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문학/속담

스와힐리어 속담에 나타난 아프리카인의 문화적 정체성 - 속담 속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

africa club 2004. 7. 13. 12:26
5. 속담 속에 나타난 아프리카인의 문화적 정체성

아프리카 토속어에는 각기 풍부한 속담이 담겨있으며 속담을 잘 알고 사용이 능숙한 사람일수록 존경을 받는다. 57) 치누아 아체베(Chinua Achebe)는 서아프리카의 이보(lbo)족에 있어서 속담은 "말을 찍어먹는 야자기름" 58) 이라고 말하고 있다. "속담 없는 말은 소금 없는 음식과 같다"는 이디오피아 암하릭어 속담이나, "속담은 대화속의 말(馬)(Owe lesin oro, oro lesin owe, boro ba sonu, owe la fi nwa)"로 대화가 제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표류할 때 속담은 잃어버린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나이지리아의 요루바족 속담은 속담의 강력한 힘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59)

속담은 화자에게 전문성과 신뢰성을 가져다 준다. 속담을 인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그 사회에서 장(長), 연장자, 그리고 조상들로 그 부족과 사회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인물들로 존경받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구전문화속에서 이러한 전문가들의 역할을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60) 이러한 상황은 속담을 이용하여 특수한 상황에서 화자가 청자에게 민감한 문제에 대해 추상적이고 간접적인, 소위 비주관화(desubjectivized)의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속담의 사용은 화자의 위신과 지혜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속담은 화자에게 그 문화코드에 맞는 도덕적 규범과 가치를 알려준다. 61)

"속담을 아는 현명한 사람은 분쟁을 잠재울 수 있다(A wise man who knows proverbs can settle disputes)"는 말은 요루바(Yoruba)족의 속담이다. 아프리카의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요루바족들 사이에서 속담은 친구를 만들고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속담은 젊은 사람들에게 가족, 친족 그리고 마을의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을 가져다준다. 그들은 속담을 사용하여 적대적 감정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에게 지혜로서 대함으로서 평화를 가져오게 한다. 그 일예로 이런 문제들에 관련된 속담들은 "지도력(leadership)",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사회(society)" 그리고 "경험(experience)"같은 말이 들어있다. 62)

속담은 인용될 때마다 새로운 의미를 내포하며 대화속에서 생명력이 있기 때문에 문맥의 전후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속담을 해석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의미를 확정짓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63) 특히 아프리카 속담들은 많은 설명과 해석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아프리카의 속담을 이해하는데 있어 인종적, 민족적 설명이 없이는 완벽한 이해가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속담은 완전한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해 작은 이야기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지혜는 루비보다 더 귀중하다(Wisdom is more precious than rubies)"라는 속담은 남부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산(San)족에게는 무의미하며 아무런 의미도 전달할 수가 없다. 산족들은 기껏해야 철로 만들어진 창과 땋아 만든 팔찌가 전부이며 부유하거나 호화로운 사치품을 소유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특정한 인종집단의 문화적 이해 없이는 다른 사람들의 삶과 생각을 이해하기 어렵다.
다시 두 개의 나미비아의 다마(Dama)족 속담을 들어보자. "만약 한 잔의 달콤한 우유를 가지고 있으면 만족하라(If you have a cup of sweet milk, be content)"와 "추한 대상은 아름다운 그 무엇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An ugly object may hide something sweet)"는 두 개의 속담은 옹이와 마디가 많이 있는 doringboom이라는 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 나미비아 사막으로부터 나온 속담이다. 이 나무의 바깥 표피는 아주 딱딱하지만 안의 내부의 부드러운 섬유질층은 당밀처럼 달콤하지는 않지만 시럽같은 달콤한 수액이 있다. 다마족들은 겉껍질의 딱딱한 표피를 벗겨내고 안의 수액을 우유에 섞어 마신다. 이렇게 만들어진 우유를 그 나무의 그늘아래서 마시는 것을 즐기고는 한다. 함께 둘러 앉아서 달콤한 우유를 마시는 것은 다마족들의 가장 큰 즐거움중 하나이다. 이 속담이 알려주고 있는 것은 추하게 생긴 사물이나 사람도 유익하고 좋은 면이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고 있다. 64)

