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 417

유럽인의 내왕(15 - 18세기)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 내항한 최초의 유럽인은 1364∼65년의 프랑스인이었다는 설이 있으나 기니라는 지명이 유럽지도에 최초로 기재된 것은 1350년 무렵이었다. 사료(史料)에 의해서 확인된 최초의 항해자는 1434년에 북위 26" 의 바하도르곶(率)을 남하한 포르투갈인(人) 질에아네스라고 한다. 교황(敎皇)이 포르투갈에 아프리카 서안의 영토권을 부여한다고 선언함으로써 포르투갈인은 항해를 계속하여 디오고캄이 71년 적도(赤道)에 도달했고, 82년에는 콩고강 하구를 발견했으며 88년 바르돌로뮤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했고 97년에는 바스코다가마가 회망봉을 우회해서 나탈에 도달하여 인도양 항로를 발견하였다. 1494년의 스페인 ·포르투갈은 아프리카를 각각 독점적인 세력범위로 할 것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16세..

식민지 분할의 완료(1885∼1914)

콩고분지조약의 발표에 따라서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서구 제국은 대(對)아프리카 정책에서 두 가지 경향을 명백히 하기 시작하였다. 첫째는 특허회사에 의한 경제적 이익의 추구였고, 둘째는 실질적인 식민지 지배를 확립하기 위하여 무력에 의한 분할의 촉진이 었다. 콩고분지조약은 식민지주의국(液民地主義鬪)에 대해 경제적 이의의 독점을 금하고 기회균등과 문호개방의 원칙을 강요하였다. 이 제약을 벗어나 경제적 이익을 독점하기 위해서 1885∼1900년에 걸쳐 식민지주의 제국은 똑같이 를 설립하였다. 는 식민지 내에서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대한 토지소유권 · 광업권 ·무역의 권리 등에 관한 독점적 권리를 부여받았을 뿐만 아니라 징세권(徵歌權)을 비롯하여 행정 · 사법 · 입법 및 경찰의 권리까지 보유하면서 ..

탐험과 분할 경쟁시대(1787∼1885)

미국의 독립, 프랑스 혁명에 의해서 노예해방의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한편 그것은 노예의 공급원에 불과하였던 아프리카 대륙에, 구미 자본주의 제국이 영토적 야심을 가지기 시작한 과정이기도 하였다. 노예해방과 함께 영국, 프랑스, 미국은 이 대륙 내부를 침략하기 위한 교두보(橋頭垈)를 만드는 데 부심하였으며 1787년 망고파크에 의한 니제르강 유역의 탐험을 시초로 내륙 탐험이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은 1787년에 지금의 시에라리온에 해방노예를 이주시키고 아프리카인에 의한 자유의 나라를 건설하기로 하고 그 이듬해 런던에 를 설립하여 아프리카 내륙의 지리적 · 인문적인 조사연구를 준비하였나 해방 노예의 이주지에 라는 이름을 붙이고 1807년 노예무역이 금지된 이 후에는 노예선에서 해방된 사람들의 정착지로 삼..

유럽인의 아프리카 탐험과 쟁탈

유럽인의 아프리카에 대한 탐험은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인해 개인별로 아프리카 내부로 진출하였다. 16세기 중반 몇몇 포르투칼인의 아프리카 내부의 탐험을 제외하고는 시민단체나 회사단체를 앞세운 유럽정부들은 19세기까지 내륙으로 거의 진출하지 못했으며 단지 해안을 따라 무역을 하였다. 탐험가들은 나일강, 콩고강 그리고 니제르강 등의 진원지를 알기 위한 탐험이었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내부에 존재하는 인종과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였다. 1795년에 뭉고 파크(Mungo Park)는 프랑스 동료인 르네 까이에(Rene Caillie)와 함께 니제르강 중류와 상류를 탐험했다. 그러나 곧 1830년 클라프톤(H.Clapperton)과 랜드(R.Lander)는 니제르 강을 카누를 타고 탐험하였으며 니제르강에 있는 거대..

