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1466

또 쿠데타..

아프리카의 내전의 불똥이 안정적인 정국을 유지하고 있던 모리타니아로 옮겨가 또 다시 아프리카의 내전 도미노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지난 일요일 모리타니아 수도 누악쇼트(Nouakchott)의 대통령 궁과 군 사령부 주변에서 격렬한 총격전이 발발하였으며 쿠데타를 일으킨 군인들은 대통령 마우위아 우울드 시드 아흐메드 타야(Maaouiya Ould Sid Ahmed Taya)를 하야시키기 위해 군을 동원하였다. 대통령 누악쇼트는 쿠데타가 발발했지만 곧 진압되었고 완전히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 우악쇼트에 거주하는 한 모리타니아 사람은 IRIN 통신과의 전화에서 “대통령 궁 주변 8백미터까지 반군들이 몰려왔으며 주변 모든 거리는 반군들이 장악하고 있다. 나는 계속해서 기관단총 소리가..

[케냐]대통령의 에이즈캠페인

케냐의 무와이 키바키(Mwai Kibaki) 대통령은 그 자신 스스로가 공식적인 HIV 감염 테스트를 할 것이라고 케냐 국가 에이즈 통제위원회(NACC) 위원장 카핌 맘보(Kaffim Mambo)가 화요일 발표하였다. 지난 주 에이즈 예방 광고를 촬영하던 중 맘보가 대통령에게 ‘국가지도자가 에이즈 예방 캠페인을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에이즈 감염 테스트를 하는 것이 어떠한가’에 대해 문의하였고 대통령은 ‘공식적으로 대중들이 보는 앞에서 에이즈 감염 테스트를 할 것이다’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장면은 에이즈 예방 방송광고로 방영될 것이며 아마도 2-3주 후에 대중들이 그 광고를 보게될 것이다”라고 맘보는 덧붙였다. 35초 동안의 광고에서 키바키는 에이즈가 케냐를 위협하는 가장 큰 적이며 케냐인들은 ..

[케냐]이동통신 성장 급증

지난해 케냐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가 유선전화 가입자 수의 2배가 되는 1백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동 통신에 대해 2년전 2개의 기업이 먼허를 획득하여 오픈한 이래 이동통신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는 아프리카에서 정부의 간섭없이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보장하여 성공을 거둔 사례연구로 이용할 만큼 성공적인 사업이었다. 켄셀(KenCell)과 사파리컴(Safaricom) 등 두 이동통신 회사는 그들의 고객 수가 2001년의 63만명에서 지난해에는 1백만명을 넘었다고 말했다. 현재 케냐는 수송과 통신 분야의 매출이 전년도에 비해 21.5%가 증가한 반면 정부의 도로 복구 프로젝트는 약 1,196킬로미터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항공 수송도 지난해 매출이 22.5%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

재키 아크맷과 에이즈 퇴치운동

남아공의 가장 유명한 에이즈 캠페인 활동가는 재키 아크맷이다. 그는 10년 넘게 에이즈 양성환자로 살아오고 있으며 남아공의 에이즈환자들이 정부로부터 에이즈백신 약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와 싸우고 있는 에이즈 치료행위운동(Treatment Action Campaign)을 이끌고 있다.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을 펼치기도 했던 그는 백인 정부에 의해 7차례나 구속되기도 하였다. 아크맷은 에이즈느 남아공의 새로운 투쟁이다라고 말한다. “삶을 구매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나쁜 것이다. 남아공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그들의 에이즈 백신을 살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는 기대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 아크맷과 치료행동운동은 길거리에서 가난한 남아공인들이 에이즈치료를 정부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정부정책 변화를 요구하기..

아프리카에 대한 미국 원조 삭감

미국 구호기관 USAID 행정관 앤드루 낫시오스(Andrew S. Natsios)는 미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원조금이 이라크로 빼돌려지고 있다는 주장을 부인하였다. “이라크의 구호자금으로 들어가는 24억달러의 돈은 이라크 지원을 위한 정규 원조 예산이다”라고 그는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라크에 대한 대규모 원조로 인해 아프리카에 사용될 원조금이 줄어들은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중 대부분이 아프리카에 대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으로 그 자금이 분산될 것은 확실하다”라고 프린스톤 리맨(Princeton Lyman)과 존 프린드개스트(John Prendergast)는 인트내셔날 헤랄드 트리뷴지에 지난 목요일 기고에서 밝혔다. 전직 남아공과 나이지리아에서 ..