마사이족은 거인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구전되고있다. 아링큰(Arinkon)은 거인이였는데 자신의 지역사람들에게 불가능한 일거리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곤 했지만 한 어린 소년의 지혜로 매번 그 불가능한 일을 처리함으로서 거인을 이겨낸다. 이와 같은 구전에 배경을 둔 속담으로서 행동하기 전에 생각을 하지 않거나 힘을 잘못 사용하거나 충고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사람에게 "너 아링콘, 너 원하는 것을 택해라"라는 속담을 인용한다. 마라골리(Maragoli)족의 전설에는 나보레그와(Navolegwa)라는 주인공인 등장한다. 그는 몸이 허약하고 모든 사람들로 부티 희망이 없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어느 날 그는 사냥을 나가 마을에서 가장 힘센 사람들도 하기 어려운 들소를 잡아온다. 이 전설에서 연유된 마라콜리족의 속담으로 "나볼레그와가 들소를 잡았어"가 자주 인용된다. 업신여김과 멸시를 경고하는 교훈을 담고있다. 이상 언급한 두 속담은 강력한 의미전달과 메터포가 동원된 아프리카 속담이 모두가 구전설화에서 연유된 내용을 압축한 것으로서 구전이야기와 속담과의 상관관계를 발견하게 된다. 65)

즉 아프리카의 속담은 그 사회의 집합적인 사회적 종교적 규범을 내포하고 있음으로서 사회성원의 교육적 지침의 구실을 하고있을 뿐아니라 과거의 역사를 추적해주는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모든 아프리카인들의 생활철학과 가치관의 척도가 담겨있는 아프리카인의 바이블이며 유구한 세월에 젖어온 아프리카 바로 그 자체이다. 66)

예를 들어 밤바라(Bambara)속담인 "나무가 강에 떠다니게 놓아두어라, 결코 악어가 될 수 없다(Let the tree float in the river, It will never become a crocodile)"라는 속담은 실재로는 해도 없고 수동적인 사람이 그 자신을 강하고 공격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즉 인간의 감정, 생각, 그리고 문제에 대한 일반성과 보편성을 드러내고 있다. 67)

그러나 많은 속담들은 지역적 특수성을 내포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각 인종들은 삶에 대해 특별한 자세를 가지고 있으며 각자의 말로 삶의 경험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스와힐리(Swahili)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행복에 대해 "신은 신에게 복종하는 것이며 그의 법을 따르는 것은 파라다이스로 가는 문을 열게 할 것이다(Happiness is obeying God's will, for following His low will open the gate of Paradise)"라는 속담으로 표현하고 있는 반면 다른 아프리카 사람들은 행복에 대해 다른 생각을 속담을 통해 표출하고 있다. 모잠비크에서는 "개구리는 많은 자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행복하다(The frog is happy with his numerous offspring)"라고 말하고 있으며 탄자니아에서는 "행복은 평화, 그늘을 갖는 것이며, 배고픔이 없는 것이다(Happiness is to have peace, shade and no hunger)"라고 표현하고 있다. 68)

아프리카인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같은 목적을 추구하고 있다. 행운과 불행이 있으며 바람과 두려움이 있고 배고품이든지 사랑이 원인이이든지 고통을 느낀다는 것이다. 스와힐리어에서처럼 "사랑(love)"은 "소원(will)"을 "미움(hate)"은 "혐오(disgust)"를 의미한다. 링갈라(Lingala)어에서는 "지적인 것(intelligence)"나 "지혜(wisdom)"는 "교활(cunning)"을 의미한다. 알루르(Alur)어에서는 "소녀에게 청혼하다(to propose to a girl)"는 말은 "달변으로 또는 능숙하게 말하다(to talk eloquenctly)"라는 의미가 된다. 이와 같이 아프리카의 속담은 우리가 생각하는 방법이나 수단은 물론 인간 본성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쳐 주고 있다.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생각과 경험사이에 또 다른 일상적인 연관이 있다. 예를 들어 동아프리카에서 "가난한 사람의 보트는 가라앉는다(The poor man's boat sinks)"라는 속담과 "가난한 사람의 암탉은 결코 알을 낳을 수 없다(The poor man's hens never lay eggs)"라는 속담은 가난과 불행이 연관되어 있다. 가난한 사람은 불행과 함께 게으르기 때문에 또는 간단히 말해서 건강한 닭이나 좋은 보트를 살수 없기 때문에 가난하다.

