakati/nyakati(시간), uji/maji(죽), ufunguo/funguo(열쇠), ukweli(진실), ubaya(악),

(19)        ugonjwa/magonjwa(병)

 

일곱째, ku class(15 class) : 모든 동사에 접두사 ku를 붙여 부정사(infinitive)를 만들 수 있다.

(20)

(21) Mfano) -la(먹다) : kula(먹는 것, 먹기. to eat), -soma(공부하다) : kusoma(읽기, 읽는 것. to read)

 

여덟째, pa/ku/mu class(mahali class, 16,17,18 class) : 일반적으로 시간, 공간을 나타내며 명사라기보다는 부사적 기능을 한다. 다른 품사들과 연결․호응하여 사용된다.

(22)

(23) pa- : 특정한 위치

(24) ku- : 일반적인 공간적 위치

(25) mu- : 공간이나 장소의 내부

2) 1.2 명사부류체계와 일치현상(Concordial Agreement)

 

아래의 표와 예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스와힐리어에서는 이렇게 나누어지는 명사부류체계의 호응접사에 따라 철저한 일치현상(concordial agreement)이 이루어진다. 즉 동사, 형용사, 그리고 몇몇 전치사들(enye, engine)은 어근으로 시작되며 관련된 명사의 접두사(prefixes)와 접미사(suffixes)가 반드시 온다. 결론적으로 스와힐리어를 배우는 모든 학생들은 스와힐리어 구 또는 문장을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표 3> 호응접사1

                   호응

   부류

형용사적 호응접사

주격/대명사적 호응접사

동사적 호응접사

1인칭

2인칭 사람

 

 

ni-, tu-

u-, m-

m/wa(1/2)

m/mi(3/4)

(ji)/ma(5/6)

n(9/10)

ki/vi(7/8)

u(11-14)

ku(15)

pa/ku/mu(16-18)

m/wa

m/mi

(ji)/ma

n(ny)/n(ny)

ki/vi

(u)-m/n-

ku

pa/ku/mu

yu-(ye)/wa

u/i

li/ya

i/zi

ki/vi

u/zi

ku

pa/ku/mu

a/wa

u/i

li/ya

i/zi

ki/vi

u/zi

ku

pa/ku/mu

 

위 표에서 일치는 수식어 앞의 명사 접두사를 복사(copying)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동일한 과정은 명사주어와 동사의 경우에도 발생한다.

 

(1) Mfano)

(2) masomo ya kiswahili : 스와힐리어 수업

(3) msingi wa kusema : 말하기를 위한 기초

(4) miti ya matunda : 과일나무들

(5) mwanafunzi mmoja : 한 학생

(6) watu wawili : 두 사람

(7) chuo kikuu : 대학

(8) chakula cha asubuhi : 아침식사

(9) jina langu : 내 이름

(10) vyakula vinaoza : 썩은 음식

(11) jambo hili : 이 문제

(12) masomo ya Kiswahili : 스와힐리어 수업

(13) serikali inasaidia : 정부보조

(14) Mimi ninajitegemea. : 나는 자립/독립하여 살고 있다.

(15) Sisi tunajitegemea. : 우리는 스스로 의지한다.

(16) Kitabu kilipotea. : 책을 잃어버렸다.(The book got lost.)

(17) Matunda yanapatikana. : 이 과일은 먹을 수 있다.(The fruit is available.)

(18) Ndizi ilianguka. :바나나가 떨어졌다.(The banana fell.)

(19) Ndizi zilianguka. : 바나나들이 떨어졌다.(The bananas fell.)

(20) Mwalimu ni mzuri. Anafundisha vizuri. : 선생님은 좋다. 그녀는 잘 가르친다.

(21) Yeye ana rafiki mzuri. Anampenda sana. : 그녀에겐 좋은 친구가 있다. 그녀는 그를 매우 사랑한다.

(22) Viongozi wote wanakuja. : 모든 지도자들이 오고 있다.

(23) mama wa Juma : 주마(Juma)의 어머니

(24) (ma)rafiki wa Juma : 주마의 친구(들)

(25) kiongozi wa Juma : 쥬마의 지도자

(26) ndizi tatu : 세 개의 바나나들

(27) ndizi kubwa : 큰 바나나들

(28) ndizi fupi : 짧은 바나나들

(29) ndizi mbovu : 썩은 바나나들

(30) ndizi ngumu : 단단한 바나나들

(31) ndizi ndogo : 작은 바나나들

(32) ndizi nzuri : 좋은 바나나들

(33) watu warefu : 큰 사람들

(34) miti mirefu : 큰 나무들

(35) meza ndefu : 긴 책상들

(36) watoto wazuri : 좋은 아이들

(37) kitabu kizuri : 좋은 책

(38) watoto weusi : 검은 아이들

(39) kitabu cheusi : 검은 책

(40) walimu wazuri : 좋은 선생님들

(41) chakula kizuri : 좋은 음식

(42) chakula cheusi : 검은 음식

(43) mti mzuri : 좋은 나무

(44) upande mzuri : 좋은 방향

(45) Uji mzuri : 좋은 죽

(46) watu tofauti  : 다른 사람들

(47) mtu safi : 깨끗한 사람

(48) chakula tayari : 준비된 음식

 

① 동사가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

 

Mfano)

Watoto wanasoma. : 아이들이 공부한다(The children are studying.).

Kisu kimeanguka. : 칼이 떨어졌다(The knife has fallen.).

Kiti kimevunjika. : 의자가 부러졌다.(The chair has broken.).

