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19 34

동부아프리카(East Africa)

동부아프리카(East Africa) 이 지역은 에티오피아, 지부티, 케냐, 소말리아,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그리고 탄자니아 등이 포함된다. 몇몇 학자들은 에티오피아, 지부티, 소말리아를 동부아프리카로 부터 제외하여 뿔(Horn)지역으로 분리하기도 한다. 이디오피아는 오랜 내전과 만성적인 가뭄, 높은 인구증가 등으로 여전히 최빈개도국의 하나이나, 멜레스(Meles) 수상이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추구하는 신경제정책을 채택하여 최근 수년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다. 93-98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6-7%에 이르고, 94-97년간 물가상승률은 약2.3%를 기록하였다. 한편 98년부터 시작된 에리트리아의 국경전쟁은 인적·물적자원의 비생산적 소모를 유발 이디오피아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

중앙아프리카(Central Africa)

중앙아프리카(Central Africa) 중앙아프리카는 챠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가봉 그리고 콩고 등의 전프랑스 적도아프리카를 포함한 카메룬, 적도기니, 상톰 프린시페 그리고 콩고민주공화국(자이레) 등이 포함된다. 중앙아프리카 남부에는 거대한 우림지역이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에는 풍부한 지하자원 뿐만 아니라 석유 등이 대서양 해안에서 발견되었다. 중앙아프리카에는 주로 불어가 사용되는데 프랑스와 벨기에의 전식민지국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며 스페인어는 적도기니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 상톰 프린시폐에서는 포르투갈어가 사용되고 있다. 콩고민주공화국(구자이르) 사태는 1997년 5월 반군지도자 로랑 카빌라(Laurent Kabila)가 권력을 장악함으로써 일단 종식됐다. 카빌라는 국명을 콩고민주공화국으로 바꾸는..

세네갈의 레오폴드 세다르 생고르

1980년 하반기에 세네갈 대통령이었던 레오폴드 세다르 생고르는 20년간의 대통령을 퇴임했다 그는 1946년에 처음으로 정치에 입문하였을 때 아프리카의 정치는 세형태로 분류되었었다. 그는 40세에 대학교 교수가 되면서 프랑스에서 근 20여년간을 생활하였으며 그의 처는 프랑스인이었다 한편 그는 항상 젊음을 구가하는 시인이었다. 그는 일부 아프리카의 정치인 과는 다른 점이 많았다. 그러나 그 당시만 해도 생고르는 다카르에서 정치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엘리트 그룹에 속해 있었다. 그 그룹에서 모든 아프리카 국가에서 독립운동과 세네갈의 정치제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이때, 레오폴드 생고르는 국민들에게 식민지 시대의 정치지도자라는 인상이 없었으며 오직 지식인으로서 아프리카 정치적 영도자라는 인식..

정치/인물연구 2001.10.19

코뜨디부아르(전 아이보리코스트)의 우푸에 부아니

코뜨디부아르는 아프리카 여러국가 중에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국가중의 하나이다. 특히 다른 아프리카 국가보다도 교육의 열성, 은행원의 능력, 기술의 개방력이 월등하다 따라서 정치적 안정도 이룩했고 이는 세네갈, 가봉 등과 같이 과거에 프랑스 통치하에서의 국가중에 경제적, 정치적으로 성공한 국가중의 하나였으며 이는 정치지도자들의 사고가 정상적이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농산물의 수출과 2차 산업상품의 수입 등을 균형있게 무역정책을 추구했다. 예를 들면 1960년대에서 1970년 간에 경제개발의 발전기였다. 그 수출 주요품목은 파인애플, 바나나, 설탕, 목화 등이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유럽과 미국에 수출했었다. 이 일차상품을 집중적으로 개발 생산함으로써 약 1백만명의 실업자를 구했다. 그도 초기에는 노동자운동..

정치/인물연구 2001.10.19

가나의 엔크루마의(Kwame Nkruma : 가나의 전대통령)

가나에서 독립운동과 가나를 건설했던 아프리카에서 가장 영웅적이었던 정치지도자는 크와메 엔크루마였다. 그는 가나만의 영웅이 아니었다. 아프리카 전체국가들에 대한 표상이었고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가나를 산업국으로 변화시키는데 노력하였고 가나 국민들의 절대적인 존경을 받아왔다 그는 가나인들의 과분한 기대의 소유자였다. 그래서 국민들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의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그의 경제 정책은 실패하였다 외국으로부터 차관을 들여오지 못했고 경제계획은 이상적인 것도 아니었고 현실적인 것도 아니였다. 그는 인민당을 창당하여 국민들의 불만을 정당이 정부의 방파제 역할을 시켰다. 그는 매일같이 가나는 영국의 영향을 받지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아프리카의 역사상 엔크루마는 하나의 정치적 야심가에 지나지..