이와 유사하게 가난은 '외로움'과 관련되어 있다. 가난한 사람은 모든 사람들이 배척하거나 피하게 되는데 사람들이 그의 불행을 나누어 갖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며 실패를 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과 친하다고 생각한다. 반대로 가난은 외로움의 결과라고 설명될 수 있다. 많은 형제와 친구들 그리고 친척들은 결코 배고픔을 결코 겪지 않지만 자기 자신밖에 없는 사람들은 결국 도움을 받을 수 없어 도둑질을 할 수밖에 없다.

아프리카에서 지혜는 생존과 관련 있다. 탄자니아에 우화에는 계략을 쓰는 족재비인 카분디(Kabundi)와 매우 영리한 거북이 코베(Kobe) 그리고 교활한 토끼인 숭그라(Sungura)등 기지에 의해 살아가는 많은 영리한 동물들에 관한 이야기들이 있다. 아프리카는 유럽과 미국보다 더 많은 적과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장 슬기로운 생존전략이 아프리카 이야기 속에서 중심된 주제였다. 어리석은 당나귀는 비난과 매도의 대상이었지만 현명한 당나귀는 언제나 음식을 가지고 유유히 사라졌다. 먹을 것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환경에 살고있는 아프리카인들은 생존이 매일매일의 긴급한 문제였다. 69)

교육적 기능만이 속담의 기능이 아니었으며 속담은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기능으로도 사용되었다. "어린아이들은 나이든 어머니를 보살펴야 하는 의무를 가진다(Children have a duty to look after their old mother)"라는 속담은 사회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지만 노동에서 여성을 해방시켜 편안하게 하는 기능이 있다. 즉 "지금 어린아이는 너에게 고통을 주고 있지만 나중에는 너를 보살피게 될 것이다(Now the child causes you pain, but later he will take care of you)"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비 온 뒤에는 해가 난다(After rain comes the sunshine)"와 "해가 난 뒤에 비 온다(After sunshine comes the rain)"라는 속담은 과거에 행복했던 사람들과 현재에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을 위로하는데 사용된다. "많은 손은 일을 가볍게 한다(Many hands make light work)"라는 속담이나 또는 스와힐리어의 "한 사람은 배를 띄울 수 없다(One man cannot launch a ship)"라는 속담은 "너무 많은 요리사는 고기수프를 망친다(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와 밤바라(Bambara)어 속담인 "열 명의 재단사는 하나의 양복을 결코 끝낼 수 없다(Ten tailors will never finish one garment)"와 모순되고 있다. 속담의 목적이 모든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고정된 기능을 하지 않는다. 속담은 특별하고 유일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70)

"나무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과일은 없다(No fruit falls far from the tree)"라는 속담은 뉴튼의 만류인력법칙, 즉 물리적 법칙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속담의 사용자는 부모(tree)와 어린아이(fruit)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사과나무에는 사과가 달리고 사과는 다시 사과나무가 된다는 것을 가족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유전학자들은 모든 아들들이 그들의 아버지를 닮지는 않는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런 내용은 속담의 목적이 아니다. 아들은 아버지를 닮기를 기대하고 아버지의 족적을 따르기를 바란다. 그를 닮은 아들만큼 아버지에게 더 큰 기쁨은 없다. 즉 사회의 유지와 지속은 모든 사회의 목적이며 그 구성원들의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속담의 공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복잡성을 연구하는 것이므로 궁극적으로 속담의 연구는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71)