 

② 형용사가 명사와 일치하는 경우

 

Mfano)

maua mazuri : 아름다운 꽃들(beautiful flowers)

Kisu kizuri hiki. : 이 좋은 칼(this good knife)

Watu wazuri hawa : 이 좋은 사람들(These good people)

 

숫자들은 형용사이고, 강의 처음에 표시 된 것과 같은 규칙들을 따른다. 하지만, 오직 숫자 1부터 5 그리고 8만 전철 일치 현상을 따른다.

(49)

(50) Mfano)

(51) mtu mmoja

(52) watu wawili

(53) watu watatu

(54) watu wanne

(55) watu watano

(56) watu sita

(57) watu saba

(58) watu wanane

(59) watu tisa

(60) watu kumi

(61) watu kumi na mmoja (or moja)

(62) watu kumi na wawili/mbili

(63)

③ 일치현상은 결과적으로 두운이 일어난다.

 

Mfano)

Watoto wachafu wanne wanacheza na mbwa mfupi mnene. : 4명의 지저분한 아이들이 작고 뚱뚱한 개와 놀고 있다.(Four dirty children are playing with a short fat dog.).

 

④ 접두사와 접미사의 일치가 언제나 동일한 것은 아니다.

 

Mfano)

Mawaziri wote ambao wanacheza mpira wanatoka jasho. : 축구를 하고 있는 모든 장관들은 땀을 흘리고 있다.(All the government ministers who are playing soccer are sweating.).

 

 그 밖의 중요한 일치

   스와힐리어에서 전철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각 부류접사의 전철을 따르는 것이 맞으나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일치표를 153쪽에 표로 만들어 모두 제시하였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적용되는 문법사항까지 모두 제시하여 숙지하기에 용이하지 않아 따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많은(-ingi)”과 “다른(-ingine)”은 그 뜻이 형용사로서 형용사격 접사(A.P.) + -ingi / -ingine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아래의 경우들은 품사에 맞추어 전철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품사에 적용되는 전철을 사용하고 있어 반드시 유의하여 숙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소유격 접사 / 연결어(of)가 사용되는 일치 : 소유대명사(30-31쪽)의 일치는 각 부류접사의 연결어(of) + 소유대명사의 형태로 사용한다.

 

     Mfano) mwalimu wangu : 나의 선생님.

            mama yangu : 나의 엄마.

 

목적격 접사(O.P)가 사용되는 일치34) : 첫째, “모든(-ote)” / “그 어떤 것이라도, 누구든지 간에, 무엇이든 간에, 어느 것이라도(-o -ote)” 는 목적격 접사(O.P.)와 함께 사용되어 O.P. + -ote / -o-ote의 형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sisi sote, ninyi nyote는 통사적 호응이 아니라 단순한 음운모사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을 지닌(-enye)35), “자신의(-enyewe)“는 O.P. + enye / enyewe의 형태로 사용된다.

 

    Mfano) vitu vyenyewe : 물건 그 자체.

           Kiti chenyewe hakitembei. : 의자는 스스로 움직이지 않는다.

           chumba chenye giza : 어두운 방.

           Vyumba vyenye giza : 어두운 방들

           Mlima wenye mawe : 돌 언덕.

           Mti wenye miiba : 가시나무

           (Mtu) mwenye mali : 부자.

           (Watu) wenye maarifa : 지식이 많은 사람들.

           Chumba chenyewe : 방 그 자체.

           Viti vyenyewe : 의자들 그 자체.

           kwenye basi : 버스가 있는 곳

           Mtoto amekaa kwenye majani. : 풀(잎) 위에 앉아 있는 아이

           Mahali penye maji ni pazuri. : 물이 있는 장소는 좋은 곳이다.

           Kwenye miti mtu amejenga nyumba. : 나무가 있는 곳에 (어떤) 사람이 집을 지었다.

           Mimi nina shughuli kwenye benki. : 나는 은행에서 일이 있다.

           Mtu mwenye mali : 재산을 가진 사람

           nyumba yenye paa la bati : 함석 지붕을 가진 집

           Kitabu chenye picha : 그림이 있는 책

           gauni lenye mikono : 소매가 있는 가운 옷(가운)

           Mwite yule mwenye kofia. : 모자(코피아)를 가진 저 사람을 불러주세요.

           Kiti chenye miguu mitatu. : 3개의 다리를 가진 의자.

           Chai yenye sukari : 설탕을 넣은 차

           Mimi mwenyewe nimemwona. : 나 스스로 그를 보았다.

           Chumba chenyewe ni kidogo sana. : 방 자체가 아주 작다.

           Barua zenyewe zimepotea. : 편지 그 자체를 잃어버렸다.

           Sisi sote tumekwenda kule. : 우리는 모두 그곳에 갈 것이다.

           Kitambaa chote ni kichafu. : 모든 천이 더럽다.

           Nyumba zote ni zangu. : 모든 집들이 나의 것이다.          

           Uliza mtu ye yote mwenye saa. ; 시계를 가진 어떤 사람에게 물어라.

           Mpe mzee yule kitu cho chote. : (너희들은) 어떤 것이라도 저 노인에게 주어라.

           Ninahitaji msaada wo wote. : 나는 어떤 도움이라도 필요하다.

 

☞주격접사(S.P.)와 관계격 접사(R.P.)가 사용되는 일치 : 주격접사(S.P.)와 관계격 접사(R.P.)를 이용하여 지시대명사가 만들어진다. 지시대명사 "이것"일 경우 “h-"가 기본이 되어 h + 주격 접사의 모음을 반복하여 만들고 ”그것“일 경우 ”h-o"가 기본이 되어 지시사 “이것”의 앞부분 + 관계격 접사가 더해져서 만든다. 그리고 “저것”은 기본형이 “-le"가 되어 S.P. + le가 더해져서 만들어 진다.

