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7/04 4

남아공의 에이즈(4) - 남아공 정부의 대책

제가 말씀드린 남아공의 에이즈 정책의 우수성은 여타 다른 아프리카지역에 비해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는 훌륭한 인프라 시스템, 아프리카 국가속에서 유럽국가라고 불리는 선진국형체제 등등에 대해 이야기 한 것입니다. 현재 남아공은 정치개혁을 필두로 사회-경제적인 개혁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속에서 부정부패와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추진미흡등 남아공의 에이즈 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아프리카속에서 그들의 위상에 걸맞는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다음 내용을 읽어보시면 어떤 문제로 인해 남아공의 에이즈 정책이 문제가 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2년 10월, 남아공 정부는 흑백간의 정권이양을 앞두고 범..

남아공의 에이즈(3) - 에이즈 대사 은코시 존스

HIV는 지역에 따라 다른 유형의 감염 경로를 보여준다. 대체로 서양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두 개의 감염 경로를 정리할 수 있는데 첫 번째 유형은 주로 동성애를 통해 감염되는 경로로 서방국가에서 흔히 발견되는 형태이다. 남성 동성연애자가 주를 이루며 미국과 서유럽 그리고 호주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밖에도 주사 바늘을 통한 감염도 포함되어 있는데, 역시 마약 사용이 빈번한 서방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이성간의 성 접촉으로 감염이 되는 것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 그리고 인도 등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감염 경로이다. 이성간의 성 접촉에 의한 감염이라 남녀간의 감염비율은 동등하다. 이 형태는 그 범위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형편이며 더욱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

남아공의 에이즈(2) - 에이즈에 대한 인식

남아공 사람들도 다른 많은 아프리카인들이 에이즈에 관련해 수치심을 느끼고 부인한다. 또한 에이즈에 감염되었다고 추정되는 사람들은 공동체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가족으로부터도 외면당한다. 또한 에이즈는 가까이 가거나 접촉만 해도 옮길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도 커다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남아공의 에이즈(1) - 에이즈 치료약

우리는 흔히 “AIDS에 걸려 죽는다”라는 말을 하는데, 이것은 사실과는 일정 거리가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AIDS는 질병이나 병원균이 아니라 하나의 ‘증후군’(Syndrome)일 뿐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AIDS를 불러일으키는 병원균은 지금까지는 HIV라고 부르는 병원균이다. 다시 말해, AIDS는 HIV 병원균에 감염 된 사람이 체내 저항력이 급속히 떨어지면서 생기는 면역 결핍증을 일컫는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AIDS의 직접적인 원인은 HIV라는 병원균이다. HIV는 병원균이기는 하지만 사람에게 직접적인 치명타를 가하는 병원균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단 HIV에 감염된 사람을 HIV 양성 반응자(hiv+)라고 부른다. HIV는 종양 바이러스(retrovirus)로 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