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문학/속담

스와힐리어 속담에 나타난 아프리카인의 문화적 정체성 - 속담의 정의와 속담의 중요성

africa club 2004. 7. 13. 08:40
4. 속담의 정의와 아프리카인들에게 있어 속담의 중요성

속담이란 진주조개 속의 진주와 같은 "말의 진주" 38)라고 할 수 있는데 교훈·기지·상상·경계·비유·풍자 등을 바탕으로 통속적이고 진솔함이 긷든 구비전승의 언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언중의 경험과 지혜와 교훈에서 우러난 진리를 지닌 간결하고 평범하며 은유적인 표현의 관용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39)

속담이 특정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묘사와 언급에서 생성되며 일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유추로 인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그 민족의 속담은 보통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재도구, 가축, 애완동물, 일상사를 다루면서 대중에게 스며들어 오랜 세월을 거쳐 대중의 공감과 사랑을 받으며 끊임없이 정제되어 속담으로 정착되어 그 사회를 대변하는 언어가 된 것이다. 40)

속담은 인간의 삶과 사회에 대한 시적 주석서라고 할 수 있다. 속담은 과거의 세대의 지혜를 가진 기지의 표현으로서 듣기에 즐겁고 기억되기 쉬운 리듬을 가지고 있다. 41) 사람이 사회적 동물이라면, 속담은 사회적 소산이다.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는 없지만, '언중의 시' 42)로서 언중 모두의 공감 속에 자연스럽게 사용되면서 일정한 의미전달을 위한 생명력을 얻게 된 것이다. 따라서, 속담은 본질적으로 언중 모두가 공유하는 소중한 자산으로, 한 민족사회의 생활 모습과 삶의 지혜를 단적으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민속학의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43) 아울러, 속담은 언중 속에서 태어나 언중 속에서 자랐고, 언중에 의해 도태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언중과 하나가 되어 생사고락을 함께 하며 민족의 상징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한마디로 정의해서 속담은 과거를 들여다보는 백과사전이요, 현재를 바라보는 모니터이며, 미래를 비춰 주는 거울이기도 하다. 44)

속담은 잉태된 지역의 향토성을 반영하며, 더 나아가 민족성과 인간성을 반영한다. 세계의 여러 민족 사이에 표현까지도 유사한 속담이 발견되는 것은 결코 놀라운 일이 아니며, 이것은 속담이 시대성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속담은 그 민족과 민속학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며, 역사·사상·문학·종교·미신·풍속·제도 등과 같은 제반 문제를 연구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5) 속담에는 언중, 나아가서는 민족의 보편적 심리가 내재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민족의 독특한 정서와 지혜, 민족성이 담겨있으며 보편적 심리가 내재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그 나라 민족의 심리나 문화를 충분히 알려면 그 민족의 속담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46)

속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속담은 그것이 생성된 사회의 소산물이다. 어느 개인의 창의에 의해 표현된 말일지라도 그것은 언중 누구나가 체험하고 느끼던 사실을 속담 형식에 맞춘 것이라야 한다. 그때에야 비로소 속담은 그 사회의 소산물로서 생명을 얻어 사용되는 것이다. 둘째, 속담은 그것이 생성된 지역의 향토성을 반영한다. 지방에 따라서 언어가 다르고 풍습이 다르고, 생활방식과 가치관이 다르듯이, 속담 또한 그것이 생성된 지역에 따라 고유한 향토색을 풍기게 되는 것이다. 셋째, 속담은 그것이 생성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다는 점이다. 시대에 따라 삶의 방식과 가치가 다르고 이념과 제도가 다르기 때문에, 속담은 그것이 생성되던 당시의 시대상을 그대로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넷째, 속담은 언중들의 생활철학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속담은 끊임없는 수정과 시행착오를 통해 일반화 법칙을 거쳐서 얻어지는 것이다. 속담에는 처세의 교훈이 있고, 세태에 대한 풍자와 경계가 있으며, 언중들의 신념과 인생관이 담겨 있다. 따라서, 속담을 통해 우리는 그 때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사상, 생활 모습 등을 엿볼 수가 있는 것이다. 다섯째, 속담은 군더더기가 없이 간결하고 세련된 언어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섯째, 속담은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훨씬 부드럽게 해 준다. 속담은 비유의 대상으로 쓰여지며 전통적 진리로서 권위를 가지고,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속담의 인용은 상대방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데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오랜 생활 체험에서 자연스레 생겨난 지혜의 함축표현이므로 수양과 처세의 지침이 됨은 물로, 재치와 해학을 함께 담고 있는 말이므로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감칠맛 나는 힘도 갖고 있는 것이다. 47) 속담에 대한 정의는 쉽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간결성(shortness)', '지각(sense)', 그리고 '통쾌함(salt)'을 이용하여 진실을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 속담도 이러한 일반적인 정의를 담고 있다. 48)

