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17 4

22. 다호메이(Dahomey)

1. 다호메이(Dahomey) 다호메이는 서아프리카의 왕국으로 같은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1625년 폰(Fon)족은 지금의 베닌 중부 지역에 있는 아보메이(Abomey)라는 곳에 왕국을 설립했다. 이 국가를 폰 다호메이(Fon Dahomey)라고도 부른다. 아가자(Agaja) 왕의 통치시기(1708-1732)에 번영을 누렸다. 잠시 동안 다호메이 왕국은 요루바(Yoruba)족의 오요(Oyo)왕국에 지배를 받았지만 1850년 중반에 독립하였다. 다호메이는 야자 기름과 노예무역으로 이익을 얻었지만 프랑스는 1889년에 다호메이의 연안지역을 빼앗았다. 1982년에 왕의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다호메이는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1.1.1. 1. 폰(Fon)족 다호메이(Dahomey) 왕국의 폰(..

21. 다르푸르(Darfur)

1. 다르푸르(Darfur) 다르푸르(Darfur)는 수단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과거에는 술탄이 지배하는 독립된 국가였다. 최초의 다르푸르 통치자 다주(Daju) 또는 다가(Daga)는 기원전 4,000년 전에 고대 이집트가 태동할 무렵에 통치를 시작했다. 툰주르(Tunjur) 또는 툰구루(Tungur)의 뒤를 이어 다자(Daja)가 통치권을 물려받았다. 서기 900~1200년에 기독교가 전해지지만 서쪽에서 이슬람교를 믿던 카넴-보르누 제국이 동쪽으로 진출함에 따라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13세기에 다르푸르는 카넴-보르누 제국의 한 주가 되었다. 1640년경부터 1916년까지는 케이라(Keira)족이 다르푸르를 지배하였고 다르푸르는 이슬람을 전적으로 받다들였고 또 독립을 회복하게 되었다. 187..

20. 누비아(Nubia)

1. 누비아(Nubia) 누비아는 현재의 남부 이집트와 나일 강 제1폭포에서부터 수단의 수도인 카르툼(Khartoum)까지 남쪽으로 그 세력이 뻗어 있었다. 누비아 왕국은 기원전 3200년경부터 기원후 1500년경까지 나일강 연안을 따라 발전했다. 1.1.1. 1. 누비아 문명 누비아에서는 여러 문명이 발생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3200년쯤 출현한 쿠쉬(Kush)왕국이다. 기원전 약 2400년쯤, 쿠쉬 왕국은 그 세력을 팽창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900년 후에, 쿠쉬왕국은 고대 이집트에 의해 정복당한다. 누비아인들의 그림과 조상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의 무덤에서 발견되고 있다. 기원전 약 920년쯤, 나파타(Napata ; 고대 왕국 쿠쉬..

19. 농업의 발전

아프리카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서 식량을 획득해 왔다. 초기에는 수렴과 채집을 하였지만 중기 석기 시대 말에는 경작을 하기 시작했다. 농경기술이 지금의 이란, 이라크, 시리아에서 시작되었고, 아프리카에서는 기원전 6,000년경에 나일 계곡을 따라서 전해지기 시작했는데 수수, 기장, 그리고 얌같은 작물들이 재배되었다. 기원전 5,000년경까지 본격적인 농경사회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유추 해볼 때 나일 강유역의 농경산업은 수렵채취 생활과 병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에티오피아의 고지에서 시작된 가축사육도 이 시기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염소, 양, 그리고 소의 사육은 아마도 북동지역에서 체체(tsetse) 파리가 없는 사하라 이남지역으로 전파되어졌다고 유추되어진다. 후기 석기 시대부터 서부와 북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