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언어는 몇 개나 될까? - 아프리카제어의 계통분류
우선 2034개의 언어가 산재해 있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스와힐리어의 언어학적 지위와 그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 아프리카 언어의 계통분류(genetic classification)를 고찰해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계통분류는 아프리카인들의 기원과 그들의 과거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아프리카언어의 계통분류는 1963년 그린버그(J. Greenberg)가 총 집대성하였는데 유형학적 방법과 역사비교언어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크게 4대 언어군으로 구별하였다.
"본 게시글은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은 내용으로 무단복제를 하실 수 없습니다. 꼭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 어족으로는 아시아 아프리카 어족/阿亞語族(Afro-Asiatic Language Family)으로 주로 북아프리카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약 1억 7천 5백만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1/3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어족은 햄-셈어족(Hamito-Semitic Family)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 명칭은 구약성서 <창세기> 10장에 나오는 당시의 3대 민종이름 중 두 민족이 햄족과 셈족에서 비롯되었다. 이 어족에 속하는 중요언어는 모두 6가지 어군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지금은 사라져 버린 고대 이집트어, 서북 아프리카 마그레브지역 사막에서 쓰이는 베르베르(Berber)어군(알제리 남부, 니제르 사막에서 사용되는 투아레그(Tuareg)어), 소말리어, 및 갈라어로 대변되는 쿠쉬(Cushitic)어군, 아랍어 및 이디오피아어들을 포함하는 셈(Semitic)어군, 그리고 차드호수 인근의 하우사(Hausa)어 등으로 대변되는 차드(Chadic)어군, 마지막으로 오모강 유역의 오모(Omotic)어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베르베르어(Berber)어군 ; 약 1100만 화자로 넓은 지역에 분포. 4000-5000여개의 방언이 있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60%정도가 아랍어에서 차용된 것임. 현재 베르베르어는 하층민이 사용(불어, 아랍어는 상층민이 사용)하고 있으며 점차 감소추세. 북아프리카의 산악지대와 사하라 사막에 고립되어 있는 유목민의 언어. 투아레그(Tuareg ; 알제리 남부, 니제르 사하라 사막), 시위(Siwi ; 서부 이집트의 시위(Siwi)오아시스 부근), 누푸시(Nefusi ; 리비아 서부 드체벨(Dschebel)지방), 제나가(Zenaga ; 모리타니아와 대서양 연안), 제나티방언(Zenati ; 사막 베르베르어).
② 차드(Chadic)어군 : 125개 언어로 나누어 지며 차드호를 중심으로 하는 나이지리아, 카메룬, 챠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그리고 니제르에 분포. 하우사(Hausa)가 이에 속한다. 하우사어는 사용화자수가 1200만이며 제 2 언어로 사용하는 화자수는 약 1300만.
③ 셈(Semitic)어군 : 20여개의 언어로 모두 1억 5천 7백만 정도의 화자수를 갖고 있다. 주로 북부 아프리카와 근동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1억 4천이 아랍어 화자이고 암하릭(Amharic)이 8백만, 티그리냐(Tigrinya)가 360만, 현대 히브리어가 약 300만정도 사용하고 있다..
④ 쿠쉬(Cushitic)어군 : 30여개의 언어 및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자수는 약 1500만 정도. 이 언어는 구약성서 창세기에 나오는 햄의 아들 이름에서 유래. 수단 북동부 이집트와의 국경지역, 지부티, 소말리아, 이디오피아, 케냐 탄자니아 일부에 분포. 베자(Beja), 소말리(Somali), 갈라(Galla), 랜딜래(Reudilla), 이라쿠(Iraqu), 음부구(Mbugu), 엔몰로, 야쿠(Yaku), 산예(Sanye)
⑤ 고대 이집트(Old Egyptian)어군 : B.C. 3300 전부터 상형문자로 기록이 전해져 내려오는 가장 오래된 언어중의 하나. 라베시트어, 4세기 데모트어, 9-10세기 곱틱어. 이슬람교의 확장으로 점차 아랍어로 대체되었고 곱틱어는 현재 종교언어로만 사용됨.