탄자니아 출신의 샤반 로버트(Shaaban Robert)는 그의 수필 '속담과 그 용법(Methali na matumizi yake)'라는 수필에서 다음과 같이 속담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49)

노인들은 상당히 자주 속담을 인용한다. 왜냐하면 속담은 그들에게 도움을 주고 또 쓰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예부터 유명한 시인이나 학자, 교육 높은 선비나 재주있는 작가들은 속담을 씀으로서 기쁨을 찾았으며 앞으로도 계속 쓸 것이라는 것은 흔히 듣는 말이다. 속담은 우리에게 행동양식을 가르치므로 참으로 유익하다.

속담은 우리들 보통의 사람들에게 친구역할, 선생님 그리고 안내자 역할을 한다. 우리는 속담속의 교훈을 통해 우리의 습관을 고칠 수 있고 따라서 생활을 고쳐나갈 수도 있다. 우리가 속담의 의미를 잘 음미해 본다면 우리는 속담을 인생의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흔해 빠진 문학서의 한 장이나 혹은 한편의 시보다도 단 반줄 길이의 짧은 속담이 훨씬 유익함을 누구나 금방 알게 될 것이다. 그 후에 속담은 우리 인생의 중요한 부분이 되는 것이다.


부족의 연장자들은 사회적 삶 속에서 사용되는 속담의 유용함에 대해 다양하게 견해를 밝히고 있다. 하우자족의 연장자들은 속담을 대화속에서 전문지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청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거나 속임으로서 더 깊이 있는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속담은 철학적 발화로서 사람들과 사회의 경험과 사고를 반영하여 생존을 돕는다고 이해하고 있다. 요루바족의 연장자들은 속담의 인용이나 언급은 아주 많은 다양한 경험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만약 나이어린 사람이 연장자 앞에서 속담을 사용하였다면 그는 연장자에게 사과하여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중요한 속담들은 연장자에 의해 언급되거나 인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역할은 사회나 가족에서 연장자의 중요한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연장자들은 어떻게 젊은 세대들이 평화, 안정, 그리고 질서를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삶 속에서 행동해야 하는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족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은 속담을 얼마나 많이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다. 결국 속담은 중요한 문화적 유산의 하나로서 사회규범과 전통적인 믿음을 강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티브(Tiv)족의 연장자는 속담은 좌절을 맛본 사람에게 용기를 북돋우어주는 수단으로 생각한다. 연장자들은 젊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사회에서 생활할 것인지 속담으로 충고한다. 어떤 속담들은 어떻게 유용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지 가르쳐주고 모든 상황속에서 발생하는 불평등한 상황에 지혜롭게 대처하게 만든다. 이그보미나(igbomina)족 연장자들은 속담은 사회가 미래에도 평화적인 방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현명한 조상으로부터 전해내려온 속담은 어떠한 어려움속에서도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으로 만들뿐만 아니라 어려운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속담은 진실이 사라졌을 때 진실을 찾는 말(馬)과 같은 기능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앙가스(Angas)족의 연장자들은 속담은 대체로 어리석을 사람을 깨우치고 잘못을 지적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많은 속담들은 주로 결혼식때 언급되는데 앙가스족들은 결혼이 사회제도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비비오(Ibibio)족의 연장자들은 속담을 삶의 양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50)

많은 아프리카 사회에서 속담은 아이와 젊은이들을 가르치는 교육적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그들은 신, 조상, 이웃, 그리고 그들 자신들에 대한 행동원칙과 준거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콩고민주공화국의 욤베(Yombe)족 같은 경우에는 속담이 건강에 관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남부 나이지리아의 아낭(Anang)족은 사법제도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기도 한다. 51)

요루바어에서는 새로운 속담을 만드는 사람은 없었다. 연장자들만이 진짜의 속담을 말할 수 있었다. 젊은 사람들은 단지 가짜의 속담을 사용하도록 허락되었졌을 뿐이었다. 그리고 만약 젊은 사람이 연장자의 면전에서 속담을 사용하면 그는 "속담같이 보이지만 사실은 속담이 아니다(It looks like a proverb but it isn't real one!)"라고 말하며 사과를 해야만 했다. 이런 극단적인 보수주의와 배타주의에도 불구하고 발전은 지속되었다. 노래처럼 속담은 내용, 형태 그리고 수에 있어서 변화했다. 각각의 세대들은 쓰여진 전통에서 불가능한 그 자신만의 고전을 만들었다. 아프리카 사회에서 속담의 기능은 너무나 중요하여 속담 없이 어떤 종류의 협상도 일어날 수 없었다. 52)