정치/인물연구 2001.10.19

[남아공]지난해 교사들이 에이즈로 1천8백명 사망

남아공의 35만명 교사들 중 적어도 1천8백명이 지난해 에이즈와 관련하여 사망하였다고 요하네스버그의 아프리칸스 일간 신문인 Beeld지가 월요일 보도하였다. 보건부의 스왓트(Kineau Swart) 박사는 남아공 전국 교사회(Naptosa) 회의에서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만약 교사들이 그들의 행동을 변화하기 않는다면 2010년에는 그 숫자가 12,600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스왓트 박사는 통계자료를 인용하며 전국 교사들 중 14내지 16% 그리고 학교교장의 7내지 8$가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제시하였다. 에이즈는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현재 139,000명의 에이즈 고아들이 있으며 2010년까지는 그 숫자가 2백50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왓트박사는 5세에서 9세 사이의..

아프리카역사 7

7.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이상에서 보아 왔듯이 식민지의 통치방식 차이에 따라 독립과정도 상당히 달랐으나, 어느 경우에도 독립운동은 결코 평탄한 것은 아니어서 요구·폭동·투옥·대립·항쟁 등의 과정을 겪었다. 먼저 1956년에는 수단, 튀니지, 모로코가 독립을 했으며, 57년에는 검은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골드코스트가 독립하여 가나가 되었다. 계속해서 58년 기니가 독립했고, 60년에는 1월에 카메룬, 4월에 토고, 6월에 콩고(레오폴드빌, 현 자이르), 세네갈, 말리, 마다가스카르, 7월에 소말리아, 8월에 코트디부아르, 다호메(현 베냉), 어퍼볼타(현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중앙아프리카, 콩고(브라자빌), 가봉, 챠드, 10월에 나이지리아, 11월에 모리타니 등 모두 17개국이 차례로 독립하여 이른바..

아프리카역사 6

6. 아프리카의 민족운동 분할과 그 뒤의 지배에 대해, 아프리카인이 결코 잠자코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분할기로부터 20세기초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각지에서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이집트 아라비 파샤의 발란(1881∼82), 수단의 마흐디 발란(1881∼98), 아비시니아 아드와의 싸움 (1896), 소말리아 사이이드 무하마드 반한(1891∼1920), 우간다 부뇨로의 반란(1891∼1920), 팀가니카 헤헤족의 반란(1891∼98) 과 마지마지의 반란 (1905∼1907), 니아살랜드 칠렘브웨이 반란(1915), 로디지아 마타벨레족과 뫄쇼나족의 반란(1986), 나탈 줄루족의 반란(1906), 남서아프리카 헤레로와 나마의 반란(1904∼1906), 골드코스트 아샨티의 반란(1900), 리비아 사누시의 반..

아프리카역사 5-2

5.2 각국의 식민지정책 흑아프리카의 식민기간은 약 70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기간 중 초반의 약 30년 동안은 설립의 시대로, 그 다음 30여년 동안은 적극적인 발전기로, 그리고 나머지 10여년 간은 후퇴기로 규정하고 있다. 이 식민 기간을 통해 유럽 식민제국들은 식민화를 시작한 다음 부터는 정치적 지배를 위한 여러 다양한 전략을 택했다. 적어도 이론적으로 볼 때 영국의 식민정책은 간접통치(indirect rule) 방식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반면 프랑스 식민정책은 동화정책(assimilation rule)에 의해 이루어 졌다. 일반적으로 영국방식은 간접통치라 하여, 통치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백인 행정관의 수를 줄이고, 대신 아프리카인(人) 수장 측을 행정 말단에 편입시켰다. 또 초기에는 ..

아프리카역사

5.1 식민지 시대 1) 아프리카 분할 1870년대의 제국주의가(帝國主義家)에 들어선 유럽열강은 공업제품시장과 원료 공급원을 찾아서 아프리카를 분할해갔다. 그러나 이전까지 상인이나 선교사들의 활동에만 맡겨졌던 아프리카 개발은 국가적 사업이 되고 열강들은 앞을 다투어 아프리카 여러 지역을 점거하여 19세기 말부터 20여년 동안 서구열강들의 아프리카 식민지 획득경쟁이 최고조에 달했다. 먼저 서부아프리카에 진출한 영국과 프랑스는 19세기말 신흥제국들인 독일, 벨기에, 포르트갈 등과 함께 중부, 동부, 남부아프리카에서 본격적인 식민지 쟁탈전에 돌입했다. 아프리카에 있어서의 식민지획득은 주로 무력에 의해 행해졌으며 간혹 정복이외에 족장이나 추장들과의 계약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말에 이미 모든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