아프리카 속담의 문체와 구조중 두드러진 것은 표현에 있어 시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속담이 표현하고 있는 글자 그대로의 뜻을 직접적으로 분명하게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로 은유와 직유를 통해서 표현하고 있다. 베티(Beti)족의 "여자는 입이 없다.(Women have no mouth.)"라는 속담은 아주 직접적인 표현으로 가부장적 사회속에서 여자는 그 어떤 의견개진을 할 수 없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으며 아샨티(Ashanti)족의 "암닭은 아침이 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수탉의 입을 본다.(The hen knows when it is morning, but she looks at the mouth of the cock. ; 암탉은 수탉이 회를 치는 것을 기다린다는 뜻.)"라는 속담은 은유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72) 따라서 아프리카 속담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어떻게 생성되었는가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특징을 알아야 한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정리하여 보면 첫째, 속담의 글자 그대로의 형태는 자주 암시나 생생한 발화형태를 포함하며 또 어떤 경우는 리듬을 가진 시적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만약 추장이 말을 한다면 사람들은 그들의 귀를 조용히 한다.(If the chief speaks, the people make silent their ears.)", "어떤 사람이 카피르(Kaffir) 전통주를 게걸스럽게 먹으면 그 술이 그를 먹는다.(He devoured the Kaffir-beer and it devoured him.)", 그리고 "구한 사람이 죽인다(The people who rescure and kill. ; 한편으로는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파괴한다는 의미)"라는 코사(Xhosa)족의 속담이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속담은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방법으로 비유적인 표현을 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은유도 자주 나타난다. 하우사(Hausa)족의 "추장은 모든 사람들의 불평불만을 가져다 놓은 먼지더미와 같다.(A chief is like dust-heap where everyone comes with his rubbish(complaint) and deposits it.)" 남부 아프리카의 통가족(Thonga)의 "부는 이슬이다.(Wealth is dew.)"와 은데벨레(Ndebele)족의 "왕권은 이슬이다.(Kingship is dew.)"라는 속담이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아주 자주 속담은 은유적으로 비교가 나타난다. 속담의 이런 형태는 반투어에서 새나 동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주로 인간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소토(Sotho)족의 진드기 새를 의미하는 "나와 나의 코뿔소다.(I and my rhinoceros.)", 은다우(Ndau)족의 소우리의 벌레를 의미하는 "나는 소다.(I am an ox.)", 그리고 일라(Ila)족의 낭비벽이 심한 사람을 의미하는 "방탕한 소는 그의 꼬리도 던져버린다.(The prodigal cow threw away her own tail.)"라는 속담들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통가족의 "악어의 힘은 물 속에 있다.(The strength of the crocodile is in the water.)"라는 속담도 사람은 친족집단의 힘을 얻을 수 있을 때 강하며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꼭 새나 동물이 아니라고 하더라고 렘바(Lemba)족의 "이미 함께 용접된 쇠를 어떻게 용접되지 않은 상태로 만들 수 있는가?(Metal that is already welded together, how can one unweld it?)", "엎질러진 우유를 가지고 울지 마라.(Don't cry over spilt milk.)", 그리고 통가족의 "목의 목덜미는 볼 수 없다.(The nape of the neck does not see.)"라는 속담들도 이런 부류로 정리할 수 있다. 넷째, 과장법도 많이 쓰이고 있다. 반투족의 속담에 "만약 당신이 인내심이 강하다면 달팽이의 눈을 볼 수 있을 것이다.(If you are patient, you will see the eyes of the snail.)"나 요루바(Yoruba)족의 "게의 윙크를 보려고 기다리는 사람은 바닷가에서 오랫동안 지체하게 될 것이다.(He who waits to see a crab wink will tarry long upon the shore.)"라는 속담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73)

스와힐리어에서도 속담을 만드는 사람들은 시인이었다. 그의 새로운 속담은 리듬과 운(韻)을 갖추어야 했다. 따라서 많은 속담들은 하나 또는 두 줄로 된 운문형태를 띄게 되었다. 속담은 인간의 삶과 사회에 대한 시적 주석서라고 할 수 있다. 속담은 과거의 세대의 지혜를 가진 기지의 표현으로서 듣기에 즐겁고 기억되기 쉬운 리듬을 가지고 있다. 74)