 

관계격 접사(R.P)와 사용되는 일치 : 첫째, “바로 ~이다(ndi-)”는 반드시 관계접사(R.P.)가 더해져서 ndi + R.P.의 형태로 사용된다.36) 둘째, “~와(na-)”는 관계 접사(R.P.)와 함께 사용되어 na + R.P.의 형태로서 사용된다.37)

 

     Mfano) Pole pole ndio mwendo. : 천천히 천천히(가는 것이) 바로 가는 것이다.(천천히 천천히 가도 목적지에 간다.)

             Mwalimu alikwenda nacho. : 선생님은 그것을 가지고 가셨다.

             Bwana arusi ni Daudi, ndugu yake Mohamed. Babake ni yule mwenye duka karibu na hoteli. Ni mzee                   ambaye tuliongeanaye jana. : 신랑은 다우디인데 그의 형제는 모하메드다 그의 아빠는 호텔 근처에 가게를                                                 가지고 있는 그 분이다. 우리가 어제 (그와) 만났던 그 어른이다.

 

☞주격 접사(S.P.)와 사용되는 일치 : 첫째, 주격접사 + 계사 “~이 있다(-po, -ko, -mo)”, 둘째, 주격접사 + 의문사 어느, 어떤(-pi?), 셋째, 주격접사 + 동사 “가지고 있다(na)"로 사용된다.

 

     Mfano) Mimi niko shuleni. : 나는 학교에 있다.

            Hamisi yuko wapi? : 하미시는 어디에 있니?

            Mimi niko hapa. : 나는 여기에 있다.

            Yeye ni mtu yupi? : 그는 어떤 사람이야?

            Kiti chako ni kiti kipi? : 그의 의자는 어떤 의자야?

            Atafanyapi? : 그는 그것을 어떻게 할까?

            Mimi nina kitabu. : 나는 책을 가지고 있다.38)

            Hakuna matata. : 문제 있다.

(64)

3) 1.3 파생/변형동사와 동사복합문형

 

가) 1.3.1 파생/변형동사(Derivative Verb)39)

파생동사체계(Verb-Derivational System)는 명사의 부류체계와 함께 반투어 구조상 가장 복잡하며 유형학적으로도 가장 특이한 문법부분 중 하나이다. 동사의 기본형으로부터 10여개 이상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파생 선어말 어미가 첨가됨으로서 파생동사들이 도출되고, 이 도출된 동사들은 기본형의 의미가 변형되어 다양한 기능을 문장 중에 수행하게 된다. 첨가어인 스와힐리어에서 파생어는 기본형에 파생접사를 붙여 어근(root) 혹은 어간(stem)의 의미를 한정하고 꾸미거나 기본형의 품사를 바꾸기도 한다.

이렇게 동사의 의미를 다양하게 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파생접사를 변형구성요소(formative element, formative suffix, derivational suffix)라고 부르는데 변형동사/파생동사를 만드는 방법(즉 변형구성요소가 첨가되는 방법)은 첫째, 동사의 어간 앞에서, 둘째, 동사의 어간과 마지막 모음 “-a "사이에서, 셋째, 명사나 형용사의 끝에서, 마지막으로, 동사의 마지막 모음 ”-a"뒤에 첨가되어 다양한 어휘적 의미를 표현하는 변형동사가 만들어진다.

먼저 변형동사를 분류하기 전에 하나의 동사가 어떻게 파생되어 새로운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자.

 

Mfano)

-enda : 가다, 떠나다. - 기본동사

-jienda : 저절로 가다. - 재귀형(Rfl.)

-endea : 누구에게 가다. - 지향형(Apl.)

-jiendea : 자발적으로 가다. -지향형(Apl.) + 재귀형(Rfl.)

-endewa : ~에게 가지다. - 지향형(Apl.) + 수동형(Ps.)

-endeana : 함께 ~게 가다. - 지향형(Apl.) + 상호형(Rp.)

-endelea : 발전하다, 증가하다. - 이중지향형(d. Apl.)

-endeleka : 발전할 수 있다. - 이중지향형(d. Apl.) + 상태형(Pot.)

-endelewa : 발전되다. - 이중지향형(d. Apl.) + 수동형(Ps.)

-endelezea : 발전하게 하다, 누구에게 글을 써주다. - 이중지향형(d. Apl.) + 지향형(Apl.)

-endesha : 가게하다, 운전하다. - 지향형(Apl.) + 사역형(Cs.)

-endeshwa : 가지다, 운전되다. - 지향형(Apl.) + 사역형(Cs.) + 수동형(Ps.)

-endeshana : 가도록 서로 돕다. - 지향형(Apl.) + 사역형(Cs.) + 상호형(Rp.)

-endeka : 지나갈 수 있다. - 지향형(Apl.) + 상태형(Pot.)

-endekeza : 갈 수 있도록 하다. - 지향형(Apl.) + 상태형(Pot.) + 지향형(Apl.)

-endena : 서로 작용하다. - 지향형(Apl.) + 상호형(Rp.)

-endaenda : 계속 가다. - 반복형(Red.)

 

위와 같이 하나의 기본형 동사에서 다양한 의미로 파생 또는 변형되어 새로운 동사가 나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① 지향형, 이중지향형 동사(appl. ; Prepositional Applicative, Applied Form, Benefactive, Dative Verb)  : “~에게, ~를 위하여 ~를 하다.” 라는 뜻으로 행위자의 행동이 미치는 방향, 이해관계, 목적, 결말, 완성 등의 의미가 더해진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i, e, li, le/ ili, ele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1)

(2) Mfano)

(3) Aliniandikia barua. : 그는 나를(나에게) 위해 편지를 썼다.(-andika → -andikia).

