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17 5

2. 코이산 어족(Khoisan Language Family)

코이산 어족(Khoisan, San Language Family)은 수렵 채집을 하며 인류문화의 가장 원초적인 삶의 형태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산(San ; Bushman)족과 유목․목축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 코이코이(Khoikhoi ; Hottentot)족이 포함된다. 남부아프리카 지역에 정착하여 최초로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시작한 종족은 산족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부쉬맨이라고 부르는 명칭은 남아프리카에 정착했던 보어(Boer)인들이 ‘수풀에 사는 사람들(Boesman)'이라는 격멸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부터 유래하고 있으나 산족에 대한 명칭은 다양하다. 예컨대, 코사(Xhosa)족은 트와(Twa), 소토(Sotho)족은 로아(Roa), 코이코이(Khoikhoi)족은 산(San, ..

1. 아프리카 언어(African Language)

아프리카는 적어도 2000여개의 언어 집단과 인종이 살고 있다. 각각의 언어집단은 그들 자신만의 특별한 문화적ㆍ역사적 전통을 가진 사람으로 그들을 동일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의 증거는 인간이 아프리카에 첫 발자취를 남겼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성이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400 만 년 전으로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우주는 그렇게 오랜 덧없는 여행을 금지한다. 그래서 우리의 첫 시발점은 오늘날의 언어에 대한 첫 출현이 탐지될 수 있는 5000-10000년 전 사이가 될 것이다. 그들의 많은 숫자에도 불구하고 모든 토착민의 언어들은 코이산(Khoisan), 나일-사하라(Nilosaharan), 아프리카-아시아(Afroasiatic), 그리고 니제르 콩고(Niger C..

3. 가나와 말리의 제국들

고대 가나(Ghana)는 서부 아프리카에서 초기 철기 시대 공동체중 하나였으며 니제르-콩고(Niger-Congo)어군 중 하나인 소닌케(Soninke)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왕국은 북쪽의 사하라, 세네갈 강, 그리고 남쪽의 니제르 강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금이 매우 풍부한 곳이었다. 이곳의 지배자는 무역로를 장악하고 수단의 동쪽 지역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다. 가나 제국은 철과 농업을 기반으로 성장했다. 사하라 횡단 무역로는 말들을 제공하였고 철제 무기의 사용과 함께 강력한 군사력으로 이웃의 부족들을 복속시켰다. 번창하는 무역과 왕가라(Wangara)와 밤북(Bambuk)의 금광으로부터의 수입은 수도인 쿰비-살레(Kumbi-Saleh)를 번영시켰다. 제국의 전성기인 1050년쯤, 베르베르인의 무역거점..

2. 1652-1857년, 케이프 식민지(Cape Colony)

유럽인들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그들의 활동범위를 해안의 성과 요새로 제한했다. 그러나 1652년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Dutch East India Company)에 의해 설립된 케이프 식민지(Cape Colony)는 예외였다. 백인 정착자들에 의해 호텐토트(Hottentots)와 부쉬맨(Bushmen)으로 불려진 코이산(Khoisan) 인종 집단은 석기시대 이후로 남부 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선주민이었다. 줄루(Zulu), 코사(Xhosa), 그리고 소토(Sotho)족을 포함한 다른 집단은 약 400년을 전후해서 이주한 반투족들이었다. 희망봉(Cape of Good Hope)에 설립된 케이프 식민지는 인도양으로 항해하는 선박의 기항지로 건설되었고 테이블 만(Table bay)은 항로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1. 1500년대, 아프리카의 뿔(The Horn of Africa)지역

북아프리카는 중요한 바다와 무역로에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과 문화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언어, 인종, 종교 등이 복잡하게 섞이게 되었다. 서기 639년에 있었던 아랍의 이집트 침공은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멸망을 불러왔다. 당시, 콥트 교회(Coptic Church)는 이집트 저항 세력의 상징이 되었다. 또한 새로운 무슬림 통치자들에 대해 남쪽의 기독교 세력들의 저항이 있었다. 이미 북아프리카와 아시아 사이의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비잔틴 무역상인들이 홍해와 인도양 항로를 사용하는 아랍 상인들로 바뀌어가고 있었다. 쿠쉬 어(Cushitic-speaking) 사용자들은 내륙의 무역로와 바닷가에 인접한 도시들을 침략하고 정복했다. 이 침략자들의 믿음은 여러 가지가 섞여있었다. 전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