[케냐]사스발생없음-관광오세요

케냐 정부는 최근 케냐는 중증호흡증후군(SARS)로부터 자유롭다고 재확인했다. 케냐의 보건부 장관 캐리티 은길루(Charity Ngilu)와 정보 관광부의 라파엘 투주(Raphael Tuju) 장관은 나이로비의 케냐타로 입국하는 모든 승객들을 대상으로 SARA 검사를 철저히 실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직 케냐에서는 SARA로 의심되는 환자는 발견되지 않다고 말했다. 은길루 장관은 SARA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던 한 남자가 보고되었으나 후에 단순한 호흡 문제의 증상을 보였을 뿐이며 SARA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밝혔다. 그 남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했다. 두 장관은 직접 케냐타 공항에서 회견을 했으며 케냐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들은 철저한 검사를 실시한 이후에야 공항을 빠져나갈 수 있..

[콩고민주공화국]비행기 뒷문열려 승객들 사망... - 이런일이...

콩고민주공화국(DRC)의 소련제 일류신 76 국내선 항공기가 비행 도중 뒷문이 열리면서 여러명의 승객들이 기체 밖으로 떨어져 사망했다고 외신들이 9일 보도했다. 지난 8일 밤 수도 킨샤사를 이륙한 사고기는 원래 화물기이지만 경찰과 가족 등 모두 200여명이 타고 있었으며, 이륙 45분쯤 뒤 2200m 고도를 비행 중일 때 화물을 싣고 내리는 뒷문의 압력장치 고장으로 문이 열리면서 승객들이 밖으로 떨어졌다. 추락한 승객 숫자에 관해 AP와 AFP통신 등은 공항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160여명으로, BBC 방송은 129명으로 보도했으나, DRC 정부관계자는 10일 오전 0시30분(한국시각) 미국 CNN 방송과 인터뷰에서 "희생자는 7명에 불과하며, 나머지 대부분의 승객들은 비행기 앞쪽으로 대피해 화를 면했..

[남아공] 원로정치인 월트 시술루(Walter Sisulu) 사망

현 남아공의 집권당인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 원로인 월트 시술루(Walter Sisulu)가 5월 5일(월요일) 사망하였다. 그는 ANC가 창당되었던 1912년에 태어나 올해 나이 91세였다.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은 나이지리아 시인 벤 오크리(Ben Okri)가 시술루의 90번째 생일에 바친 ‘한 아프리카인의 만가’라는 시를 인용하여 “당신, 월트는 하나님이 만들어 준 하나의 기적과 같다”라고 조문하였다. 오랫동안 백인 통치에 맞서 함께 싸워왔던 만델라 전 대통령도 조문을 했다. “월트 시술루는 헌신적인고 자기 희생적인 지도자이다”라고 만델라는 말했다.

[나이지리아]오일 유정 파업사태 종결

지난 금요일(5월 2일) 밤 헬리콥트들이 나이지리아 연안의 4개 오일 유정에서 13일 동안 파업을 주도하던 동료들에 의해 인질로 잡혀있던 267명의 근로자들을 구조해 냈다. 그 구조는 나이지리아의 최대 노동조합인 나이지리아 노동회의(NLC)와 수도 아부자에서 협상이 시작되어 즉각적인 억류 근로자들의 석방에 합의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다른 파업문제들에 대한 협상은 계속하기로 했다. 이번 협상은 유정 오너인 미국의 트랜스오션(Transocean)사와 노동조합의 지도자 그리고 파업을 주도했던 대표자들 사이에서 합의하였다. 조셉 아킨라자 나이지리아 석유가스 노동조합(NUPENG)의 사무총장은 유정에 있는 노조회원들이 그 합의에 즉각적으로 동의하였다고 말했다. 이번에 억류되었던 근로자들에는 97명의 외국인과 나이지..

[나이지리아]석유 유정의 인질사태

나이지리아 해군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고 있는 석유 유정 인질사태에 개입하고 나섰다. 해군의 대변인인 세니비 훈기아푸코(Senibi Hungiapuko)는 유정을 통제하기 위해 군인들을 선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97명의 영국인, 미국인 그리고 유럽 근로자들이 4개의 유정에서 나이지리아 근로자들에 의해 인질로 잡혀있다. 현재 나이지리아 석유개발과 관련하여 지난 4월 19일부터 근로자들이 파업에 돌입하고 있다. 약 1백명으로 추정되는 파업 근로자들은 석유 시추장소인 니제르 삼각주의 헬기 착륙장에 헬리콥트의 접근을 막고 있다. 해군 대변인은 미국의 휴스톤의 트랜스오션(Transocean)이 개발하고 있는 유정에서 경영 문제로 파업을 하고 있다고 밝히고 해군은 그 유정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자들을 밖으로 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