아프리카에서 속담은 삶과 문학 모든 영역속에서 효과적이다. 그들의 문학적 중요성은 말과 형태의 아름다움과 다른 장르에서의 예술적 표현에서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실제적 상황속에서 사용된 적절함과 통찰력에서 나타나고 있다. 아마도 속담의 가장 중요한 점은 속담이 사용되는 특별한 상황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속담의 매력, 통찰력, 기지, 그리고 의미는 그 상황이 처한 문맥속에서 확연하게 그 중요성이 나타난다. 53) 유사한 상황들이 끊임없이 반복되어 일어날 때 사회는 그것들을 장황한 설명 없이 간략히 언급할 수 있는 이름을 필요로 하는데 속담은 한 사회 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전형적인 상황들을 언급하는 전략적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에 이름이 있듯이 상황에도 이름이 있으며, 대상의 이름들이 화자의 태도를 반영하는 경우가 있듯이 상황에 붙여진 이름들도 화자의 태도를 반영한다. 이러한 태도(전략)에는 풍자, 비난, 저주, 예언, 명령, 설득, 훈계, 경고, 충고, 교훈, 위로, 찬양, 수사 등이 있다. 54)


속담은 대화의 말(馬)이다. - 요루바
속담을 아는 현명한 사람은 어려움을 다시 숙고한다.(A wise man who knows proverbs reconciles difficulties.) - 요루바
속담은 경험의 딸이다.(Proverbs are the daughters of experience.) - 시에라 레온(Sierra Leone)
속담은 말을 싸먹는 잎사귀와 같다(The proverb is the leaf they use to eat the word.) - 이보(Ibo)
속담은 모든 사람들의 일이다.(Proverbs are the affairs of the nation.) - 콩고(Kongo) 55)


속담은 한 종족이나 민족사회의 오랜 경험과 지혜를 반영하는 것으로 민중의 생활경험을 표현한 것이다. 속담은 그 종족이 존중하는 가치와 멸시하는 가치를 나타내며 삶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아프리카에 있어서 속담은 다음과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첫째 일반언어에 비해 보다 강력한 의미를 전달하고, 둘째 그 종족의 생활상태와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다. 추장이나 왕은 통치 받는 대상과의 관계를 규정짓게 위해 특별한 방법으로 속담을 사용하고 있으며 통치 받는 대중은 지도자의 권력남용을 경고하는 수단으로 속담의 표현을 사용한다. 셋째 각기 다른 종족과 사회환경으로부터 독자적인 이미지와 재료를 취하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한 내용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내용을 전하는 속담이라 할지라도 마사이족과 루야족의 이미지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56)



38) 서정수, 정달영(편저.), 세계속담 대사전 : 주제별 비교 분류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8), p. vi.

39) 최창렬, 우리속담연구 (서울, 일지사, 1999), pp. 13-14.

40) 김수영, 韓·英 俗談에 관한 硏究 (석사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1984), p. 7 에서 재인용.

41)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2, 10.

42) 김수영, 韓·英 俗談에 관한 硏究 (석사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1984), p. 1. ; 김종택, "속담의 의미기능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34, 1967, p. 63.

43) 송재선, 우리말 속담 큰사전 : 成語辭典 (서울, 교육출판공사, 1999), p. 9.

44) 최창렬, 우리속담연구 (서울, 일지사, 1999), p. 14.

45) 최창렬, 우리속담연구 (서울, 일지사, 1999), p. 15.

46) 김수영, 韓·英 俗談에 관한 硏究 (석사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1984), p. 1.

47) 최창렬, 우리속담연구 (서울, 일지사, 1999), pp. 16-17.

48) R. Finnegan, Oral literature in Africa (Nairobi,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p. 393.

49) 송미루, "스와힐리 俗談속에 나타난 人間과 社會의 모습", 아프리카 硏究, 제 4호 1988, pp. 117-118.

50) Pachocinski, Ryszard, Proverbs of Africa : Human nature in the Nigerian oral tradition ; An exposition and analysis of 2,600 proverbs from 64 peoples (Minnesota, A PWPA Books, 1996), pp. 8-15(introduction).

51) A. Scheven, Swahili proverbs : Nia zikiwa moja, kilicho mbali huja (Washing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81), pp. viii-iv(preface).

52)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5-6.

53) R. Finnegan, Oral literature in Africa (Nairobi,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pp. 424-425.

54) 장태상, "속담의 민족지학적 연구에 대하여: 아프리카의 속담전통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제 9 권, 1호, 2001년, p. 145.

55) A. Scheven, Swahili proverbs : Nia zikiwa moja, kilicho mbali huja (Washingt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81), p. xiii(preface).

56) 김윤진, 아프리카 문화 (서울, 다해, 2003), p.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