(4) Siku hizi nchi yetu inaendelea vizuri. : 요즘 우리는 잘 발전하고 있다. (-enda 가다 → -endelea 발전하다.).

 

② 수동동사(pass. ; Passive Derivative Verb) : 기본동사의 의미에 "~하여 지다“라는 수동의 의미가 첨가된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쇼 w, iw, ew/ liw, lew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5)

(6) Mfano)

(7) Ninapendwa : 나는 사랑 받고 있다.(-penda > -pendwa).

 

③ 사역동사(caus./cs. ; Causative Derivational Verb) : 기본형 동사에 "~하게 하다“라는 사역의 의미가 첨가된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sh, z, ish, esh, iz, ez/ lish, lesh, liz, lez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8)

(9) Mfano)

(10) Dawa imemponya. : 그 약이 그를 낫게 했다.(-pona 건강상태가 좋아지다 → -ponya 낫게 하다. 예외적인 표현임).

 

④ 상태동사(stat. ; Stative Derivative Verb) : 기본형 동사에 상태와 가능성을 나타낸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k/ik, ek, lik, lek)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11)

(12) Mfano)

(13) Kitu kile kimevunjika. : 그 의자는 망가져 있다.(-vunja 부수다. → -vunjika 망가져 있다.).

(14) Njia yapitika. : 그 길은 갈 수가(갈 수 있는 상태)있다.(-pita 지나가다 → -pitika 지나갈 수 있다.).

 

⑤ 반대동사(inv. ; Conversive, Reversive, Inversive, Extractional, Subtractive, Dervative Verb) : 기본형 동사에 반대, 추출, 또는 강조의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u, o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15)

(16) Mfano)

(17) Funga mlango, fungua madirisha. : 문은 잠그고, 창문은 열어라(-funga 닫다, 묶다. → -fungua 열다.).

(18) Mkulima yule anakamua ng'ombe maziwa lakini mkulima huyu anakamua machungwa. : 저 농부는 우유를 짜고 있지만 이 농부는 오렌지 주스를 (쥐어)짜내고 있다.(-kama 짜다. → -kamua 쥐어 짜내다).

 

⑥ 상호동사(ass./rp. ; Reciprocal, Associative Verb) : “서로 ~하다”라는 상호관계의 의미를 포함한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an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19) Mfano)

(20) Tulikutana, mimi na Hasani, njiani. : 나와 핫산, 우리들은 길에서 서로 만났다.(-kuta 만나다 → -kutana 서로 만나다.).

 

⑦ 기동동사(inc. ; Inceptive Derivative Verb) : 변형구성요소가 형용사에 후철되어 형용사가 지닌 의미의 상태가 시작되는 것, 즉 “~하려하다”라는 동사의 의미를 나타낸다.

   형용사 + 변형구성요소 pa 

(21)

(22) Mfano)

(23) oga 겁많은 → -ogopa 무서워하다.

(24) nene 살찐, 뚱뚱한 → -nenepa 살찌다, 뚱뚱해지다

 

⑧ 접촉동사(cont. ; Contactive, Tenacious Derivative Verb) : 기본동사의 의미에 접촉의 의미가 첨가된다.

   동사어근 +  동사의 마지막 모음 + -a 변형구성요소 (a)t

(25)

(26) Mfano)

(27) -kama 쥐다 → -kamata 잡다, 잡히다

(28) -paka 놓다 → -pakata 쥐다, 운반하다.

 

⑨ 수식동사(mod. ; Modifing Derivative Verb) :  양질, 고급수준, 즐거운 태도나 감흥 또는 일이 잘 되어  나타낸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to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29)

(30) Mfano)

(31) Kazi yangu ifanyato. : 일이 잘 되어간다.(-fanya 일하다. → -fanyato 잘되어가다.).

(32) Wanafunzi wote waliimbato. : 모든 학생들이 노래를 훌륭하게(잘, 즐겁게) 부르고 있다.(-imba 노래하다. → -imbato 흥겹게 노래하다.).

 

⑩ 정지동사(sta. ; Static Derivative Verb) : 정지의 상태, 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

   동사어근 + 변형구성요소 m, am + 동사의 마지막 모음 -a

(33)

(34) Mfano) Mwitu imefungamana. : 숲은 서로 칭칭 엉켜있다(엉켜있는 정지의 상태로 있다.)(-funga 묶다, 매다. → -fungama 묶여져 있다.).

 

⑪ 재귀동사(refl. ; Reflexive Derivative Verb) : 타동사의 기본 동사는 자동사적 의미로 변화되어 “스스로 ~하다”라는 재귀적 의미를 나타낸다.

   변형구성요소 ji + 기본동사

(35)

(36) Mfano) Anajivuna kwa sababu amepandishwa cheo. : 그는 승진했다고 해서 우쭐댄다.(-vuna 수확하다. → -jivuna 우쭐댄다.).

(37) Anajiua. : 그는 자살했다.(-ua 살해하다 → -jiua 자살하다.). 

 

⑫ 강조동사(augm./augment/int. ; Intensive, Augmentative, Durative Derivative Verb) : 반대동사를 만드는 변형구성요소 u, o 사역동사를 만드는 변형구성요소 sh, z, 지향동사/이중지향동사를 만드는 변형구성요소 li, le/ile, ele가 반대, 사역, 지향의 의미보다도 철저성, 계속성, 및 지속성 등의 의미를 표현하거나 기본형 동사의 의미를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38)

(39) Mfano)

(40) -sikia 듣다. → -skiliza 경청하다.

(41) -jibu 대답하다. → jibisha 상세히 답변하다.

