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wahili 20

제2부. 스와힐리어 구문연습(Kiswahili Excercise) - 7장. Somo la Saba

14.15.제 7 장① Somo la Saba② 가. 1. 회화1) 1.1 음식Aika : Shikamoo bibi.Bibi : Marahaba.Aika : Bibi, ninasikia njaa. Ninaomba chakula.Bibi : Njoo ule. Kuna wali na maharage kidogo.Aika : Asante bibi. Ninaomba nyama pia.Bibi : Hapana! Usile nyama. Hii ni ya babu yako. Yeye happendi maharage.Aika : Sawa bibi. Ninaomba pia chai.Bibi : Chukua mjukuu wangu.Aika : Asante bibi.Bibi : Aika, kunywa chai tu. usi..

제2부. 스와힐리어 구문연습(Kiswahili Excercise) - 6장. Somo la Sita

12.13.제 6 장① Somo la Sita② 가. 1. 회화1) 1.1 서점에서 Nataka kununua Kamusi ya Kiingereza-Kiswahili. : 저는 영어-스와힐리어 사전을 사고 싶습니다.Kitabu hiki ni bei gani? : 이 책은 가격이 얼마입니까?Nimevutiwa hasa na vitabu cha historia ya Afrika. : 저는 특히 아프리카 역사책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Kuna tafsiri ya Kiingereza ya kitabu hiki? : 이 책의 영역판이 있습니까?Kitabu hiki kimeandikwa na nani? : 이 책은 누구에 의해 쓰였습니까?Kimeandikwa na Ngugi wa Thiong'o. : 응구기와 씨옹..

제2부. 스와힐리어 구문연습(Kiswahili Excercise) - 5장. Somo la Tano

10.11.제 5 장① Somo la Tano② 가. 1. 회화1) 1.1 물건사기 Je, kuna duka hapa jirani? : 이곳에서 가까운 가게가 있습니까?Soko / duka la karibu liko wapi? : 가까운 시장 / 상점이 어디에 있습니까?Naweza kununua A wapi? : 어디에서 A를 살 수 있을까요?Wapi naweza kupata A? : 어디에서 A를 구할 수 있을까요?Nitafikaje huko? : 그곳에 어떻게 갈 수 있지요?Nisaidie tafadhali? : 저를 좀 도와주시겠습니까?Nataka kununua A. : 저는 A를 좀 사고 싶습니다.Nataka kununua hii / hiyo. / Nitachukua hii : 이것을 사고 싶습니..

제1부. 스와힐리어 문법(Kiswahili Grammar) - 3장. 스와힐리어의 언어학적 특징

4.5.제 3 장① 스와힐리어의 언어학적 특징② 스와힐리어는 문법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요소인 여러 개의 작은 형태소(形態素 ; morpheme) 에 의해 문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간략히 정리하여보면 첫째, 첨가어적 (添加語 ; affixing language) 성격이다. 둘째, 명사의 부류체계와 다양성(system of class prefix of Noun)을 가지고 있다. 셋째, 일치현상(concordial agrement)이 철저하게 적용되고 있다. 넷째, 명사의 성(性)이 없다(absence of grammatical gender). 다섯째, 모음조화 현상(vowel harmony)등과 같은 반투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31) 가. 1. 형태론 1) 1.1 명사부류체계(Noun Class Syste..

제1부. 스와힐리어 문법(Kiswahili Grammar) - 2장. 스와힐리어 음성음운론(발음과 철자)

2.3.제 2 장① 스와힐리어 음성음운론② (발음과 철자)③ 스와힐리어의 발음은 ‘소리나는 대로 발음’되기 때문에 우리가 습득하는데 아주 용이하다. 스와힐리어 철자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c, q, x를 제외한 23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언제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을 이룬다.음성음운론25)에서 다루는 말소리는 자음(Consonant)과 모음(Vowel)으로 구성되는 분절요소(Segmental element)와 의미를 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분절이 불가능한 강세(Stress), 성조(Tone), 그리고 어조(Intonation)로 구분되는 초분절요소(Supra-segmental element)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26) 1) 1.1 자음(consonants) 스와힐리어의 자음은 반투어를 근간..

