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8 12

[아프리카]유전자변형식품이라도 먹어야 살지

아사에 직면해도 유전자 식품 반입을 거부하고 있는 남부아프리카 국가들의 정부에 대해 유전자변형식품은 인체에 무해하며 식품 반입을 승인하여 굶주리고 있는 국민들에게 나누어 줘야한다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주장하였다. "유전자 변형식품은 인간이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며 안전하고 수백만명의 남부아프리카인들이 기아를 극복하는데 이 식품들을 이용해야 한다"고 세계보건기구 대표가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WHO 사무총장인 할렘 브런터랜드(Gro Harlem Brundtland)는 WHO는 아직 유전자변형 식품들이 인체의 건강에 해를 끼친다는 과학적인 입증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이들 식품들은 먹어도 되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WHO의 통계에 의하면 남부아프리카에서는 현재 약 1천3백만..

가난이라는 '시한폭탄'과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1970년 이래 세계의 가장 잘 사는 20개 국가들은 세계의 가장 가난한 20개국 보다 30배 이상 부유해졌다. 만약 인류가 가난이라는 '시한폭탄'을 피하려면 정부정책, 제도 그리고 법률들이 철저히 점거되어야만 한다라고 세계은행은 경고하였다. '세계개발보고서 2003'에서 세계은행은 발전을 유지하는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 세계지도자들과 국제개발당국들이 국제무역 관계들을 개선하기 위해 압력을 가해야 하며 그리고 정부들은 민주적 원칙들을 공고히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포괄적인 보고서는 8월 26일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시작되는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WSSD)'에 앞서 세계은행 고위 경제학자에 의해 배포되었다. 세계은행의 개발 정책 ..

정치/정치일반 2002.08.27

[짐바브웨]백인들 추방과 식량위기

짐바브웨 경찰들이 토지를 내놓고 그들의 땅을 떠나라는 무가베 대통령의 명령을 거부한 백인 277명을 체포하였다. 무가베 대통령은 백인들의 땅을 몰수하여 새로운 흑인 농장주들이 그들의 땅을 차지할 계획이라고 이미 밝혔었다. 경찰대변인인 웨인 붓지제나(Wayne Bvudzijena)는 8월 25일까지 몇 명의 백인들이 더 체포될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짐바브웨 정부는 2천9백명의 백인 농장주들에게 8월 8일까지 그들의 농장과 집에서 떠나라고 명령하였다. 그러나 약 60%의 백인 농장주들이 이 명령을 무시하였다. 이들 체포된 백인들 중 대다수는 지난 10여일 동안 감옥에서 석방되었다고 농장주 단체들은 밝혔다. 이번 주 미국은 무가베 대통령의 이와 같은 정책에 대해 토지를 강탈하는 것이라고 비난하였고 농장 몰..

[케냐]모이대통령 24년 집권 마감?

24년동안 케냐의 대통령으로 재직하고 있는 다니엘 아랍 모이(Daniel arap Moi)는 올해 말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금요일(23일) 밝혔다. 모이대통령은 케냐의 수도에서 올 12월 대통령 선거에는 케냐의 국민들이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할 것이다라고 설명하면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대통령 선거는 12월에 실시되는데 모이 대통령이 과연 현재의 그의 말에 대한 책임을 지킬 것인지 혹은 헌법을 개정하여 다시 통치권을 가지려고 하는지 현재까지 알 수 없다. 모이는 이번 선거는 필요하다면 현재의 헌법으로 치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케냐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대통령이었던 조모 케냐타의 아들을 다음 대통령으로 당선되길 바라고 있다. 그러나 현 집권당인 '케냐 아프리..

[남아공]억세게 운좋은 사람

남아공 케이프타운의 한 남자는 그의 재킷 안쪽 호주머니에 넣어둔 현금 뭉치가 강도가 쏜 총탄을 막아 그의 생명을 건졌다고 이스턴 케이프 경찰이 밝혔다. 이 남자는 올해 44세로 그의 임금 1만5천란드(한화 약 1백8십만원)을 은행에서 인출해 봉투속에 담아 안쪽 호주머니에 넣고 자신의 자동차로 가는 도중 강도의 총격을 받았으나 돈이 총탄을 막아 무사했다는 것이다. 범인은 세 명으로 그 중 한 명이 자동차 뒤에서 총을 쏘았다고 경찰은 덧붙였다. 그 남자는 총을 맞고 자동차에서 도망을 쳐 인근 빌딩 안으로 숨었고 잠시 후 그의 재킷에 구멍이 난 것을 알았고 총알은 돈 속에서 발견되었다. (Mail & Guardian 8월 19일)

유로화와 세파프랑(CFA)

