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1 49

[수단]동아프리카 정상들, 소말리아 평화위한 한마음

East Africa summit agrees Somalia talks 동부 아프리카의 정부간 개발기구( the 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ent: IGAD) 7개국 정상(수단, 소말리아,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에리트리아, 지부티)은 수단의 수도 카르툼(Khartoum)에 모여 올해말에 소말리아의 평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소말리아 국가화합 컨퍼런스를 열기로 합의했다. 소말리아의 국가적 단합을 위한 이번 동아프리카 7개국 정상들의 약속을 재확인하기 위해 오는 3월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Nairobi)에서 정부간 개발기구 (IGAD) 회의를 다시 가지기로 합의했다. 소말리아는 지난 1991년 이후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었으며 최근 신정부 수립을 위한 시도가 ..

인터폴, 국제아동인신매매 근절에 동참

국제경찰 기구(ICPO=인터폴)는 아프리카에서 성행하는 어린아이들에 대한 인신매매의 박멸을 목표로 하는 국제적 대처에 참가할 것을 밝혀 국경을 넘은 국가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필요성을 호소했다. ICPO의 직원이나 원조 단체는 코트디부아르에서 회담을 가지고 3일간의 일정을 끝냈다. 코트디부아르는 카카오농장에서의 어린아이 노예에 관한 보고가 코트디부아르의 주요 수출품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ICPO 인신매매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잘·오 스터드씨는 「이 지역에서는 분명히 아이가 농장이나 가정에서 일하고 있다. 가족이나 친척에 의해 양도되어 심한 착취를 받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번 협의에의 참가가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에서의 미성년 인신매매의 박멸을 향한 운동에 ICP..

가봉의 에볼라 대책 팀, 주민과의 알력으로 현지를 떠나

중앙 아프리카의 콩고 공화국과 가봉에 걸쳐 발생한 에볼라 출혈열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봉 북동부 메칸보에 체재하고 있던 전문가 팀이 안전상의 이유로 현지를 떠났다고 원조 단체들이 전해 주었다. 국제 적십자(IRC)가 밝힌 바에 의하면, 사망자의 매장 방법을 둘러싸고 지역 주민의 반감이 높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01년 12월 초순에 발생이 확인된 이래 에볼라 출혈열에 의한 사망자의 수는 가봉에서 18명, 콩고 공화국에서 7명 등 모두 25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 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9건의 감염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사망자의 수는 향후에도 증가할 전망. (로이터 1월 11일자)

[아프리카연합]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1.19 ~ 2. 10, Mali)

세네갈축구, 네이션스컵에 최정예 출전 2002 월드컵축구 본선 진출국인 세네갈이 엘 하지 디우프(El Hadj Ousseynou Diouf, 프랑스 랑스) 등 최정예 멤버를 앞세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The African Cup of Nations) 축구대회(1월 19일 ~ 2월10일. 말리)에 나선다. 세네갈은 디우프와 앙리 카마라, 살리프 디아우(이상 스당), 술레이만 카마라(모나코) 등 프랑스 프로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선수들을 주축으로 해 아프리카 축구최강을 가리는 2002네이션스컵 대회에 출전한다고 9일(한국시간) 밝혔다. 이날 발표된 22명의 명단에는 프랑스리그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이 18명 포함됐고, 스위스리그의 3명, 그리고 1명은 모로코리그에 소속돼 있어 전원 해외파로 구성됐다. 참고로..

[짐바브웨]영연방에서 축출될 수도...

영국은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정치폭력이 악화되고 있다며 짐바브웨를 영연방으로부터 축출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영국 외무 장관인 작 스트로(Jack Straw)가 지난 화요일 밝혔다. "만약 짐바브웨의 정치 폭력이 계속 악화되어 간다면 영국은 영연방 정부수반모임(CHOGM)으로부터 짐바브웨를 추방할 것을 검토중이다"라고 국회에서 밝혔다. 이번 영연방 정부수반모임은 3월 2일부터 5일까지 호주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번 영 외무장관의 발언은 지난달 런던에서 있었던 영연방장관행동그룹(CMAG)에서 밝힌 것 보다 더 강경한 내용이다. 영국은 올 3월 있을 짐바브웨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짐바브웨 대통령 무가베가 정적들과 백인 농장들을 공격하고 있다며 계속적인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 (Star, 1월 8일자)

