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역공동체 15

동부아프리카 관세동맹-경제성장의 새로운 촉매제

그동안 많은 기대를 모았던 동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 협약(East African Customs Union Treaty)이 올해 3월 최종적으로 서명되었다. 이 협약을 통해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의 3개동맹국은 동부 아프리카 지역 내 무역 장애를 제거하는 관세 체제 설정에 동의하였다. 동맹국들은 동일 외부 관세 및 지역 제조업 발전 지원계획에 동의하였고, 특히 케냐는 동부 아프리카 공동체(East African Community; 이하 ‘EAC’)내 자국 수출에 대한 부가요금 지불에 찬성하였다. 한편에서는 동부 아프리카 통합을 위한 이러한 단계적 접근방법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요하고 있다며 불만을 표시하기도 하지만, 점진적 접근이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더 유익할거라는 데는 이의가 없다. EAC 사무국은 ..

국제섬유수출국기구(International Textiles and Clothing Bureau)

국제섬유수출국기구(International Textiles and Clothing Bureau : ITCB) 는 지난 1984년에 섬유 의류 수출국들을 주축으로 한국과 북한을 비롯 브라질, 중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로,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마카오, 몰디브, 멕시코, 파키스탄, 파라과이, 페루, 스리랑카, 태국, 우루과이, 베트남, 그리고 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가 회원국으로 총 22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으며 모리셔스, 싱가포르, 쿠바는 옵저버 자격으로 참가하고 있다.

아프리카 경제위원회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아프리카 경제위원회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약칭 ECA이다. 유엔 경제사회 이사회의 하부기구의 하나로서, 1958년 4월 29일의 유엔 경제사회 이사회 결의 671A에 의해 설립된 아프리카 지역경제 위원회이다.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개발, 경제협력의 촉진을 목적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사회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거나 이에 대한 권고를 실시하는 등의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2001년 현재, 아프리카의 유엔 가맹국인 53개국이 가맹하고 있다. 본부는 이디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Adis Ababa)에 있으며 약 70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총회, 각종 대신 회의, 기술적 준비 전체 위원회, 전문 분야별 보조 기관 외에 아프리카 경제 개발 계획 연구소, 아프..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순조로운 진행

케냐를 포함한 탄자니아, 우간다 등 동아프리카 3국 공동체인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East African Community)'가 25년전 실패를 딛고 하나씩 재건에 나서고 있다. 지난 12.1일 탄자니아 Arusha에서 개최된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등 EAC 3국 정상회담에서 'EAC 입법부'와 'EAC 사법부'를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입법부는 총 32명으로 구성되며 각국에서 9명씩 선출하고 6명의 임명직이 합류하고 있다. 입법부의 주요역할은 회원국 조율을 통해 EAC 발전에 필요한 법규를 제정하는데 있다. 한편 사법부는 의장을 포함하여 총 6명으로 구성되었는데, 동맹국간 법률적인 다툼이 있을시 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EAC 통합기구 ..

서부아프리카제국경제공동체 회원국 15개로 축소

ECOWAS 회원국이 현재는 15개로 축소되었습니다. (모리타니아 제외) The Republic of BENIN, BURKINA FASO, The Republic of CABO VERDE The Republic of COTE D'IVOIRE,The Republic of GAMBIE, The Republic of GHANA The Republic of GUINEE, The Republic of GUINEE BISSAU,The Republic of LIBERIA The Republic of MALI,The Republic of NIGER, The Republic of NIGERIA The Republic of SENEGAL,The Republic of SIERRA LEONE, TOGOLESE Rep..

서부아프리카 통화통맹(Union Monetaire Ouest Africaine:UMOA)

서부아프리카 통화통맹(Union Monetaire Ouest Africaine:UMOA) UMOA는 구 불령 서부아프리카 6개국이 중심이 되어 프랑스가 창설했던 CFA프랑 및 프랑지역의 유지를 위해 1962년 5월에 설립되었으며 토고가 1963년에 추가로 가입하였다. UMOA의 기본목적은 역내 통화정책의 통합을 통해 역내의 무역의 중진 및 개발발전을 기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UMOA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첫째, 역내 중앙은행(BCEAO)을 기초로 두고 역내 공동통화정책을 도모하여 공동통화권을 형성한다. 두 번째는, 역내제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자문과 분석을 수행한다. 세 번째는, 역내 개발은행으로 서부아프리카은행(BOAD)를 아래에 두고 역내 국가들의 경제개발사업에 대하여 금융..

서부아프리카 경제 공동체(Communinaute Economique de I'Afrique de I'Guest :CEAO)

서부아프리카 경제 공동체(Communinaute Economique de I'Afrique de I'Guest :CEAO) CEAO가맹국들의 대부분은 독립 이전에 프랑스 식민지 통치를 받던 국가들로서 당초부터 이들 국가들은 무역관리, 통화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유사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국가는 독립 이전부터 역내 경제협력기구의 설립을 위한 협력기반 및 단결의식이 타 지역에 비해 일찍부터 조성되어 있었다고 하겠다. 독립이후 이들 국가는 역내 무역자유화를 위하여 1959년에 서아프리카 관세동맹을 설립하였으며 그후 이 기구는 역할 확대를 위해 경제통합화를 지향하는 관세·경제동맹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동 기구의 성과가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에 그후 이 기구는 다시 1972년 말리의 ..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3

종전 수많은 종류의 관세서류(어떤 국가에 따라서는 32개의 서류 요구)를 하나로 통일한 COMESA-CD(COMESA Customs Document)를 도입했다. 이는 통관, 창고보관, 재수출 및 상품이동 등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회원국간의 물류이동이 종전에 비해 아주 편리해졌다. 이는 관세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효과적인 무역거래 데이터 및 관세수입 등의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Customs Bond Guarantee Scheme을 통해 수출입 부대비용을 절감시켜주기 위해 도입하였으며 무역정보네트워크(TINET, Trade Information Network)를 구축하여 현재 20개 회원국내에 47개의 핵심포인트(focal points)가 전산화됐으며 이 핵심포인트는 각국내 수출입..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2

COMESA 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최고의결기구:각 회원국 정부수반으로 구성되며 COMESA 기능 및 목적과 방향에 대한 최고의결 기관 ○2 Council of ministers:정책수행 및 재정, 행정 관리 전담 ○3 Committee of Governors of Central Banks:COMESA의 Clearing House 관리, 재정협의 및 정책관리 수립 ○4 Technical Committees:각종 경제분야 및 행정, 예산 설립등에 관여 ○5 The Secretariat:총비서에 의해 관장되며, 주로 회원국간의 정관 수립 자문 담당 ○6 The Consultative Committee of the Business Community and Other Interest Groups: ..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아프리카 최대 경제공동시장인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The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이 아프리카 최초로 무관세 자유무역지대인 FTA(Free Trade Area)를 출범했다.COMESA-FTA는 세계화 추세와 지역별 경제블록화 추세에 맞추어 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초로 경제공동체를 탄생시켜 회원국간 교역증진, 규모의 시장확보를 통한 자체 투자 및 외국인 투자유치 여건조성은 물론 동 역내시장 확대를 통한 경쟁력 향상과 아울러 타 경제불록 및 교역대상국과의 협상력 강화로 경제발전 및 고용창출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동남부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은 81년부터 동남부 아프리카 특혜관세지역(PTA,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