(42) -kata 자르다. → katilia 즉각 잘라버리다.

 

⑬ 반복동사(red. ; Reduplicated, Frequentitive, Modified, Diminutive, Subtractive Derivative Verb) : 행위의 반복, 계속적인 행위나 상태, 의미의 약화 또는 산만한 행위를 나타낸다. 기본동사의 반복으로 만든다.

(43)

(44) Mfano)

(45) Nilimpigapiga tu. 나는 그를 가볍게 토닥거렸다.(-piga 치다. → -pigapiga 가볍게 치다.).

(46) Mtoto wako analialia. : 너의 아이가 칭얼대며 울고 있다.(-lia 울다. → -lialia 칭얼대고 울다.).

 

위에서 설명한 13가지 파생어미들은 의미와 기능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문법적 지위가 각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파생어미들의 연결순서(word order)는 스와힐리어 문법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지동사와 접촉동사는 항상 어근에 직접 연결되어 그 사이에는 다른 파생접사가 올 수 없지만 이 두 동사를 어간으로 하여 다른 파생어미 즉 수동형이나 상호형 어미들이 올 수 있다. 이 두 동사들은 어휘화의 성격이 강하여 그 적용범위가 극히 제한된다.

수동형 어미 다음에는 종결모음 -a, -i, -e 이외에 그 어떤 파생어미가 올 수 없다. 결국 수동형은 어간의 가장 외곽에 위치함으로서 굴절적 성격을 띄고 있다.

다른 파생요소들의 어순은 지향형+상태형+상호형, 정지형+상호형, 반대형+상태형, 반대형+사역형, 반대형+상태형+상호형, 지향형+사역형+상태형으로 크게 정리할 수 있다.

위의 파생어미 어순을 어휘적 성격과 굴절이라는 문법적 성격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보면 아래의 도표로 나타낼 수 있다.

 

<표 4> 동사파생어미의 문법적 기능변이

순서

정지형 → 반대형

→지향형→사역형/상태형

→상호형/수동형

문법적 특징

 어근적 성격을 띈다.

 적용범위가 좁다.

 비생산적이다.

파생어미적 성격

 굴절어미의 성격을 띈다.

 적용범위가 넓다.

 생산성이 높다.

 

나) 1.3.2 동사복합문형(Verbal Complex Structure)40)

(1)

(2) Mfano)

(3) Anafundisha. : 그/그녀가 가르치고 있다.

(4) Anasema. : 그/그녀가 말하고 있다.

(5) Wanasema. : 그들이 말하고 있다.

 

스와힐리어의 독특한 특징은 동사복합문형으로 하나의 문장이 마치 하나의 단어처럼 구성되어 있어 분석이 필요하다. 위의 예문들의 어간(stem)은 각각 -fundisha 와 -sema 이다. 접두사 -a와 -wa는 동사의 주어를 가리키는 대명사들이다. 접사 -na-는 ‘현재’를 나타내는 시제이다.

반투어의 다른 흥미 있는 특징은 문장 속에서의 동사의 역할이다. 주격, 목적격 및 관계대명사와 시상(時相)(tense and aspect)의 영역을 포함하는 접두어가 동사 앞에 놓여 많은 문법적 기능을 미리 나타낸다.  스와힐리어에서는 이것이 주격, 목적격 및 관계대명사와 시상(時相)(tense and aspect)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동사복합문형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주격접사 + 시제 + 동사이며 여기에 목적격 접사(Object Prefix)가 첨가하여 주격접사 + 시제 + 목적격 접사 + 동사, 또는 관계접사(Relative Particle)가 첨가되어 주격접사 + 시제 + 관계접사 + 목적격 접사 + 동사가 나올 수 있다.

(6)

(7) Mfano)

(8) Mimi ninasoma(ni-na-soma) Kiswahili. : 나는 스와힐리어를 공부한다.

(9) Mimi nlimpenda(ni-li-m-penda) msichana huyu. : 나는 이 소녀를 사랑했다.

(10) Hawa ni walimu wanaowafundisha(wa-na-o-wa-fundisha) wanafunzi : 이들은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선생님들이다.

 

마지막 예문에서 동사 앞의 첫 번째 wa는 walimu와 일치되는 주격접사(subject prefix)이고, na - 는 현재 발생하는 동사의 진행을 나타내는 현재시제(present tense)이며, o는 주어 walimu와 관련된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이고, 시제의 일치에서의 마지막 wa는 wanafunzi에 관련된 목적격접사(object prefix)이다.

이 모든 문법적 요소들이 동사의 어간 -fundisha에 붙어서 동사복합체를 이루고 있는데, 이때 동사 fundisha는 -fund -isha와 같이 기본동사 -funda(배우다)의 어근(root)에 파생 접미사(suffix)가 붙어서 구성되어있다. 어근 -fund는 ‘배우다(learn)’의 뜻을 나타내며, -isha는 사역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어근+접미사의 형태인 -fundisha는 ‘배우게 하다(cause to leam)' 즉 ‘가르치다(teach)'의 뜻을 나타낸다.

동사어근에 접사가 붙어 새로운 파생동사가 형성된 지향형 동사와 수동형 동사가 사용된 동사복합문형에 대한 예문을 더 들어보자.

 

Mfano) 

Ninamleta(Ni-na-m-leta) mtoto. : 나는 아이를 위해 가져온다.(-leta : 가져오다.).

(11) Ninamletea(Ni-na-m-letea) mtoto chungwa. : 나는 오렌지 한 개를 그 아이에게 주려고 가져오고 있다.(-letea : ~를 위해 가져오다.).

(12) Ninapika(Ni-na-pika) chakula. : 나는 음식을 요리하고 있다.(-pika : 요리하다.).

