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바족은 수단의 남부 코르도판 지역에 위치한 Nuba 산맥의 원주민이라고 일컬어지며 주로 기독교와 정령 신앙을 숭배한다. 아랍어를 사용하는 바가라족과 젤라바족 등 다른 종족들이 그 지역을 차지한 이후, 비아랍계인 누바족은 누바 산맥에 거주하는 인구의 60%에만 이르게 되었다. 그 곳 사람들은 "누바"라는 말로 불려지기는 하지만, 단일한 누바 종족이란 없다. 그 대신, 그 용어는 같은 환경을 공유하고 주변 부족들과는 두드러지게 구별되는 사람들의 지역 집단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누바 부족들은 각각이 그 자체 언어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종족집단이 된다. 사실, 누바 산지에서는 거의 100개의 다른 방언들이 사용된다. 이것 때문에 한 공동체는 바로 이웃 공동체와도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다. 다행한 것은, 많은 누바족들이 제2언어로 아랍어를 할 수 있어서, 다른 부족과 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러 세기 동안, 누바 산맥은 억압적인 정부와 노예상인들을 피해온 사람들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 아마도 이것이 그들이 왜 그렇게 다양한 종족과 언어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을 가장 잘 설명해준다.
삶의 모습
누바 부족들은 원래 피난 목적으로 산맥으로 왔기 때문에, 그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인들을 싫어하고 믿지 않는다. 부족들 대부분은 아직도 누바 산맥에 살고 있지만, 일부 사람들은 1800년대 후반부터 주변의 산지와 평야로 이주했다. 또 다른 일부는 심지어는 일거리와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찾아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도시로도 이주했다. 이러한 점차적인 이주는 그 부족들을 위한 영국의 법과 질서가 만들어져 외부의 영향력에 대하여 그들이 안도감을 느끼게 되었기 때문이다. 환금작물로서 면화가 도입되었으며 이것이 또한 일부 사람들을 남쪽으로 이주하게끔 했다.
누바족들은 부지런한 농부들이며 그들의 생계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주요 작물인 기장은 내다 팔거나 맥주 만드는 데 쓴다. 수수, 참깨, 땅콩, 담배도 개인적으로 소비하기 위해 재배한다. 누바족은 또 산림에서 나는 산물들을 채집하여 그 지역의 수출품으로서 판매한다. 심지어 여자들도 자신들의 자그마한 채소밭을 가지고 있어서 양파, 오크라, 콩, 옥수수 같은 야채를 키운다. 누바족은 또 소, 양, 염소, 닭도 기른다.
수수죽이 누바족의 주요 식사이다. 여기에다 육류, 오크라, 팥으로 만든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 얇고 거친 빵인 두라(Dura)는 이웃 아랍 집단들에 의해 누바족에게 소개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이것이 그들 주식의 하나가 되었다. 두라는 또 도수가 낮은 맥주를 만드는 데도 쓴다. 도시로 이주한 누바족은 이제 제과점에서 산 빵과 신선한 육류, 신선한 식품들을 즐기고 있으며, 수수죽을 먹고 싶어하는 생각은 없어졌다.
누바 공동체 각각은 크기가 다르다. 어떤 집단은 단 1천명밖에 안되는 소규모 마을에서 살고, 다른 집단은 이웃 마을과 결합하여 5만 명에 이르는 공동체를 만들기도 한다.
전형적인 누바족의 가옥은 돌이나 회반죽한 이엉으로 만든다. 각 가정에는 부엌과 침실, 곡물창고가 있다. 어떤 집에는 또 이웃에서 온 젊은 미혼 소녀가 자는 방도 특별히 마련되어 있다.
마을 공동체는 씨족이나 대가족 단위로 조직된다. 마을의 권위는 씨족 장로의 손에 맡겨져 있다. 각 공동체에는 대개 큰 석조의 이슬람 사원이 있다. 대부분의 이슬람 사원에는 이슬람 학교가 있어서 어린 소년 소녀들이 가서 코란을 배운다.
많은 누바 부족들은 각각이 그 자체 언어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종족집단이 된다. 사실, 누바 산지에서는 거의 100개의 다른 방언들이 사용된다. 이것 때문에 한 공동체는 바로 이웃 공동체와도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다. 다행한 것은, 많은 누바족들이 제2언어로 아랍어를 할 수 있어서, 다른 부족과 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러 세기 동안, 누바 산맥은 억압적인 정부와 노예상인들을 피해온 사람들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 아마도 이것이 그들이 왜 그렇게 다양한 종족과 언어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을 가장 잘 설명해준다.
삶의 모습
누바 부족들은 원래 피난 목적으로 산맥으로 왔기 때문에, 그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인들을 싫어하고 믿지 않는다. 부족들 대부분은 아직도 누바 산맥에 살고 있지만, 일부 사람들은 1800년대 후반부터 주변의 산지와 평야로 이주했다. 또 다른 일부는 심지어는 일거리와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찾아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도시로도 이주했다. 이러한 점차적인 이주는 그 부족들을 위한 영국의 법과 질서가 만들어져 외부의 영향력에 대하여 그들이 안도감을 느끼게 되었기 때문이다. 환금작물로서 면화가 도입되었으며 이것이 또한 일부 사람들을 남쪽으로 이주하게끔 했다.
누바족들은 부지런한 농부들이며 그들의 생계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주요 작물인 기장은 내다 팔거나 맥주 만드는 데 쓴다. 수수, 참깨, 땅콩, 담배도 개인적으로 소비하기 위해 재배한다. 누바족은 또 산림에서 나는 산물들을 채집하여 그 지역의 수출품으로서 판매한다. 심지어 여자들도 자신들의 자그마한 채소밭을 가지고 있어서 양파, 오크라, 콩, 옥수수 같은 야채를 키운다. 누바족은 또 소, 양, 염소, 닭도 기른다.
수수죽이 누바족의 주요 식사이다. 여기에다 육류, 오크라, 팥으로 만든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 얇고 거친 빵인 두라(Dura)는 이웃 아랍 집단들에 의해 누바족에게 소개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이것이 그들 주식의 하나가 되었다. 두라는 또 도수가 낮은 맥주를 만드는 데도 쓴다. 도시로 이주한 누바족은 이제 제과점에서 산 빵과 신선한 육류, 신선한 식품들을 즐기고 있으며, 수수죽을 먹고 싶어하는 생각은 없어졌다.
누바 공동체 각각은 크기가 다르다. 어떤 집단은 단 1천명밖에 안되는 소규모 마을에서 살고, 다른 집단은 이웃 마을과 결합하여 5만 명에 이르는 공동체를 만들기도 한다.
전형적인 누바족의 가옥은 돌이나 회반죽한 이엉으로 만든다. 각 가정에는 부엌과 침실, 곡물창고가 있다. 어떤 집에는 또 이웃에서 온 젊은 미혼 소녀가 자는 방도 특별히 마련되어 있다.
마을 공동체는 씨족이나 대가족 단위로 조직된다. 마을의 권위는 씨족 장로의 손에 맡겨져 있다. 각 공동체에는 대개 큰 석조의 이슬람 사원이 있다. 대부분의 이슬람 사원에는 이슬람 학교가 있어서 어린 소년 소녀들이 가서 코란을 배운다.
'사회문화 > 아프리카의 민족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딩카(Dinka) 족 -수단 (0) | 2001.11.21 |
---|---|
단(Dan)족 (0) | 2001.11.21 |
[제23장] 아프리카 신화와 전설 (2) | 2001.11.15 |
[제22장] 아프리카 속담 (10) | 2001.11.08 |
[제21장] 아프리카의 이름 (0) | 200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