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6/29 5

아프리카인에게 민간신앙은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아프리카인에게 민간신앙은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장용규 아프리카는 종교적 역사가 깊은 땅이다. 에티오피아에는 기원 후 1세기경부터 아랍지역에서 들어 온 기독교가 정착돼 에티오피아 정교회(Ethiopian Orthodox Church)가 형성되었다. 동부아프리카와 북부아프리카에도 이미 기원을 전후로 해서 아랍지역의 이슬람 문명과 꾸준한 교류가 있었으며, 기원 후 7세기를 시점으로 빠른 속도로 이슬람교가 침투해 들어 왔다. 18세기에는 수많은 유럽의 선교사들이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아프리카로 밀려들어오는데 특히 남부아프리카에서의 파급효과가 커 기독교는 남부아프리카의 최대 종교로 성장해왔다. 이런 역사적 정황으로 볼 때, 북부와 서부아프리카에는 이슬람이, 중부와 남부아프리카에는 기독교가 크게 영향력을 행사..

아프리카 민족에 대한 단상

아프리카 민족에 대한 단상 장용규 민족은 이해집단이다. 민족은 공동체의 이익을 대변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움직인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들이 유지해 오던 정체성을 버릴 수 있을 정도로 철저하게 이해를 추구한다. 프레드릭 바쓰(Barth, F.)가 주장한 민족의 영역(boundary)과 개인 사이의 상호작용은 아프리카라는 맥락 안에서 의미가 있다. 바쓰는 한 민족이 타 집단과의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문화적 상징들, 예를 들어, 종교, 정치, 언어, 역사 등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관심을 보인다. 민족 정체성은 과거로부터 전승되어 온 고정된 문화적 산물이라기보다는 융통성 있는 사회조직의 특성이라는 것이 바쓰의 입장이다. 특히 바쓰는 민족 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소로 ‘주어진 환경’에 ..

아프리카의 성과 결혼 : 신화와 현실

아프리카의 성과 결혼 : 신화와 현실 장용규 솔로몬의 지혜 남아공 유학시절, 학교 앞에서 같이 자취를 했던 분투(Buntu)라는 학생으로부터 들은 재미난 이야기 한 토막. 코사 ‘전통’에서 사춘기가 지난 사람들이 이성교제를 하는 것은 아주 당연한 일이지. 오히려 사춘기가 지났는데도 이성친구가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지. 뭔가 부족한 바보가 아니고서야... 우리 또래에 여자친구가 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되거든. 남녀 간의 교제에는 일편단심이 통하지 않아. 뭐, 한 남자가 여러 여자를 만날 수도 있고, 반대로 한 여자가 여러 남자를 사귈 수도 있는 거지. 그게 그리 큰 문제는 아니야. 단 우리 ‘전통’은 남자와 여자의 이성교제는 허락하되 성관계는 엄격하게 금하고 있어. 그런데 말이야. 남자와 여자가 사귀..

남아공의 흑인 경제능력 부여 정책의 도입배경과 내용

남아공의 흑인 경제능력 부여(BEE) 정책의 도입 배경과 내용 올 한해 동안 남아공 국내 정책 중 가장 눈여겨 봐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BEE'로 약칭되는 흑인 경제능력 부여 정책(Black Economic Empowerment)이다. 남아공 정부는 2003년에 이를 발표한 뒤로 BEE정책은 남아공 산업계의 최대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BEE정책이 이렇게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흑인 민주정부 출범 10년째인 지금 정치적 안정은 달성하였지만 과거 인종차별 정책의 잔재로 인해 계층 및 인종간 경제적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정부가 실감하고, 이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BEE정책은 흑인 기업가들 사이에서 일종의 경제적 시민 운동으로 시작되어 지난 10년간의 열띤..

미국-아프리카성장과 기회법 연장

미국의 아프리카 성장과 기회법Ⅲ(AGOAⅢ)의 시한 연장이 6월 14일 미 의회를 통과함으로써 2000년에 제정된 이 법이 2015년까지 연장하게 되었다. 또한 올 해로 종료되는 무관세와 쿼터량의 무제한이 2008년까지 연장하게 되었다. 이로써 아프리카 국가들은 아프리카 성장과 기회법 적용을 연장받게 되어 미국으로의 수출이 한층 증가될 전망이다. 아프리카 성장과 기회법은 클린턴 전미국대통령이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성장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미국으로 수출되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상품에 대해 무관세 혹은 저관세의 혜택을 주는 법으로 아프리카 국가들의 미국 시장진입에 큰 효과를 가져왔었다. 그러나 이 법은 2004년에는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는 무관세의 혜택이 사라지기 때문에 아프리카 국가들의 이 법의 연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