(13) Chakula kinapikwa(ki-na-pikwa) na mimi. : 이 음식은 나에 의해서 요리되고 있다.(-pikwa : 요리되다.).

 

 

나. 2. 통사론41)

 

스와힐리어는 기본적으로 SVO어순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동사복합체는 주어 목적어 요소가 호응접사로 나타나는데 이것만으로도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동사복합체의 어순은 SOV로 나타난다.

 

Mfano)

Mimi ninakupenda(ni-na-ku-penda) wewe. : 나는 너를 사랑한다.

1)

2) 2.1 서술동사(Verb of predicative)

 

ni : 계사 ni는 ‘―이다.’, ‘―있다.’라는 뜻으로 ni의 부정은 si다.

cf) nyumbani : 집에서(ni를 명사의 뒤에 붙여서 장소격으로 사용할 수 있음)

 

Mfano)

Mimi ni(si) Mtanzania. : 나는 탄자니아 사람이다(아니다.).

(1) Wewe ni(si) Mmarekani. : 너는 미국인이다(아니다.).

(2) Yeye ni(si) Mkenya. : 그는 케냐인이다(아니다.).

(3) Sisi ni(si) Watanzania. : 우리는 탄자니아 사람이다(아니다.).

(4) Ninyi ni(si) Waingereza. : 너희들은 영국인이다(아니다.).

(5) Wao ni(si) Waingereza. : 그들은 영국인이다(아니다.).

(6) Jabari ni mwalimu mkali; yeye si kijana, ni mzee. : 자바리는 엄한 선생님이다.; 그는 젊지 않고, 나이가 들었다.

3)

4) 2.2 대명사(Pronoun)

가) 2.2.1 자립형 인칭대명사(Self-Standing personal pronoun)

자립형 인칭대명사는 문장의 앞 또는 뒤에서 하나의 단어처럼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이미 언급된 것은 생략될 수도 있다. 자립형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나타내므로 M/Wa Class 명사에 포함되며 이 명사들을 받는 의존형 인칭대명사는 주격접사에 포함된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mimi

wewe

yeye

sisi

ninyi/nyinyi

wao

 

(1) Mfano) Mimi ninakupenda wewe. : 나는 (지금)너를 사랑하고 있다.

 

나) 2.2.2 의존형 인칭대명사(Dependent personal pronoun)

의존형 인칭대명사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앞에서 언급된 자립형 인칭대명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문장에서 생략될 수 없으며 반드시 나타난다. 아래의 예문에서 ni-, u- 그리고 a- 는 주격 접사로 주어의 명사 혹은 대명사를 나타낸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ni

u

a

tu

m

wa

 

Mfano)

Ndovu anasema. : 코끼리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Mimi ninasema. : 나는 이야기를 한다.

Wewe utalala. : 너는 잘 것이다.

Yeye alifikiri. : 그는 생각했다.

Sisi tuliuliza. : 우리는 물었다.

Nyinyi mnasoma/Nyinyi mnafundisha.: 너희들은 배우고 있다. / 너희들은 가르치고 있다.

Wao walikimbia. : 그들은 달렸다.

다)

라)

마)

바) 2.2.3 목적격 인칭대명사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ni

ku

m/mw

tu

wa

wa

사)

 

Mfano)

Ninamfahamu Hamisi. : 나는 하미시(Hamisi)를 안다.

Anawafundisha. : 그는 당신들을 가르친다.

Anawafundisha. : 그는 그들을 가르친다.

Anakufundisha. : 그는 당신을 가르친다.

Baba atamlipia ada. : 아빠는 그녀에게 수수료를 지불할 것이다.

Baba atamlipia mtoto wake ada. : 아빠는 그의 아이에게 수수료를 지불할 것이다.

(1) Ninampenda. : 나는 그/그녀를 사랑한다.

(2) Ninampikia. : 나는 그/그녀를 위해 요리하고 있다.

(3) Ninamwona. : 나는 그/그녀를 보고 있다.

(4) Ninamwambia. : 나는 그/그녀를 부르고 있다./이야기 하고 있다.

아)

자) 2.2.4 후철 인칭대명사 의존형태

일반적으로 전치사 na(~ 와 함께) 또는 계사 ni의  강조형인 ndi-(바로 ~ 이다.)와 인칭대명사의 축약형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nami(나와 함께)

nawe(너와 함께)

naye(그와 함께)

nasi(우리와 함께)

nanyi(너희들과 함께)

nayo(그들과 함께)

 

단수

복수

단수(부정계사)

1인칭

2인칭

3인칭

ndimi(바로 나다)

ndiwe(바로 너다)

ndiye(바로 그다)

ndisi(바로 우리다)

ndinyi(바로 너희들이다)

ndio(바로 그들이다)

simi(내가 아니다)

siwe(네가 아니다)

siye(그가 아니다)

 

Mfano)

Ndiwe uliyeandika barua. : 편지를 쓴 사람은 바로 너다.

Je, umevunja kalamu yangu? Simi mwalimu. / Siyo mimi mwalimu. : 네가 내 연필을 부러뜨렸니? 제가 아닙니다. 선생님.

