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1/13 14

우간다의 이디 아민 대통령

우간다는 동부 아프리카에서 탄자니아. 케냐에 다음가는 작은 나라이다. 인구 1,760만명으로 지형상 적도가 지나가지만 대부분은 고지인 탓에 사람살기 적합한 기후를 갖고 있다. 한국의 2배나 되는 넓이의 빅토리아 호수에 임하고 있으며 인근 다른 나라에 비하여 강우량이 많고 토지가 비옥하여 농사의 적지이다. 아프리카를 여행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우간다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감탄한다. 특히 주변의 사막과 초원만을 보다가 이 나라에 들어오면 높고 낮은 기복이 교차되는 산세와 우거진 삼림 사이를 흐르는 시내들이 아름답다. 수도 캄팔라는 인구 85만의 도시인데 오랜 내전으로 지금은 황폐되었지만 도시의 위치 와 거리의 구조가 동양적이 인상을 주어 내란 전 평화시의 번영을 넉넉히 상상할 수 있게 한다. 일찍이 처칠이 우..

정치/인물연구 2001.11.13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도카사 대통령

1979년 8뭘 1일 프랑스 대통령 지스카르 데스탕의 지시에 의하여 당시 보카사 황제에게 전달된 대통령의 친서는 아주 간단 명료했다. "죄 없는 초 중고생 100여명을 살해했고 이 살해에 보카사 대통령이 깊숙이 관계되어있는 것을 알고 있다. 프랑스는 더 이상 보카사를 지지할 수 없다. 왕위를 내 놓는 것이 유일의 길이다. 그렇게 하면 파리에서 편안히 살 수도 있고 또 연금도 받을 것이다. " 보카사 황제는 조용히 입을 다물고 대통령의 고문 르테 쥬르니아크의 말을 듣다가 그만 참지 못하고 그 사절을 지팡이로 후려갈겼다. 사절은 맞지 않기 위하여 뒤로 물러서며 팔을 들어 그것을 막았다. 이때 프랑스는 가봉의 봉고 대통령을 입석 시켰었는데 가를 대통령은 보카사를 뒤로 밀었다. 사절은 프랑스 대사관으로 가 지스..

정치/인물연구 2001.11.13

독립의 일방선언(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t : UBI)

독립의 일방선언(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t : UBI) 지배세력의 승인없이 식민지 국가가 독립을 선언하는 행위이다. UDI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독립을 획득함에 있어 쌍무 동의를 하는 것에 배치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1959년 영국과 나이지리아 지도자들은 1959년 12월 국민선거가 치루어지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새로운 입법은 독립을 요구하였고 1960년 10뭘 1일 영국은 나이지리아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일방선언은 쌍무협상이 식민세력에 의해 거부될 때 발생한다. UDI는 아프리카에서 세 번 사용되었다. 첫 번째는 남로데지아의 스미스(Ian Smeth)의 백인 소수정권이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것이다. 영국과 다른 어떤 나라도 UDI를 인정하지 않았다. 사실 ..

서부아프리카 통화통맹(Union Monetaire Ouest Africaine:UMOA)

서부아프리카 통화통맹(Union Monetaire Ouest Africaine:UMOA) UMOA는 구 불령 서부아프리카 6개국이 중심이 되어 프랑스가 창설했던 CFA프랑 및 프랑지역의 유지를 위해 1962년 5월에 설립되었으며 토고가 1963년에 추가로 가입하였다. UMOA의 기본목적은 역내 통화정책의 통합을 통해 역내의 무역의 중진 및 개발발전을 기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UMOA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첫째, 역내 중앙은행(BCEAO)을 기초로 두고 역내 공동통화정책을 도모하여 공동통화권을 형성한다. 두 번째는, 역내제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자문과 분석을 수행한다. 세 번째는, 역내 개발은행으로 서부아프리카은행(BOAD)를 아래에 두고 역내 국가들의 경제개발사업에 대하여 금융..