⑥ 오모(Omotic)어군 : 투르카나 호수, 오모강 상류지역. 화자수 130만 월라모(Welamo ; 90만), 케파-마차(Kefa-Macha ; 17만)
두 번째 어족으로는 나이저 코르도판 어족(Niger-Kordofanian Language Family), 나이저 콩고 어족(Niger-Congo Family) 또는 콩고 코르도판 어족(Congo-Kordofanian Family)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서아프리카 의 세네갈로부터 동부지역인 케냐와 탄자니아 그리고 남부지역의 남아공에 이르기까지 가장 방대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반투어로 분리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수단의 코르도판 지역의 언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를 나이저-콩고어족이라 칭하고 이는 다시 6개의 하위 어군으로 분류된다. 대륙서쪽으로부터 차례로 열거해보면 월로프(Wolof), 플라니(Fula/Fulani)를 포함하는 西대서양(West-Atlantic)어군, 밤바라(Bambara), 수수(Susu) 등의 만데(Mande)어군, 모네(Mone), 구루마(Gurma), 도곤(Dogon), 카브레(Kabre)등의 볼타(Voltaic)어군(혹은 구르(Gur)어군), 네 번째로 가나, 나이지리아에서 사용되는 아산티(Ashanti), 아칸(Akan), 에베(Ewe), 요루바(Yoruba), 이보(Igbo)등의 언어를 포함하는 꾸아(Kwa)어군, 중앙아프리카아의 참(Cham), 상고(Sango), 음바(Mba), 잔데(Zande)어등으로 대변되는 아다마와 우방기(Adamawa-Ubangi)어군, 끝으로 두알라(Duala), 루안다(Ruanda), 스와힐리(Swahili), 쇼나(Shona), 헤레로(Herero), 줄루(Zulu) 등 400여 반투어를 포함하는 베누에 콩고(Benue-Congo)어군으로 이 어군만으로도 흑아프리카 중남부 전역을 차지하고 있다.
① 서대서양(West-Atlantic)어군 : 아프리카 대륙 서쪽끝 대서양해안 연변과 그 배후지역. 북으로는 모리타니아, 세네갈로부터 남으로는 라이베리아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되며 약 45개 언어가 속함. 플라니(Fula/Fulani ; 800만정도 사용, 코카서스 인종에 가깝다.), 세러(Serer ; 30만), 월로프(Wolof ; 120만)
② 만데(Mande)어군 : 말리를 중심으로 세네갈, 기니, 시에라레온, 라이베리아, 상아해안, 부르키나 파소등지에 분된 언어. 가나왕국 (1230-55; 아크라), 말리왕국(바마코), 밤바라(Bambara), 말린케, 듈라, 수수(Susu)등의 언어를 통털어 만딩고어라고 함(600만 화자 사용 ; 불어 식민지 하에서 불어교육을 유도함; 불어-만딩고-부족어), 바이(Vai)
③ 구르(Gur)어군/볼타(Voltaic)어군 ; 부르키나 파소, 가나, 토고, 상아해안, 말리 및 베넹에서 사용됨. 모두 53개어로 약 550만 화자수로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모네(Mone)어는 모시왕국을 형성. , Gurma(13만), Senufo, Dogon, Kabre.
④ 꾸아(Kwa)어군 : 트위(Twi)어의 ‘사람, 인간’의 의미를 지닌 kóa라는 단어에서 유래, 서부 기니해안으로부터 상아해안, 가나, 토고, 베넹을 거쳐 동부 나이지리아에 이르는 지역으로 해안으로부터 약 400km의 폭을 유지. 트위(Twi), 판테(Fante), 아샨티(Ashanti ; 금산출), 아칸(Akan), 에베(Ewe), 가(Ga), 요루바(Yoruba ; 1986년 Wole Soyinka ‘The interpreters’로 노벨상 수상), 에도(Edo), 누페(Nupe), 이보(Igbo ; Chinua Achebee, 'Things fall apart', 'Arrow of God')
⑤ 아다마와 우방기(Adamawa-Ubangi)어군 : 서부 나이지리아로부터 북부 카메룬, 차드남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북부 및 수단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 참(Cham), 상고(Sango ; 교통어), 음바(Mba), 잔데(Zande), 그바야(Gbaya)
⑥ 베누에 콩고(Benue-Congo)어군 : 약 400여개의 반투어가 이에 속하며 10만 이상의 언어는 50여개, 100만 이상의 언어는 10여개이다. 두알라(Duala ; 카메룬), 무에네(Myene ; 가봉), 뇨로(Nyoro ; 우간다), 키쿠유(Kikuyu ; 케냐), 스와힐리(Swahili ; 케냐 ; 탄자니아), 키콩고(Kikongo ; 잠비아), 벰바(Bemba ; 잠비아), 야오(Yao ; 말라위, 모밤비크, 탄자니아), 헤레로(Herero ; 나미비아), 쇼나(Shona ; 짐바브웨), 츠와나(Tswana ; 보츠와나와 국경을 맞댄 남아공), 줄루(Zulu ; 남아공), 소토(Sotho ; 남아공), 페디(Pedi ; 남아공), 코사(Xhosa ; 남아공), 팡(Fang ; 카메룬), 루안다(Ruanda ; 루안다), 루간다(Luganda ; 우간다), 쵸크웨(Chokwe(구자이레, 앙골라, 잠비아)
세 번째 어족으로 나일 사하라 어족(Nile-Sahara; Nilotic Language Family)으로 사하라사막과 나일강 지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이 어족은 송가이(Songhai), 마반(Mabaan)등 군소어군과 함께 방대한 언어를 포함한 샤리-나일어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샤리-나일어군은 모루(Moru), 마디(Madi), 망베투(Mangbetu) 등의 중부 수단어와 베르타(Berta), 쿠나마(Kunama)등을 포함하여 가장 큰 언어집단이 나일어군을 포함한 동부 수단어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렌진(Kalenjin), 루오(Luo), 마사이(Maasai) 등의 나일(Nilotic)어는 아프리카 동부 케냐등지에서 반투어와 인접해 있다.