Nakwenda kuwinda simba, lakini afadhali usije nami. : 내가 사자 사냥을 가는데 너는 나와 함께 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    

차) 2.2.5 소유대명사(Possessive pronoun)

소유대명사의 활용법은 각 부류접사의 연결어(of) + 소유대명사의 형태이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angu(나의)

-ako(너의)

-ake(그의/그녀의)

-etu(우리의)

-enu(너희들의)

-ao(그들의)

(1)

(2) Mfano)

(3) mtoto wangu : 나의 아이

(4) mama yangu : 나의 어머니

(5) baba yangu : 나의 아버지 

(6) rafiki yangu : 나의 친구

(7) mama zangu : 나의 어머니들

(8) baba zangu : 나의 아버지들

(9) (ma)rafiki zangu : 나의 친구들

(10) kiongozi wangu : 나의 지도자

(11) viongozi wangu : 나의 지도자들

(12) ndizi yangu : 나의 바나나

(13) ndizi zangu : 나의 바나나들

(14) A : Una saa yako? : 당신은 당신의 시계가 있습니까?

(15) B : Ndiyo, lakini yeye hana yake. : 네, 하지만 그는 그의 것이 없습니다.

(16)

카) 2.2.6 의문대명사(Interrogative pronoun)

 

Mfano)

nani? : 누구?

lini? : 언제?

wapi? : 어디서? : 현재시제

gani? : 어떤?

nini? : 무엇?

kwa nini? : 왜?

mbona? : 왜? 왜인가?

ngapi? : 얼마? 어떤 종류?

vipi? : 어떻게?(How)

namna gani? : 어떻게? 어떤 종류?

(1)

(2) Mfano)

(3) Kwa nini unajifunza Kiswahili? : 왜 너는 스와힐리어를 배우니?

(4) Jina lako ni nani? : 너의 이름은 무엇이니??

(5) Kila siku unajifunza nini? : 너는 매일 무엇을 배우니?

(6) Utakwendaje mjini? : 어떻게 시내에 갈거니?

(7) Nani anasoma? : 누가 공부하고 있어요?

(8) Asha anafanya nini? : 아샤가 무엇을 하고 있어요?

(9) Nani anafagia? : 누가 청소하고 있어요?

(10) Juma anafanya nini? : 주마는 무엇을 하고 있어요?

(11) Nani anateka maji? : 누가 물을 길고 있어요?

(12) Nani anapiga mpira? : 누가 공을 차고 있어요?

 

※ je : ① je가 문장의 처음에 사용되면 주의와 함께 뒤의 문장은 의문문이 된다. ② 또한 동사의 뒤에 사용되면 그 뜻이 ‘어떻게(How)’가 된다. ③ 마지막으로 명사뒤에 사용되면 '~대하여(about, how about)라는 뜻이 된다. 이 경우는 이미 앞에서 언급한 경우이다.

 

Mfano)

Je, utajifunza Kiswahihi leo? : 오늘 스와힐리어 배울거니?

(13) Wewe je? : 너는?

(14) Sisi tutakwenda sokoni.kwsho, wao je? : 우리는 내일 시장에 갈 것이다. 그들은 어때?

(15) Na ninyi je, hamjambo? : 그리고 당신들은 어때요? 잘 지내고 계세요?

(16) Je, Ndugu Ali ni mgonjwa? : 알리 형제가 아파요?

5)

6) 2.3 관사(Articles)

 

스와힐리어에는 영어의 정관사와 부정관사에 해당하는 형태가 없다. 그러므로 mwalimu는 ‘선생님’, ‘그 선생님’, ‘한 선생님’ 중 하나로 번역될 수 있다.

 

7) 2.4 시제(Tense maker)

 

na : 현재시제, 현재진행형

(1) Mfano) Ninapenda wewe. : 나는 너를 (지금) 사랑한다.

(2)

li : 과거시제

(3) Mfano) Nilisoma Kiswahili. : 나는 어제 스와힐리어를 공부했다.

(4)

ta : 미래시제

(5) Mfano) Utakwenda wapi? : 너는 어디로 갈려고 하니?

(6)

me : 현재 완료시제

(7) Mfano) Umekula chakula cha asubuhi? : 너희들 아침 먹었니?

(8)

a : 무정형의 시제; 시간이 어제인지 그 시점이 명확하지 않음.

(9) Mfano) Nakupenda sana. : 나는 너를 매우 사랑한다.

(10)

hu : 습관형 시제

(11) Mfano) Kila siku wewe hupenda kunywa chai au kahawa. : 매일 너는 차나 커피를 마시곤 한다.

 

8) 2.5 스와힐리어의 어순(Swahili sentence order)

 

가) 2.5.1 스와힐리어 문장구조(Swahili sentence)

일반적으로 간단한 스와힐리 동사는 3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주격접사(Subject prefix), 시제(Tense marker), 그리고 동사어근(Verb stem)이다.

 

☞ 주어/주격접사 + 시제 + 동사(Subject/Subject Prefix+Tense Marker+Verb)

(1) Mfano)

(2) Ninapika ugali. : 나는 우갈리를 요리하고 있다.

(3) Mimi ninasoma kiswahili. : 나는 스와힐리어를 배우고 있다.

(4) Mimi ninakupenda wewe. : 나는 너를 사랑한다.

     ☞ Ninamngoja. ⇒ Ni-na-m-ngoja.  나는 그(녀)를 기다리고 있다.

   ni- (나는),  -na- (현재시제),  -m- (그를, 그녀를),  -ngoja (기다리다)

☞ Ninampenda. ⇒ Ni-na-m-penda.  나는 그(녀)를 좋아한다.

   ni- (나는),  -na- (현재시제),  -m- (그를, 그녀를),  -penda (좋아하다)

☞ Ninamfuata. ⇒ Ni-na-m-fuata.  나는 그(녀)를 따라가고 있다.

   ni- (나는),  -na- (현재시제),  -m- (그를, 그녀를),  -fuata (따라가다)

☞ Nimeanguka. ⇒ Ni-me-anguka.  나는 넘어졌다.

   ni- (나는),  -me- (완료시상),  -anguka (넘어지다)

