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 417

[아프리카연합]기니, 카메룬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선출

2년 임기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에 아프리카에서는 기니, 카메룬이 선출되었다. 유엔 안보리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5개 상임 이사국과 매년 5개국씩 교체되는 10개 비상임 이사국으로 구성돼 있다. 미국은 지난해 국무부 테러지원국 명단에 있던 수단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을 강력하게 반대, 이를 무산시킨 바 있다.시리아,불가리아,멕시코등도 이번에 기니,카메룬과 함께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2001년 10월 10일 조선일보 기사 참조

[감비아]집권 대통령 압승 예상

Gambia's president wins second term 지난 목요일(18일) 실시된 감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현 집권 대통령 Yahya Jammeh 가 승리한 것으로 최초 결과가 집계되었다. 현재 약 2~3개 선거구에서의 최종 결과만 남겨놓은 상태에서 Yahya Jammeh 는 52.3%의 득표율을 기록해 33%의 득표율을 기록한 그의 경쟁자인 3당 연합 후보자인 변호사 Ousainou Darboe를 압도적 표차로 누르고 있다. 1997년에 개정된 감비아 헌법 48장 3조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50%이상 득표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 2차 투표가 진행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집권 대통령이 5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함에 따라 2차 투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감비아 수도 Ba..

인류조상은 파키스탄?

프랑스 대학교 국제 연구팀은 현재는 마다가스카라섬에 밖에 생식 하지 않는 키트네잘의 약 3000 만년전 최고의 화석을 파키스탄에서 발견했다고 19일 발행한 미과학잡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키트네잘류의 기원은 지금까지 마다가스카르 섬과 가까운 아프리카 대륙과 연관된다거 생각 했었지만, 파키스탄에서의 키트네잘류의 발견으로 아시아였던 가능성이 부상했다. 이 예상외의 발견은 영장류 전체의 진화 계통을 해명하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석이 발견된 곳은 파키스탄의 바르치스탄주토부의 브그티히르즈이다. 화석에는 이빨이 포함되어 아래턱의 송곳니 이빨과 같은 독특한 형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키트네잘류의 일종으로 현재의 원숭이 중에서 가장 작은 코비트키트네잘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도곤족의 탈춤 축제 - 말리

아프리카의 축제는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점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음악과 춤을 근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음악은 가사와 곡조로 되어 있는데, 가사는 매우 시적이기도 하고 신화적이기도 하다. 때로는 교훈적이거나 아니면 도덕적인 것을 강조하는 것도 있다. 곡조를 소리낼 때는 사람의 입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여 낸다. 춤은 이런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몸의 모든 부분을 다 동원하여 정열적으로 춘다. 춤을 출 때는 여러 가지 '의장'(衣裝)과 분장을 하고 춤을 추는데, 이 의장은 풀잎이나 동물 가죽과 같은 자연적인 재료로 만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탈(mask)을 쓰고 나와 춤을 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음악과 춤, 악기, 탈, 가사의 암송 등은 ..

이밀칠(Imilchil)축제 - 모로코

모로코의 모든 종교 축제 중에 매년 9월 말에 열리는 축제가 이밀칠(Imilchil)이다. 이밀칠 축제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 중의 하나이다. 이밀칠은 모로코 마을의 지명으로 이 마을 자체는 다른 마을들과 비교하여 별다른 특이성은 없지만 축제로 인해 이 마을은 유명해졌다. 이밀칠은 모로코의 산악지대에 위치해 있다. 이밀칠 축제 기간에 결혼을 목적으로 소년과 소녀들이 일부 성인들의 통제하에 만남을 가진다. 이 마을의 전통 결혼인 모셈(Moussems)은 여자가 축제기간 동안 남자를 골라 결혼을 하는 것으로 그래서 이밀칠 축제를 결혼 축제라고도 불린다. 이 마을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옛날에 티스렛(Tislet)이라는 여자와 이슬리(Isli)라는 남자는 서로 사랑한 사이였다. 그러나 두..

마스칼 축제 - 이디오피아

이디오피아의 마스칼 축제는 로마의 콘스탄틴 대제때부터 1670년간 이어져 내려오는데 마스칼(Maskal)이란 십자가를 뜻하기도 한다. 즉 마스칼은 이디오피아 수도 아디스 아바바의 북쪽 438킬로미터 떨어져 위치한 기센 마리암(Gishen Mariam )수도원에 있는 진실 십자가(True Cross)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 수도원 안에는 제라 야콥(Zera Yacob : 1434-1468) 집권시기에 그 십자가를 얻게된 동기를 기록한 테푸트(Tefut)라고 불리는 대규모 서적이 비치되어있다. 중세시대에 이디오피아의 기독교 왕국은 곱틱 소수민들을 보호하고 그들을 박해하는 세력들에 대항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 그들의 전쟁에 대한 보상은 일반적으로 금을 받았으나 황제 다윗(Dawit)은 알렉산드리아 대주교에게..

유럽 정착민(Settlers : White)

◎ 유럽 정착민(Settlers : White) 이주하였거나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유럽 조상들의 민족들을 일상적으로 지칭하는 불명확한 의미이다('백인'이라는 의미는 코카사스인종과 동의어로서 북아프리카인과 대부분의 아시아 정착민들 또한 코카사스인종이나 아프리카에서는 백인으로 언급되지 않고 있다). 백인들은 주로 동부와 남부 아프리카에 정착하였으며 특히 케냐, 남아공, 짐바브웨 그리고 나미비아에 거주하였다. 그들은 그들이 정착한 어느 곳에서나 소수인이었다 : 케냐에서는 0.2%, 짐바브웨에서는 4%, 남아공에서는 16.5%, 나미비아에서는 20% 였다. 유럽인 조상들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소수의 정착민이 있었다. 그러나 백인이 정착하고 땅을 빼앗은 곳에서 그들은 인종차별 정책으로 그 지역..

레반트 정착민(Settlers : Levantines)

◎ 레반트 정착민(Settlers : Levantines) 19세기 말에 서아프리카 일부에 정착한 레바론인과 시리아 사람들을 지칭한다. 아주 가난하게 살고 있던 그들은 아프리카와 유럽지역 사이의 상업 증가로 서부아프리카에 관심을 가졌다. 탁월한 사업 수단과 서아프리카에서 살아가려는 노력으로 그들은 아프리카인들과 유럽인들 사이에서 중개무역상이 되었다. 오늘날 그들은 수적으로는 적으나 수많은 소규모 소매업을 장악하고 있다. 많은 서부아프리카에서 레반트인들은 착취하는 이방인들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정착민들은 직접적으로 공공연히 분규를 일으키는 일은 더물며 지방정부와 협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