① 나일어(Nilotic) : 화자수가 약 800만으로 제일 많다. 루오(Luo ; 케냐 서부지역), 딩카(Dinka ; 수단남부 나일강 범람지역), 킵시키스(Kipsikiis), 마사이(Masai ; 케냐), 투르카나(Trukana), 뉘르(Nuer ; 수단 남부), 아촐리(Acholi ; 우간다), 난디(Nandi ; 케냐)
② 중부 수단어(Central Sudanic) : 우간다의 알버트호수 및 나일강 상류로부어 서쪽으로는 챠드호수와 로고네(Logone)지역에 이르러 분포. 서쪽으로는 사라(Sara ; 100만), 바르마(Barma ; 90만)가 동쪽으로는 룩바라(Lugbara ; 28만), 발레(Bale ; 25만), 망베투(Mangbetu ; 14만), 모루(Moru), 마디(Madi)
③ 북부지역 : 누비아어, 송가이(Songhai) : 니제르강, 말리
마지막으로, 코이산 어족(Khoisan, San Language Family)이 있으며 수렵 채집을 하며 인류문화의 가장 원초적인 삶의 형태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는 산(San ; Bushman)1)족과 유목․목축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 코이코이(Khoikhoi ; Hottentot)2)족이 포함된다.
--------------------------------------------------------------------------------
1) 남부아프리카 지역에 정착하여 최초로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시작한 종족은 부쉬맨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부쉬맨이라고 부르는 명칭은 보어(Boer)인들이 ‘수풀에 사는 사람들(Boesman)'이라는 의미로 일컬었던 데서 유래하고 있으나 부쉬맨들에 대한 명칭은 다양하다. 예컨대, 코사(Xhosa)족은 트와(Twa), 소토(Sotho)족은 로아(Roa), 코이코이(Khoikhoi)족은 산(San, Saan)으로 부르고 있다. 오늘날 이들은 대략 10,000여명(실질적으로 약 500명 정도)이라는 극히 적은 수의 인구를 유지하며 칼라하리 사막 주변인 보츠와나(Botswana), 나미비아(Namibia), 앙골라(Angola) 등지의 건조지대에서 멸종의 위기를 맞으며 자신들의 전통적 석기시대의 생활방식(수렵과 채집 및 채취, 중요 도구는 타조 알을 사용)을 고수하며 살아가고 있다. 부쉬맨들의 신체적 특징으로는 매우 작은 키와 노랑색 또는 갈색의 피부 빛깔을 둘 수 있으며 이들의 언어는 매우 독특하여 “딸깍 딸깍 찰깍 찰깍”하는 소리나 혀 차는 소리들이 나는 소위 흡기음(吸氣音, click sound)을 구사하고 있다. G.S. Were, A history of South Africa (London, Evans Brothers Limited, 1974), pp. 2-4.
2) 호텐토트(Hottentot)족은 인종상 부쉬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노란 색깔의 피부빛깔이나, 이들의 언어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단음절의 흡기음(吸氣音, staccato click sound)의 사용은 호텐토트족 역시 부쉬맨과 동일한 혈통을 가졌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를 ‘사람중의 사람’이라는 의미의 ‘코이코이(Khoikhoi)’로 불려 지기도 한다. 그러나 유럽인들에 의해 명명된 ‘호텐토트’가 일반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호텐토트라는 ‘흡기음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1487년, 포르투칼인들이 남부아프리카에 도래했을 당시 호텐토트족은 살단하(Saldanha Bay)만, 테이블(Table Bay)만, 모셀(Mossel Bay)만 등지에 걸쳐 고기잡이와 조개류 채취로 생활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호텐토트족은 반유목민으로서 긴 뿔소와 양을 사육하였고 사냥용으로 개도 길렀다(주로 서쪽에 있는 Swakop강과 동쪽의 Fish강 사이의 해안가). 1652년 Jan van Riebeeck이 케이프에 상륙했을 때는 이들은 희망봉(The Cape) 주변지역, 오렌지(Orange)강 유역 그리고 나탈(Natal)지역과 서남아프리카 지역 훨씬 위쪽까지 분포되었다. 그러나 부쉬맨보다 넓은 지역에 분포되지는 못했다. 이들은 유목을 하였기 때문에 건조한 내륙이나 산악지대보다는 해안 가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했다. G.S. Were, A history of South Africa (London, Evans Brothers Limited, 1974), pp. 4-8.
"본 게시글은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은 내용으로 무단복제를 하실 수 없습니다. 꼭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프리카 테마 기행 > 재미있는 Africa 이야기 I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의 언어상황과 교통어의 발전 (0) | 2012.07.17 |
---|---|
아프리카의 언어. 반투어(Bantu language) (0) | 2012.07.17 |
아프리카의 교통수단 - 탈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탄다. (0) | 2012.07.17 |
케냐의 시내버스 마타투(matatu) (0) | 2012.07.17 |
좋은 결혼상대자는 어떤 사람일까? (0) | 201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