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 417

남아공의 흠랜드(Homelands in South Africa)

◎ 남아공의 흠랜드(Homelands in South Africa) 남아프리카에서 흑인 단체들을 위한 '독립된 국가'로서 분리해둔 지역이다. 남아공 백인 정부는 다양한 민족들을 통합하려고 시도하기 보다는 '반투민족'들을 분리된 독립국가들로 형성하여 그들 각각의 국가들을 가져야 한다고 1959년에 결정하였다. 그후 정부는 보호지역을 고안하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독립국가로 만들었다. 남아공 전체 면적의 약 13%, 그 나마 매우 척박한 땅에 전체 인구의 약 70%를 넘는 흑인 인구를 수용하였다. 4개의 독립국가를 포함한 열 개의 분리 흠 랜드들은 각각의 독특한 흑인 국가들로 간주되었다. 백인 통치자들의 목적은 1978년 새로운 복수관련장관(Minister of plural..

아파르테이트(Apartheid)

◎ 아파르테이트(Apartheid) 이 용어는 아프리칸즈어로 분리의 의미를 지닌다. 아파르테이트는 인종 각자의 특성에 따라 분리, 발전되어야 한다는 국민당(1948년 이하 남아공 정부의 통치당)의 정책이다. '아파르테이트'(Apartheid)라 불리우는 인종차별 법은 단지 전인구의 17%를 차지하고 있는 백인이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혹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만든 법이다. 남아공에는 공식적으로 4개의 주요 인종집단이 피라미드형 사회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전체인구의 13.6%인 백인들이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지배충을 형성하고 있으며 약 11,2%의 혼혈, 아시아인들이 중간계층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단순 노동자의 지위에 머무르고 있는 전인구의 75.2%매 달하는..

아프리카너(Africaner)

◎ 아프리카너(Africaner) 남아공의 아프리카너는 네들란드, 프랑스, 독일계인들이다. 아프리카너는 백인인구의 5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영국인 후손들이다) 남아공 전체인구의 약 8%를 차지하고 있다. 아프리카너들은 정치적으로 다른 백인들을 통치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1994년 다수의 흑인정권이 집권하기 전까지 실제 이 나라의 지배자들이었다. 그들은 극단적인 동질적 그룹을 형성하며 그들 자신들의 언어(아프리칸즈:Africaans)를 사용하고 그들 자신들의 종교(네들란드의 개신교로 주로 캘빈파)를 믿고 있다. 또한 그들은 정당(국민당)을 조직하여 지지하며 그리고 남아공 내의 흑인, 혼혈인(Colored) 그리고 아시아인들을 통치하는 특권적 지위를 보존하기 위한 인종분리정책(Aparthei..

서부아프리카(West Africa)

서부아프리카(West Africa) 차드호수의 서부지역을 말하는데 말리, 어퍼볼타, 니제르, 모리타니아, 세네갈, 감비아, 기네비소, 기네아,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뜨디부아르, 가나, 토고, 베넹, 나이지리아 등이 포함된다. 서부아프리카는 아프리카 인구의 약 1/3을 차지하며 인종도 아주 다양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대서양 노예무역을 통해 수많은 노예들이 제공된 지역이다. 서부 아프리카 지역은 비교적 일찍 정치적 안정을 이룬 국가군(세네갈, 코트디브와르, 가봉, , 말리, 가나, 베넹)과 아직도 과거 식민지적 유산과 내전, 군인 폭동 및 쿠데타 등으로 정세가 불안한 국가군(라이베리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감비아, 챠드, 중앙아, 기네)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주요 국별 정세를 살펴보면..

남부아프리카(Southern Africa)

남부아프리카(Southern Africa) 이 지역은 앙골라, 잠비아,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보츠와나, 스와질랜드, 레소토, 그리고 남아공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몇몇 학자들은 인도양 지역 국가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앙골라와 모잠비크(이상 포르투갈), 나미비아(남아공)를 제외하고는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1990년대 초까지 이 지역에서의 가장 큰 두가지 문제는 소수 백인통치문제와 인종차별의 문제였다. 현재 이 문제에 있어서 나미비아가 1990년에 독립하였고 인종차별도 1994년 남아공에서의 다인종선거로 철폐되었다. 한편, 남부아프리카는 풍부한 지하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크롬, 구리, 다이아몬드, 금, 우라늄 등이 풍부하며 세계 경제의 중요한 지역이다. 남아공의 흑인 정부는 그간 6년간의 ..