서부아프리카 경제 공동체(Communinaute Economique de I'Afrique de I'Guest :CEAO)

서부아프리카 경제 공동체(Communinaute Economique de I'Afrique de I'Guest :CEAO) CEAO가맹국들의 대부분은 독립 이전에 프랑스 식민지 통치를 받던 국가들로서 당초부터 이들 국가들은 무역관리, 통화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유사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국가는 독립 이전부터 역내 경제협력기구의 설립을 위한 협력기반 및 단결의식이 타 지역에 비해 일찍부터 조성되어 있었다고 하겠다. 독립이후 이들 국가는 역내 무역자유화를 위하여 1959년에 서아프리카 관세동맹을 설립하였으며 그후 이 기구는 역할 확대를 위해 경제통합화를 지향하는 관세·경제동맹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동 기구의 성과가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에 그후 이 기구는 다시 1972년 말리의 ..

남부아프리카 개발조정회의(SADCC)

남부아프리카 개발조정회의(SADCC) 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에 걸쳐 남부아프리카에는 소수 백인 지배로부터 다수 아프리카인 지배로 이행되는 격변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미 흑인 국가가 되어있던 탄자니아, 잠비아, 보츠와나, 모잠비크, 앙골라 등의 5개국이 1974년 전선국가(Front Line State)라는 협의체를 결성해 짐바브웨 해방투쟁을 정치 군사 양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그와 병행하여 경제적인 면에서도 남아공의 남부아프리카지배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1980년 전선국가외에 짐바브웨, 말라위, 스와질랜드, 레소토 등 9개의 흑인국가가 협력하여 SADCC를 창설하였다. 이는 79년 3월에 발표되었던 남아공 보타수상의 「연합국가」(Constellation of State..

샤바 분쟁(Shaba Conflict)

샤바 분쟁(Shaba Conflict) 추방된 자이레 무장 경관들이 앙골라에서 자이레로 2차례 침입한 사건을 말한다. 자이레인들은 前카탕카지역을 현재 샤바게로 부르고 있다. 추방경관들은 모부투(Mobutu)가 권력을 잡은 1964년 사바지역을 도망가 앙골라 국경을 넘어갔다. 그 시기 그들의 목표는 자이레로 부터 카탕카를 분리하려는 것이었다. 앙골라에서 그들은 포르투갈 지도자들이 자이레에 대항한 군사적 습격에 대한 조직과 계획에 대한 도움을 받았으며 대신 그들은 자유전사자들과 싸우는 포르투갈을 지지하였다. 이견상으로 그들은 살라자르 독재가 전복되긴 전까지 포르투갈을 지지하였으며 그후 그들은 MPLA를 지지하는 쪽으로 선회하였다. 1977년 3월 7일 첫 번째 사바지역으로의 침입을 하였으나 그들의 목표가 풍..

지역주의(Regionalism)

지역주의(Regionalism) 만약 아프리카를 하나의 전체로 생각한다면, 지역주의는 아프리카대륙과 각종 섬들을 보다 작은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아프리카는 두번째로 큰 대륙이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민족과 경험들, 가치관으로 가득 차있으며 지역주의는 아마 자연적인 발달로 고려된다. 학자들은 수십년 동안 아프리카의 지역을 나눔에 있어 중앙, 동부, 남부, 북부, 서부, 인도양으로 나누었다. 또한 아프리카인들은 수많은 원인과 목적들로 지역주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어와 프랑스 언어는 몇몇 지역 단체들을 형성하는 기반이 되었다. 아랍어와 이슬람은 아랍연뱅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지리적 인접성은 서아프리카제국 경제공동체(ECOWAS)나 남부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와 같은 기구들을 설명할 수 있..

정책안보 위원회(Political Security Council)

정책안보 위원회(Political Security Council) OAU의 개정된 헌장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기관이다. 정책안보 위원회는 평화를 위협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회원국들의 정책을 속박할 수 있는 놀라운 힘을 가진 기구이다. 안보 위원회의 개념은 종종 OAU내에서 거론되었으나 많은 지지를 얻는데는 실패하였다. 유엔의 안보이사회 이후 그 모델의 이상으로서, 이 안을 제의했던 회원국은 전체 회원국들 중에서 소수였는데, 긴급한 문제에 대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어떠한 상황들에 있어 모든 국가들을 속박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 OAU에서 제의된 정책안보 위원회는 각국의 이해관계로 좌절되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그같은 위원회의 영구회원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또한 비토권을 인정해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