제1부. 스와힐리어 문법(Kiswahili Grammar) - 1장. 스와힐리어(Kiswahili)의 형성과 발전

제 1 부스와힐리어 문법(Kiswahili Grammar) 1.제 1 장 ① 스와힐리어(Kiswahili)의 형성과 발전② 스와힐리어 사용지역1)가. 1. 서 론가)아프리카 대륙의 종족 분류는 그곳에 살고 있는 언어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다. 전형적인 예를 들어 ‘반투(Bantu)2)’라는 인종의 범위는 반투어계(語系)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부족의 총칭인 것과 같이, 언어의 분류가 인종이나 부족을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록된 역사문서가 타대륙에 비해 적은 아프리카 대륙에 있어 아프리카인들의 사회, 문화, 종교, 철학 등을 연구하는데 언어의 연구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아프리카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아프리카 대륙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2034개로 파악되고 있..

목차

목 차제1부 스와힐리어 문법(Kiswahili Gramma) 11.2. 제1장 스와힐리어(Kiswahili)의 형성과 발전 3가. 1. 서 론 3나. 2. 아프리카제어의 계통분류 5다. 3. 스와힐리어의 역사적 배경 7라. 4. 스와힐리 문명의 정체성 113.4. 제2장 스와힐리어 음성음운론(발음과 철자) 12가. 1.1 자음(consonants) 12나. 1.2 모음(vowels) 15다. 1.3 강세(stress, accent) 16라. 1.4 억양(intonation) 165.6. 제3장 스와힐리어의 언어학적 특징 17가. 1. 형태론 17나. 1.1 명사부류체계(Noun Class System) 17다. 1.2 명사부류체계와 일치현상(Concordial Agreement) 19라. 1.3 파생/변..

서문

서 문 스와힐리어(Kiswahili)는 아프리카 4대 어족 중 나이저 코르도판 어족에 속하며 베누에-콩고(Benue-Congo) 어군에 속한다. 스와힐리어는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등 아프리카 동부와 중부에서 국어 혹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말라위, 모잠비크 북부, 잠비아 동부, 코모로제도, 수단 남부, 에티오피아 남부, 소말리아 남부, 마다가스카르, 르완다, 부룬디 등 10여개 국가에서 통용되는 언어다.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의 고유어로서는 가장 많은 화자수를 보유하고 있는 교통어(lingua franca) 혹은 광범위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language of wider communication)로 동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인들을 대표하는 언어로 평가되고 있다. 오늘날 아프리..

스와힐리어 연구(Kiswahili Studies)

스와힐리어 연구(Kiswahili Studies) 김 광 수 저 김 광 수(金 光 秀)1965년 출생. 1994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어과를 조기졸업하고 아프리카지역대학원에서 정치학으로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포쳐포스트룸 대학교(Potchefstroom Univ. ; 2004년 North-West Univ.로 명칭변경) 역사학과에서 “아프리카인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의식”에 관한 주제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현지조사를 매우 중시하여 방학 때마다 아프리카를 방문하여 아프리카 역사와 문화, 특히 구전역사(oral history)와 아프리카 문명연구를 통한 역사․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동부 아프리카의 주요언어인 스와힐리어를 강의하고 있으며 남부 아프리카의 주요언어인 아프리칸..

아프리카의 제1언어는 스와힐리어(Kiswahili)

아프리카의 제1언어는 스와힐리어(Kiswahili) 아프리카 대륙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2034개로 파악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스와힐리어(Kiswahili)어는 흑아프리카를 대변하는 가장 중요한 언어로서 세계 12대 언어 중 하나로 포함시키고 있으며, 과학적이며 조직적인 체계를 지닌 아름다운 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장은 스와힐리어 시문학의 대가인 크나퍼트(Jan Knappert) 교수가 ‘스와힐리어야말로 시를 위한 언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서 확인할 수 있다. "본 게시글은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은 내용으로 무단복제를 하실 수 없습니다. 꼭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10 여개 국에서 국어 또는 공식어로 혹은 교통어(Lingua franca)로 사용되는 언어로서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