속담은 주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 오지만 나무 널빤지, 솥뚜껑, 그리고 호리병박에 조각을 하거나 새기거나, 옷에 수를 놓는 방법 등 다른 예술적 형태를 통해 상징적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중앙아프리카의 어떤 부족들은 속담을 시각화하여 일종의 코드(cord)를 만들어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적 도구로 사용한다. 이 코드는 열대덩쿨식물에 모든 종류의 대상물들, 닭의 다리, 약초, 천 조각들을 붙여놓았다. 각각의 대상물들은 속담을 나타낸다. 이외에 또 다른 속담의 전달방법은 북, 뿔나팔, 또는 트럼펫을 사용하는 음악에서 표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비구어적 속담전달 방법은 여자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피오테(Fiote)족의 솥뚜껑 메세지(Pot-lids message)가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피오테족은 앙골라의 카빈다(Cabinda)와 콩고민주공화국과 해안지역과 연결된 지역에 분포되어 살고 있다. 솥뚜껑은 여자들이 그들의 남편에게 말로서 표현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실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뚜껑은 직경이 18cm로 위쪽에 속담이 새겨져 있다. 전통적으로 아내는 남편과 함께 식사를 할 수 없다. 씨족의 남자는 씨족의 남자들이 먹는 장소에서 함께 먹어야 한다. 아내들은 오지그릇에 남편을 위해 음식을 차리고 바나나 잎으로 덮은 후 아이들에게 가져가게 한다. 그러나 만약 아내가 남편의 행동에 동의하지 않거나 싸우고 있으면 그녀는 의미 있는 속담이 담긴 솥뚜껑을 선택하든지 그녀의 주문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만들도록 예술가에게 부탁한다. 속담이 새겨진 솥뚜껑이 전달되자마자 흥분과 소요가 일어난다. 특별한 솥뚜껑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남편은 문제가 무엇인지 고백하고 아첨을 시작한다. 남편의 문제는 그의 게으름, 무능력, 탐욕, 두 번째 아내에 대한 아내의 반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만약 그가 그는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말하면 솥뚜껑이 전문가에 의해 다시 조각되든지 남편의 친구에 의해 조언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속담에 "세 개의 돌은 요리용 솥에 필요하다(Three stones support the cooking-pot)"라는 속담은 여자에게 옷, 음식, 그리고 성(sex) 세 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속담은 아내에게 이 세가중 한가지 이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때는 여자들이 친구들에게 화가 났을 때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아내가 그녀가 속담을 통해 불평을 했을 때 남편과 함께 없었기 때문에 남편의 직접적인 분노의 폭발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편은 시간이 지난 뒤에 이성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 솥뚜껑에 쓰여진 속담을 이용한 아내들의 대화방법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남편에게 민감한 문제를 끄집어 낼 수 있다. 75)



57) 김윤진, 아프리카 문화 (서울, 다해, 2003), pp. 228-229.

58) 김윤진, 아프리카 문화 (서울, 다해, 2003), p. 204.

59) N. Schipper, Sources of all evil : African proverbs and sayings on women (Johannesburg, Ravan Press, 1991), p. 1. ; Pachocinski, Ryszard, Proverbs of Africa : Human nature in the Nigerian oral tradition ; An exposition and analysis of 2,600 proverbs from 64 peoples (Minnesota, A PWPA Books, 1996), p. 5.

60) ) N. Schipper, Sources of all evil : African proverbs and sayings on women (Johannesburg, Ravan Press, 1991), p. 2.

61) N. Schipper, Sources of all evil : African proverbs and sayings on women (Johannesburg, Ravan Press, 1991), p. 3.

62)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8-9.

63) N. Schipper, Sources of all evil : African proverbs and sayings on women (Johannesburg, Ravan Press, 1991), pp. 11-12.

64)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2-3.

65) 김윤진, 아프리카 문화 (서울, 다해, 2003), p. 229.

66) 김윤진, 아프리카 문화 (서울, 다해, 2003), p. 229.

67)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 3.

68)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3-4.

69)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4-5.

70)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 7.

71)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p. 7-8.

72) Schipper, N., Sources of all evil : African proverbs and sayings on women (Johannesburg, Ravan Press, 1991), p.7.

73) R. Finnegan, Oral literature in Africa (Nairobi,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pp. 395-399.

74) J. Knappert, The A-Z of African proverbs (London, Karnak House, 1989), p. 2.

75) Schipper, N., Sources of all evil : African proverbs and sayings on women (Johannesburg, Ravan Press, 1991), pp.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