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호메이(Dahomey)
다호메이는 서아프리카의 왕국으로 같은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1625년 폰(Fon)족은 지금의 베닌 중부 지역에 있는 아보메이(Abomey)라는 곳에 왕국을 설립했다. 이 국가를 폰 다호메이(Fon Dahomey)라고도 부른다. 아가자(Agaja) 왕의 통치시기(1708-1732)에 번영을 누렸다. 잠시 동안 다호메이 왕국은 요루바(Yoruba)족의 오요(Oyo)왕국에 지배를 받았지만 1850년 중반에 독립하였다. 다호메이는 야자 기름과 노예무역으로 이익을 얻었지만 프랑스는 1889년에 다호메이의 연안지역을 빼앗았다. 1982년에 왕의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다호메이는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1.1.1. 1. 폰(Fon)족
다호메이(Dahomey) 왕국의 폰(Fon)족의 세력이 최고조일 때 약 25만 명 정도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강력한 중앙집권체제에 의해 왕과 관료들이 정치를 지배한 상황에서 다호메이는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으며 19세기말까지 유럽인들의 침투와 정복야욕에 대해 성공적으로 저항했다. 폰 왕국은 알라다(Allada) 전사집단이 점차적으로 현재의 아보메에(Abomey)와 같은 내륙 깊숙한 곳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졌을 때인 17세기에 세워졌다. 아보메이에서 폰 왕국의 첫 번째 통치자가 그가 정복한 지방의 추장이나 통치자의 무덤 위에 왕궁을 건설하였고 후에 이 전통은 계속되었다. 가장 훌륭한 통치자였던 카리스마적인 인물 아가자(Agaja) 왕은 1708년부터 1732년까지 그의 왕국을 가장 강력하게 통치했다. 다호메이왕국은 아프리카 왕국들 중 훌륭한 상비군을 갖추고 있었는데 18세기 초에 약 3,000명을 19세기 중반에는 약 12,000명의 군 병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약 2,500명의 용맹한 여자 전사들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여자 전사들은 왕을 개인적으로 보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다. 유럽인 무역업자들로부터 무기를 획득하게 된 폰 왕국은 그들의 영토를 넓힐 수 있었다. 해안에 대한 통제는 폰족에게 막대한 노예무역의 이익을 보장했고 더 나아가 자신들의 국민을 보호할 수 있게 했다. 소위 ‘노예 해안(Slave Coast)' 지역에 위치한 폰족의 항구들은 유럽, 미국,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삼각무역의 중요한 기지였다. 예를 들어 18세기 후반에 우이다(Ouidah)항구는 매년 40-50척의 독일, 영국, 프랑스, 포르투갈 배들이 무기와 기타 상품을 수입하고 노예를 선적하기 위해 드나들었다.
야자 기름은 노예무역이 금지된 이후 중요한 수출품목이 되었다. 그러나 야자 기름 가격 하락은 다호메이의 경제를 약화시켰고 1889년 프랑스가 막강한 군사력으로 해안지방을 통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따라 그렐레(Glele)왕은 자살하고 그의 아들인 베한진(Behanzin)이 왕위를 물려받았다. 베한진 왕과 그의 군대의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1892년 다호메이는 프랑스에 점령당했다. 이후 프랑스는 지역의 추장을 이용해 통치와 행정을 했다.
1.1.2. 2. 다호메이/베닌의 역사
1625년 : 아보메이(Abomey)의 다코(Dako) 왕은 현재의 베닌에 다호메이(Dahomey) 왕국을 건설
1807년 : 영국은 다호메이의 경제적 위기 때문에 노예무역을 금지.
1851년 : 프랑스는 다호메이와의 무역조약을 체결.
1904년 : 프랑스는 다호메이 왕국과 합병하고, 프랑스령 서아프리카(French West Africa)로 만듬.
1946년 : 다호메이는 프랑스의 해외영토로 편입됨.
1958년 : 다호메이는 프랑스에 의해 자치 정부의 지위를 받음.
1960 8. 1 : 다호메이가 독립함.
1960-1972년 : 군사 구데타로 인해 정부가 자주 바뀜.
1972년 : 마티에우 케레코우 장군(Gen, Mathieu Kérékou)은 군사 구데타로 대통령이 됨.
1975년 : 다호메이는 베닌으로 개명. 막스 레닌주의(Marxist-Leninism)가 소개됨.
1989년 : 막스 레닌주의 이념이 공식적으로 폐기됨.
1990년 : 케레코우의 정부가 세력을 읽고 정치 정당이 합법화됨.
1991년 : 니체폴레 소글로(Nicephore Soglo)가 베닌의 첫 선거에 대통령으로 선출됨.
1996년 : 케레로우가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에게 정권을 이양함.
1997년 : 노동조합이 정부의 경제자유화조치를 지지
2000년 : 케레코우가 대통령으로 재당선됨.
'역사 > 아프리카 역사 100장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독립을 위한 투쟁 (0) | 2011.01.20 |
---|---|
23. 대이주(Great Trek, 1836-1846) (0) | 2011.01.20 |
21. 다르푸르(Darfur) (0) | 2011.01.17 |
20. 누비아(Nubia) (0) | 2011.01.17 |
19. 농업의 발전 (0) | 201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