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자마(Ujamaa)
우자마라는 것은 스와힐리어로 영어로는 Familyhood, 우리말로는 '가족애' 혹은 '동포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우자마 개념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전통적 맑스주의의 '계급투쟁론'을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아프리카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은 혈연을 중심으로 한 평등주의와 상호부조의 원칙에 입각한 전통 부족사회의 기본 가족 단위에 있다는 것이다. 니에레레는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기반과 목적은 우자마 혹은 가족 공동체에 있다. 이는 대중의 착취를 근간으로 해서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자본주의 체제에 반대하며 인간사이에 회피할 수 없는 갈등의 철학을 골간으로 해서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교조적 사회주의에 역시 반대한다. 우리는 아프리카인들을 사회주의로 개정시키는 것 보다 이들에게 참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우리들이 태어나서 자라난 전통사회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고대 아프리카 사회주의는 바로 이러한 전통사회에 나온 것이며 이는 기본 가족 단위의 확대로서 '사회'에 대한 인식에 그 골간을 두고 있다. "라고 말했다.
이와같이 전통 아프리카 가족은 우자마라는 가족 공동체의 기본 원칙에 따라 살았으며 비록 그 구성원들이 어떠한 정치적 목적으로 행동을 하진 않았으나 근대 사회주의의 골간이 되는 아래의 세 가지 중요한 원칙에 순응하는 생활 양식을 보였다.
첫째, 상호존경으로, 한 가정의 구성원 각자는 그 가정의 다른 구성원들의 위치와 권리를 인정하고 비록 각 개인이 지닌 권리는 다르더라도 어느 누구도 가족 전체에 불명예스런 짓을 하고는 존재할 수 없다는 최소한의 불문율들이 있다.
둘째, 재산과 소득의 공유로, 모든 생필품은 가족에게 공동으로 소유되었고 또 가족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균등하게 나누어 졌다.
셋째, 일할 의무로, 가족의 모든 구성원들과 그들과 함께 먹고 살 권리를 가진 손님들은 예외없이 모두가 다 일을 해야만 하며 일을 함으로써 상호 존경과 재산과 소득의 공유의 원칙이 지켜질 수 있다.
이러한 전통 부족사회와 상호존중의 3원칙에 골간을 둔 우자마사상의 근대 아프리카 사회주의에로의 승화를 위해 니에레레는 5가지의 기본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치의 민주화, 둘째, 산업의 국유화, 셋째, 소득의 균등분배와 지배계급의 권력남용을 통한 재산증식의 금지, 넷째, 집단농장제도의 자립, 마지막으로, 국가경제의 자립 등이다.
그러나 이같은 우자마 정책은 국내.외적 요인들로 인해 실패하였다. 국외적인 요인으로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와 1978-79년 사이의 우간다의 이디 아민을 축출하기 위한 정쟁지원과 가뭄을 들 수 있다.
국내적인 요인으로는 첫째. 탄자니아의 사회주의는 근본적으로 농촌 중심적이고 농업위주의 정책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수출 작물들이 1차산품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조건과 세계시장에서의 유동적인 가격으로 생산에 실패하였다. 둘째, 지도자들의 부패 때문이었다. 셋째, 소농들과 노동자들의 일할 의욕의 저하와 암시장의 성행으로 인한 유통구조의 문란을 들 수 있다. 결국 우자마 사회주의는 다같이 못사는 결과를 가져왔다.
우자마라는 것은 스와힐리어로 영어로는 Familyhood, 우리말로는 '가족애' 혹은 '동포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우자마 개념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전통적 맑스주의의 '계급투쟁론'을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아프리카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은 혈연을 중심으로 한 평등주의와 상호부조의 원칙에 입각한 전통 부족사회의 기본 가족 단위에 있다는 것이다. 니에레레는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기반과 목적은 우자마 혹은 가족 공동체에 있다. 이는 대중의 착취를 근간으로 해서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자본주의 체제에 반대하며 인간사이에 회피할 수 없는 갈등의 철학을 골간으로 해서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교조적 사회주의에 역시 반대한다. 우리는 아프리카인들을 사회주의로 개정시키는 것 보다 이들에게 참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우리들이 태어나서 자라난 전통사회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고대 아프리카 사회주의는 바로 이러한 전통사회에 나온 것이며 이는 기본 가족 단위의 확대로서 '사회'에 대한 인식에 그 골간을 두고 있다. "라고 말했다.
이와같이 전통 아프리카 가족은 우자마라는 가족 공동체의 기본 원칙에 따라 살았으며 비록 그 구성원들이 어떠한 정치적 목적으로 행동을 하진 않았으나 근대 사회주의의 골간이 되는 아래의 세 가지 중요한 원칙에 순응하는 생활 양식을 보였다.
첫째, 상호존경으로, 한 가정의 구성원 각자는 그 가정의 다른 구성원들의 위치와 권리를 인정하고 비록 각 개인이 지닌 권리는 다르더라도 어느 누구도 가족 전체에 불명예스런 짓을 하고는 존재할 수 없다는 최소한의 불문율들이 있다.
둘째, 재산과 소득의 공유로, 모든 생필품은 가족에게 공동으로 소유되었고 또 가족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균등하게 나누어 졌다.
셋째, 일할 의무로, 가족의 모든 구성원들과 그들과 함께 먹고 살 권리를 가진 손님들은 예외없이 모두가 다 일을 해야만 하며 일을 함으로써 상호 존경과 재산과 소득의 공유의 원칙이 지켜질 수 있다.
이러한 전통 부족사회와 상호존중의 3원칙에 골간을 둔 우자마사상의 근대 아프리카 사회주의에로의 승화를 위해 니에레레는 5가지의 기본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치의 민주화, 둘째, 산업의 국유화, 셋째, 소득의 균등분배와 지배계급의 권력남용을 통한 재산증식의 금지, 넷째, 집단농장제도의 자립, 마지막으로, 국가경제의 자립 등이다.
그러나 이같은 우자마 정책은 국내.외적 요인들로 인해 실패하였다. 국외적인 요인으로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와 1978-79년 사이의 우간다의 이디 아민을 축출하기 위한 정쟁지원과 가뭄을 들 수 있다.
국내적인 요인으로는 첫째. 탄자니아의 사회주의는 근본적으로 농촌 중심적이고 농업위주의 정책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수출 작물들이 1차산품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조건과 세계시장에서의 유동적인 가격으로 생산에 실패하였다. 둘째, 지도자들의 부패 때문이었다. 셋째, 소농들과 노동자들의 일할 의욕의 저하와 암시장의 성행으로 인한 유통구조의 문란을 들 수 있다. 결국 우자마 사회주의는 다같이 못사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치 > 시사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 아프리카주의(Pan-Africaism) (0) | 2001.10.29 |
---|---|
네그리뛰드(Negritude) (0) | 2001.10.29 |
아루샤 선언(Arusha Declaaaration) (0) | 2001.10.29 |
아프리카 사회주의(African Socialism) (0) | 2001.10.29 |
아프리카인의 개성(African Personality) (0) | 200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