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20 43

동아프리카 공동체(East African Community : EAC)

동아프리카 공동체(East African Community : EAC) 1967년 6월 1일 통신, 재정, 상업, 산업 그리고 사회간접 서어비스의 협력을 위해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세 국가가 협력하여 만든 기구이다. 정확하게. 이 기구는 1961년(독립이전) 동아프리카 공동 서어비스 기구로써 조직되었으며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초기의 친밀한 협력관계를 계속하기 위한 우호적인 발전관계를 지속하였다. 회원국 세 국가들은 모두 영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독립 때 까지 엄격한 국가간 제도들이 이미 존재했었다. 다른 동아프리카 국가들의 참여 가능성을 포함한 여러가지 전망속에 1967년 동아프리카 공동체 조약이 15년간의 기한으로 체결되었다. 그러나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1977년 12월 조약이 파기되었다. 정치적으로 ..

아프리카 경제전망

2) 아프리카 경제전망 금년들어 국제 기업환경의 침체는 2001년 성장 예측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세계은행의 글로발 재정 보고서는 올해의 세계 경제성장을 2000년의 4% 보다 크게 하락한 2.2%를 전망했다. 지난해 11월에 있은 전망은 3.4%의 성장이었다. 이같은 급격한 하락 전망의 주요 이유는 선진국 경제, 특히 미국경제의 침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말레이시아, 필리핀 그리고 한국과 대만 태국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 상품의 수출에 주력하고 있는 국가들에게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다른 요소들이 아프리카 국가들에 충격을 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세계무역의 침체와 동반하여 상품가격들도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 비 오일가격의 충격 보다 오일가격의 충격이 더욱 크다는데 있다. 이것은..

아프리카 경제 일반

1) 아프리카 경제 일반 오늘날의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현황은 1차산업을 위주로 하는 생산경제, 서방세계의 원료시장화 구조 그리고 인구성장이 GDP생산을 추월하여 1인당 GDP가 제자리 걸음 흑은 실질적 하락을 나타내는 상황이다. 이같은 구조는 동시대의 생활의 질이 1960년대의 독립시기와 비 숫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에서 아프리카의 경제현황이 얼마나 심각한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기아와 누적되는 외채로 인해 역내 국가들의 정치, 경제적 불만이 누적되고 있으며 또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민주화 시위가 빈발하고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케냐, 코트디부아르, 가봉,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의 국가들은 서방세계로의 재빠른 편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