□ 유로화와 세파프랑(CFA) 2차 세계대전이 거의 끝나가던 1944년의 유럽전역은 기근의 공포가 점점 커가는 가운데 사회 경제적인 황폐화가 극에 달했다. 그러나 UN의 후원과 미국의 거액의 경제지원에 힘입은 마샬계획을 통해 유럽은 황폐화된 경제를 빠른 속도로 재건할 수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말기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여전히 식민지배하에 있었고 대부분의 불어권 국가들은 식민국인 프랑스가 아프리카 자체 화폐의 통용을 정지시키려는 결정에 따라 프랑스의 프랑(Franc)을 통용화폐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2차대전 이후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은 프랑스는 1944년 6월 20일, 아프리카 국가들을 제외한 44개국이 창시한 새로운 브레튼 우즈 체제의 조인국으로서 미국 달러에 대해 프랑을 평가절하 하였다. 따라서 그 해..

미국과 남부아프리카와의 무역강화

미국은 남부아프리카 관세동맹(SACU) 국가들과의 자유무역협정 제의를 하면서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고 미국의 남아공 대사관인 카메룬 후메(Cameron Hum) 밝혔다. 그는 미국 무역대표부 로버트 젤릭(Robert Zoellick)이 지난 2월 남아공을 방문하는 동안 그와 같은 제의를 하였다고 말했다. 남부아프리카관세동맹은 1969년 남아프리카, 보츠와나, 레소토, 스와질란드 사이에 조인된 조약으로 출발하였다. 1915년 이후로 남아프리카의 지배를 받았던 나미비아는 독립 후 1990년에 공식적으로 회원이 되었다. 회원국간에는 상품이 자유롭게, 양적인 제약이나 관세의 부과 없이 이동된다. 외부로부터 들여오는 수입상품에는 일반관세를 적용한다. 관세로 거두어진 모든 세금은 남아공 중앙은행(South ..

굶어죽어도 유전자변형 옥수수는 싫어

식량부족으로 기아에 허덕이는 모잠비크는 유전자 변형(GM) 옥수수를 제공하려는 식량기부단체의 제의를 거절하였다고 수상 파스콜 모쿰비(Pascoal Mocumbi)가 지난 목요일 전했다. 그 성명서는 주로 미국에서 들어오고 있는 대규모 식량원조들이 유전자변형으로 조작된 옥수수들이며 이들 유전자변형 옥수수 기부를 거부한 국가들 중에 모잠비크가 세 번째이다. 모쿰비는 뉴스 회견에서 모잠비크는 사실 아무것도 모르고 일부 농부들이 유전자변형 옥수수들을 재배하였기 때문에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고 밝혔다. 어떤 유전자 변형 옥수수들은 이미 모잠비크에서 밀가루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것은 유전자변형 옥수수임을 알면서도 제분공장에서 밀가루로 만들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유전자 변형의 옥수..

프랑스의 새 아프리카 정책

그 동안 점진적으로 변화를 보여오던 프랑스의 대(對) 아프리카 정책이 1997년에 그 변화의 절정기를 맞이했다. 즉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나라들에 대한 온정주의, 자국의 뒷마당으로 여기는 아프리카 나라들에 대해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배제하려는 경향, 옛 식민지 국가에 대한 봉건군주 같은 자세나 특정지역 독재자들에 대한 지원 같은 해묵은 관행 등이 완전히 사라졌거나 사라져가고 있다. 예전과 달리 민주주의와 인권은 번영에 장애가 아니라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고 나섰고, 아프리카의 경제발전과 분쟁해결을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을 정당하게 평가했으며, 영어·포르투갈어권 나라들에도 프랑스의 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시야를 넓혔다. 1997년 8월 2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연례 프랑스 대사모임에서 자크 시..

정치/정치일반 2002.08.11

20세기 남아공 역사의 20대 정치 사건

20세기 남아공 역사의 20대 정치 사건 (Top Twenty Political Events in Twentieth Century South African History) 1. 남아공 민주화를 위한 협상(CODESA)/국민통합정부(GNU)/헌법제정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백인 인종차별 우월론자들로부터 다인종 참여 민주주의로의 이행이 20세기 남아공 역사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가장 큰 이변으로 간주되고 있다. 1993년에 제정된 새로운 헌법에서는 선거후 향후 5년간 득표에 따라(5% 이상 득표한 정당)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하기로 하였고 선거이후 아프리카민족회의(ANC), 국민당(NP) 그리고 인카타자유당(IFP)가 국민통합정부를 형성하였다. 2. 1948년 국민당 승리 1948년 남아공에서 국민당의 승리..

정치/정치일반 200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