☞ Nimefaulu. ⇒ Ni-me-faulu.  나는 해냈다.

   ni- (나는),  -me- (완료시상),  -faulu (성공하다)

☞ Unanipenda? ⇒ U-na-ni-penda?  당신은 날 사랑하나요?

   u- (너는),  -na- (현재시제),  -ni- (나를),  -penda (사랑하다)

☞ Utanisamehe? ⇒ U-ta-ni-samehe?  당신은 절 용서해 주실 건가요?

   u- (너는),  -ta- (미래시제),  -ni- (나를),  -samehe (용서하다)

☞ Utarudi? ⇒ U-ta-rudi?  너는 돌아올 거야?

   u- (너는),  -ta- (미래시제),  -rudi (돌아오다)

☞ Anakuja. ⇒ A-na-kuja.  그(녀)는 오고 있다.

   a- (그는, 그녀는),  -na- (현재시제),  -ja (오다)

   ※ ‘-ja’, ‘-la’, ‘-nywa’와 같은 단음절 동사인 경우 ‘-ku-’를 함께 써준다.

☞ Amekula. ⇒ A-me-kula.  그(녀)는 먹었다.

   a- (그는, 그녀는),  -me- (완료시상),  -la (먹다)

☞ Atakwenda. ⇒ A-ta-kwenda.  그(녀)는 갈 것이다.

   a- (그는, 그녀는),  -ta- (미래시제),  -enda (가다)

 

☞ 주어/주격접사 + 시제 + 목적격 접사 + 동사(Subject/Subject Prefix+Tense Marker+Object Prefix+Verb)

(5)

(6) Mfano)

(7) Mimi nilimpenda msichana. : 나는 소녀를 사랑한다.

(8) Ninamjua. : 나는 그/그녀를 안다.

(9) Anatufundisha. : 그녀는 우리를 가르친다.

☞ Unanipenda? ⇒ U-na-ni-penda?  당신은 날 사랑하나요?

   u- (너는),  -na- (현재시제),  -ni- (나를),  -penda (사랑하다)

☞ Utanisamehe? ⇒ U-ta-ni-samehe?  당신은 절 용서해 주실건가요?

   u- (너는),  -ta- (미래시제),  -ni- (나를),  -samehe (용서하다)

☞ Namjua. ⇒ Ni-a-m-jua.  난 그(녀)를 안다.

   ni- (나는),  -a- (단순현재),  -m- (그를, 그녀를),  -jua (알다)

☞ Tulimpa chakula. ⇒ Tu-li-m-pa chakula.  우리는 그(녀)에게 음식을 주었다.

   tu- (우리는),  -li- (과거시제),  -m- (그에게, 그녀에게),  -pa (주다),  chakula (음식)

   ※ 단음절 동사라도 동사 어간 앞에 목적어(목적격전철)가 오면 ‘-ku-’를 생략한다.

 

☞ 주어/주격접사 + 시제 + 관계접사 + 목적격 접사 + 동사(Subject/Subject Prefix+Tense Marker+Relative Particle+Object Prefix+Verb)

     Mfano)

     Chakula kilichonitosha mimi. : 나에게 충분한 음식

 

나) 2.5.2 스와힐리어 구(Swahili phrase)

☞ 명사 + 형용사 + 지시사 명사를 수식하는 명사구의 어순은 형용사는 지시사(this, these, that, those) 앞에 온다. 2개의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대등 접속사 na 또는 tena에 의해 결합된다.

(1)

(2) Mfano)

(3) kinyago kikubwa hiki : 이 큰 조각물.

(4) vinyago vikubwa viwili : 두개의 큰 조각물들

(5) Vinyago vyake ni vikubwa na vizuri. : 그의 조각물들은 크고 아름답다.

(6) Vinyago vyao ni vidogo tena rahisi. : 그들의 조각물들은 작고 싸다.

cf.) kinyago(vi-) : 1. 희극(喜劇), 소극(笑劇). 2. 코미디언, 희극인. 3. 조각 작품. 4. 허수아비.

☞ 명사 + 형용사 + 수(Noun+Adjective+Number)가 일반적이나 명사 + 수사 + 형용사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7)

(8) Mfano)

(9) kisu kidogo kimoja : 하나의 작은 칼

(10) wanafunzi wazuri watatu : 3명의 좋은 선생님들

 

☞ 명사 + 소유격 + 명사(소유주) (Noun+Possessive Case+Possessor)

(11)

(12) Mfano)

(13) mfuko wa chakula : 음식을 먹는 숟가락

(14) baisikeli ya Juma : Juma의 자전거

 

☞ 명사 + 소유대명사(Noun+Possessive Pronoun) + 형용사

(15)

(16) Mfano)

(17) nyumba yetu : 우리들의 집

(18) kinyago changu kikubwa  : 나의 큰 조각물

(19) vinyago vyangu viwili : 나의 두개의 조각물들

☞ 명사 + 지시사(Noun+Demonstrative Pronoun) hapa, pale, huku 등과 같이 ‘여기’ ‘저기’의 의미를 지닌 단어들이 부사적 명사들(-ni를 붙여서 부사가 되는 명사)과 함께 사용될 때, ‘여기’ ‘저기’의 의미를 지닌 단어는 종종 명사보다 앞에 오게 된다.

(20)

(21) Mfano)

(22) ua hili : 이 꽃.

(23) ua lile : 저 꽃

(24) ua hilo : 그 꽃

(25) hapa ofisini : 여기 사무실 안/사무실의 이곳

(26) pale pembeni : 저기 모퉁이에/모퉁이의 저곳

(27) kule mjini : 저기 마을 안/마을의 저곳

(28) humu mfukoni : 여기 가방 안/가방의 이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