북아프리카(North Africa)

북아프리카(North Africa) 지중해와 접해있는 다섯국가 즉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아, 리비아, 이집트 등의 국가와 서사하라 그리고 수단공화국이 포함되는데 수단의 경우 인종이나 문화적으로 북아프리카 보다는 흑아프리카에 가까우나 북수단이 이슬람 문화권에 속해있다. 이 지역의 동질적인 특성은 아랍어로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역사적으로 중동과 유대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지중해의 남부해안은 2천여년이 넘게 서구의 영향을 받아왔다. 모로코에서 이집트에 이르는 지중해 해안지역은 로마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사하라 이북 북아프리카 지역을 살펴보면 코피 아난(Kofi Annan) 유엔 사무총장의 특사 자격으로 제임스 베이커(James Baker) 전 미국무장관이 활발한 중재 활동을 벌여온 서부사하라 문제는 1..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3

종전 수많은 종류의 관세서류(어떤 국가에 따라서는 32개의 서류 요구)를 하나로 통일한 COMESA-CD(COMESA Customs Document)를 도입했다. 이는 통관, 창고보관, 재수출 및 상품이동 등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회원국간의 물류이동이 종전에 비해 아주 편리해졌다. 이는 관세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효과적인 무역거래 데이터 및 관세수입 등의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Customs Bond Guarantee Scheme을 통해 수출입 부대비용을 절감시켜주기 위해 도입하였으며 무역정보네트워크(TINET, Trade Information Network)를 구축하여 현재 20개 회원국내에 47개의 핵심포인트(focal points)가 전산화됐으며 이 핵심포인트는 각국내 수출입..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2

COMESA 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최고의결기구:각 회원국 정부수반으로 구성되며 COMESA 기능 및 목적과 방향에 대한 최고의결 기관 ○2 Council of ministers:정책수행 및 재정, 행정 관리 전담 ○3 Committee of Governors of Central Banks:COMESA의 Clearing House 관리, 재정협의 및 정책관리 수립 ○4 Technical Committees:각종 경제분야 및 행정, 예산 설립등에 관여 ○5 The Secretariat:총비서에 의해 관장되며, 주로 회원국간의 정관 수립 자문 담당 ○6 The Consultative Committee of the Business Community and Other Interest Groups: ..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아프리카 최대 경제공동시장인 동남부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The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이 아프리카 최초로 무관세 자유무역지대인 FTA(Free Trade Area)를 출범했다.COMESA-FTA는 세계화 추세와 지역별 경제블록화 추세에 맞추어 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초로 경제공동체를 탄생시켜 회원국간 교역증진, 규모의 시장확보를 통한 자체 투자 및 외국인 투자유치 여건조성은 물론 동 역내시장 확대를 통한 경쟁력 향상과 아울러 타 경제불록 및 교역대상국과의 협상력 강화로 경제발전 및 고용창출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동남부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은 81년부터 동남부 아프리카 특혜관세지역(PTA, The ..

서부아프리카 제국 경제공동체(ECOWAS)

서부아프리카 제국 경제공동체(ECOWAS) ECOWAS는 1975년 나이지리아의 라고스에서 조인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공동체이다. 이 공동체의 인구는 약 1억 5천만명으로 아프리카인구의 1/3을 차지하며 면적은 1/5을 차지하는 광범위한 지역이다. 이 공동체의 회원국은 16개국으로 9개의 불어권 국가(토고, 베넹, 코뜨디부아르, 세네갈, 부르키나파소. 모리타니아, 니제르. 말리)와 5개의 영어권 국가(감비아. 시에라레온, 라이베리아, 가나, 나이지리아) 그리고 2개의 포어권 국가(기네아비소, 케이프 베르데)로 구성되어 있다. ECOWAS 설립의 기본적 이론은 다음과 같은 서아프리카 공공정책에 관한 3가지 중요한 목표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첫째, 서아프리카 제국은 외부세력에 의한 경제적 지배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