[남아공]세계 최고 호화 열차 ‘블루 트레인’(Blue Train)

최고급 설비와 서비스 덕분에 ‘달리는 최고급 호텔’이라는 별명을 얻은 블루 트레인. 그 역사는 19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블루 트레인’이라고 이름 지어진 것은 1946년의 일이다. 블루 트레인은 왕실의 상징 색인 로열 블루와 문명의 발상지인 그리스 에게해의 파랑에서 유래한다. 지금도 일부에서 사용되는 구형 차량이 운행을 개시해 명실공히 블루 트레인이 된 것은 1972년의 일이다. 1997년 9월부터 신형 차량으로 교체하기 시작해 지금은 대부분 신형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열차의 최고 시속은 110킬로미터, 18량 편성으로 정원은 84명이다. 에어컨은 물론 방음, 방진 등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 18량 중 객차는 11량으로 럭셔리와 디럭스 등 2종류의 클래스가 있다. 2량은 럭셔리로 욕실에는 모..

탄자니아의 니에레레

탄자니아의 대표적인 정치지도자인 니에레레는 폭력이나 힘에 의존하는 대신 이성이나 설득의 힘에 의존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 시행했다. 탄자니아의 계속적인 변화는 유지시키지 못했지만 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뛰어난 지도자라 할 수 있다. 그는 기존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정치스타일에서 가감히 탈피하여 새로운 스타일의 정치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역사상 아프리카 정치지도자중 가장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독립후 20년후에 1960년대 소수의 낙천주의자들은 탄자니아를 새로운 아프리카세계에 있어서 가장 용감한 아프리카의원형으로 간주했다. 또한 평등주의자들은 개인주의 되고자하는 욕망을 배제하고자 한다. 물질주의자들은 서로 나누고 도와주는 사회를 건설 하고자 한다. 이와같이 급진적이거나 보수적인 비평가들은 정반대의 전제를..

정치/인물연구 2001.10.22

아프리카연구 - 13호

아프리카의 정체성 위기와 흑인의식--장용규 신생 남아공에서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미래에 대한 전망--서상현 Policy Development for Export Promotion in Africa in the Age of Informatization--최동주 The Women's Struggle for Equality during South Africa's Transition to Democracy--홍진주 남아공의 경제에 있어서 재분배 문제-RDP와 GEAR의 비교를 통하여--박희정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김광수 ** '아프리카 연구'는 한국외국어대 아프리카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자료입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연구소로 문의하거나 자료 복사 요청을 바랍니다.

아프리카연구 - 13호

아프리카의 정체성 위기와 흑인의식--장용규 신생 남아공에서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미래에 대한 전망--서상현 Policy Development for Export Promotion in Africa in the Age of Informatization--최동주 The Women's Struggle for Equality during South Africa's Transition to Democracy--홍진주 남아공의 경제에 있어서 재분배 문제-RDP와 GEAR의 비교를 통하여--박희정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김광수 ** '아프리카 연구'는 한국외국어대 아프리카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자료입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연구소로 문의하거나 자료 복사 요청을 바랍니다.

아프리카연구 - 12호

Regional Integration in Southern Africa : Some Theoretical Perspectives ------- 신원용 아프리카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 여건에 대한 연구 사하라 남부 지역의 정책환경을 중심으로 - --- 최동주 남아공의 타보 음베키 정권출범과 경제정책 ---- 서상현 Africa's IT Challence in the 21st Century --- John Esibi 맥락으로부터 도출된 재해석, 스와힐리어의 [na]와 [juu] --- 권명식 탈식민지 문학의 정전화 : 노벨평화상 수상작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흑인문학 - ----- 장태상 줄루 종교 현상의 사회학적 고찰 ----- 장용규 ** '아프리카 연구'는 한국외국어대 아프리..

아프리카연구 - 12호

Regional Integration in Southern Africa : Some Theoretical Perspectives ------- 신원용 아프리카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 여건에 대한 연구 사하라 남부 지역의 정책환경을 중심으로 - --- 최동주 남아공의 타보 음베키 정권출범과 경제정책 ---- 서상현 Africa's IT Challence in the 21st Century --- John Esibi 맥락으로부터 도출된 재해석, 스와힐리어의 [na]와 [juu] --- 권명식 탈식민지 문학의 정전화 : 노벨평화상 수상작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흑인문학 - ----- 장태상 줄루 종교 현상의 사회학적 고찰 ----- 장용규 ** '아프리카 연구'는 한국외국어대 아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