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물연구

우간다의 무세베니(Museveni) 대통령

africa club 2001. 11. 21. 20:39
군인이자 정치가인 무세베니는 1986년부터 우간다의 대통령을 지내고 있다.
새로운 유형의 아프리카 지도자로서 이미 많은 관측자들의 관심의 대상이던 우간다의 대통령 요웨리 무세베니는 1997년의 정치 발전으로 다시금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무세베니로서는 정치 안정과 경제 성장, 사회적 생산기반의 개선 등 우간다가 활력을 되찾은 것을 자랑스럽게 여길 만했다. 또 우간다는 아프리카 국가들 가운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과의 전쟁에서 성공을 거둔 유일한 나라이기도 했다. '아프리카의 비스마르크'라고도 불리는 무세베니 대통령은 1당 통치와 민간기업의 혼합 기조를 무난히 이루어냈으며, 특히 우간다의 안보환경 개선과 지역 통합이라는 자신의 목표 추진에 도움이 되는 경우 인접 국가간 갈등의 중재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무세베니는 1944년 우간다 남부 음바라라에서 목축업에 종사하는 농부 집안에서 태어나, 선교사가 운영하는 학교를 거쳐 1966년 은타라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탄자니아 다레살렘 대학에서 공부를 하였으며 오보테 우간다 전 대통령 밑에서 이디아민에 의한 쿠테타(1971)가 발생하기 전까지 일을 했다. 재학 중 아프리카해방운동과 동맹관계에 있던 좌익 학생단체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1971년 이디 아민이 집권하자 무세베니는 탄자니아로 돌아갔는데 이번에는 망명길이었다. 이디아민에 의해 쿠테타가 발생하자 그는 탄자니아로 망명하였으며 그곳에서 그는 민족해방전선을 형성하여 1979년 이디아민을 축출할 때까지 활동하였다. 그는 1979년부터 80년까지 국방부장관을 지냈으며 오보테와의 불화로 1980년에 물러난 후 과도정부에서 일하다가 1980년 우간다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부정선거를 통해 밀턴 오보테가 승리하자 무세베니는 민족저항운동(National Resistance Movement)을 결성했다. 결국 저항세력이 승리해 1986년 1월 26일 무세베니는 우간다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996년 5월 9일 재선되었고, 1개월 뒤에 치른 총선에서는 그의 지지자들이 의회를 장악했다.

청년시절에는 마르크스주의 신봉자였지만 경제발전에는 자유기업 체제가 필요하다고 믿게 되었다. 한편으로 그는 가난한 아프리카 국가에서 다당제 민주주의는 부족간의 정략정치로 타락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거부했다. 동시에 그는 언론이 종종 자신의 정책을 비판했음에도 언론의 자유을 허용했다. 무세베니는 또, 이제 싸워야 할 상대는 식민지 이주자들이 아니라 부패한 통치자들이라고 주장하면서, 아프리카인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방이 아니라 스스로를 의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마도 그의 정책 중 가장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반란 세력들에 대한 지지인데, 그중에는 1997년 인접 국가인 자이르(지금의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모부투 세세 세코를 축출한 로랑 카빌라도 있다. 무세베니는 르완다 정부에 맞서 투쟁하고 있는 투치족과 수단에서 이슬람 근본주의 통치자들과 투쟁하는 집단도 지원했는데, 그 집단의 지도자는 그의 옛 학교 동창이다. 무세베니는 자신의 목표가 정치 및 경제 분야의 지역 통합을 달성하는 데 있다고 선언하면서, 부패한 정권의 반대 세력들에 대한 지지는 그러한 통합체를 이룩하는 데 필요한 정당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무세베니하의 우간다는 성공적인 경제수행으로 최근 몇 년간 7~8%의 경제성장을 달성하여 아프리카의 신흥 공업국가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만연하고 있는 에이즈퇴치 문제에도 적극 개입하여 에이즈 발병률을 크게 낮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