[에티오피아]소말리아 침공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에 침투, 양국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영국 BBC 방송은 7일 중무장한 에티오피아군 3백여명이 이날 새벽 소말리아 북부 푼틀란드주의 주도 가로웨에 진입했으며 조만간 이곳을 자치지역으로 선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에티오티아 정부는 보도 직후 군 진입설을 전면 부인했다. 에티오피아군은 소말리아에서 반정부 군벌들의 연합체인 '소말리아 재건.화해 평의회'(SRRC) 전사들을 훈련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전사들과 함께 남부 항구 키스마요시를 공격할 것이란 설도 제기되고 있다. 소말리아는 10년 전 시드 바레 대통령이 축출된 이래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다 지난해 이슬람 계열의 아시드 하산 파라흐 총리가 이끄는 임시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인접국 에티..

[라이베리아]기름이 없어!!!

Crack-Down On Petrol Dealers 이번주 라이베리아에서는 유류제품 부족현상으로 인해 정부 각료 및 관련 기관으로 구성된 합동팀이 수도인 몬로비아 인근에 있는 임시 유류공급창고를 폐쇠하기로 결정하고 관련 조치를 시작했다. 이번에 구성된 특별팀은 라이베리아 국립 경찰(the Liberia National Police),라이베리아 유류정제사(the Liberia Petroleum Refining Company(LPRC),공공사업부 장관(the Ministry of Public Works),상공부 장관(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등으로 구성되었으며 60개 이상의 임시유류저장시설이 이번 조치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임시 유류저장시설 폐쇠 조..

[기고]아프리카 시장을 주목하라

요즘 신문을 보면 수출이 감소하고 수출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우울한 기사들이 많다. 수출이 감소하는 상황은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우리의 수출역량 부족 등 여러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쌓여 생긴 문제일 것이다. 정부와 업계를 중심으로 난국타개 방안을 강구하고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을 이루어 경쟁국을 제압할 수 있는 비교우위를 확보하는 일이다. 다음으로는 해외시장을 활발히 개척하여 대폭 넓히는 것이다. 좋은 제품을 생산한다 하더라도 한정된 시장을 가지고는 수출을 더 이상 늘릴 수 없는 까닭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무역은 특정국가에 편중되어 있다.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수출은 한계상황을 맞을 수밖에 없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새로운 시장인 아프리카를 개척하자고 제안..

1750년(AD 1750)

1750년(AD 1750) 18세기 전반은 아프리카에서 커다란 변화의 시기는 아니었다. 북부 알제리(Algeria), 튀니지(Tunisia), 트리폴리타니아(Tripolitania)는 마침내 오스만 터키(각각 1710년, 1705년, 1714년)로부터 그들의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대륙의 반대 끝인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일부 보어스(네덜란드 정착민)가 내륙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동은, 수많은 지방의 Hottentos 원주민들의 수를(부쉬맨과 반투족의 조상이 섞인) 급격히 감소시켰고, 새로운 지역 공동체인 Cape Coloureds(보어-Hottentot의 혈통)를 출현시켰다. 수단의 서쪽 끝에서는 팀부크투의 파샬릭(Pashalik)의 쇠퇴는 -지금은 Tuareg 지방에 의해 규칙적으로 공격당했..

1700년(AD 1700)

1700년(AD 1700) 18세기 초기에, 오스만 제국이 수 백년 전만큼의 힘이 없었던 것은 분명했다. 알제리(Algeria), 튀니지(Tunis), 그리고 트리폴리(Tripoli) 등의 아프리카 지역은 술탄의 대리인으로서보다 주권 국가와 같은 지위를 갖고, 독립된 지역으로 변하는 것이 허용되었었다: 이집트는 이스탄불에 공물을 바쳤지만 맘룩(Mamluk)의 귀족들은 다시 그들의 권력을 되찾았고 그들이 원하는 대로 국가를 운영하였다. Sublime Porte(터키 정부)는 그 능력이나 자신감, 혹은 그 둘 다를 잃은 듯 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서부 유럽은 힘을 발산하고 있었다. 아프리카는 대서양 노예 무역 확장의 원인이 되었다. 1700년대 초반 5만 명 이상의 노예들이 매년 대서양을 건너왔다.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