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0 17

아프리카와 기아문제

아프리카에서 기근의 확산으로 현재 약 3천만명의 사람들이 위협을 받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구호 단체들의 능력을 훨씬 압도하고 있다고 세계 식량프로그램(WFP)은 10월 중순에 경고하였다. 세계 기아 날(World Hunger Day)을 맞이하여 두 유엔 단체들은 기근의 위험과 기근, 배고픔 그리고 영양부족의 근본적인 원인을 처리하는 아프리카의 능력이라는 불길한 징후 등을 제시하였다. "아프리카는 올해 한발과 다른 요소들에 의해 큰 시련을 겪고 있다"라고 세계 식량프로그램의 대변인인 크리스티안(Christiane)이 말했다. 그녀는 제네바에서 '올 아프리카'(Allafrica) 인터넷 운영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아프리카인들의 마음을 마비시키는 숫자들을 열거하였는데 현재 남부아프리..

[남아공]적과의 동침(?)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와 신국민당(NNP)가 지난 토요일(5일) 양당간 지방자치협력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보다 긴밀한 협력을 하기로 협정을 맺었다. 신국민당은 그 전신이 국민당으로 남아공의 인종차별정책법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정착시키고 시행한 정당이다. 이와는 달리 아프리카 민족회의는 국민당의 아파르트헤이트에 저항한 남아공의 가장 대표적인 흑인단체로 1994년 남아공 전인종선거에 의해 집권한 정당이다. 따라서 현재 이들 두 정당은 1994년이전까지 끊임없는 반목과 충돌을 가져왔었고 만델라 전 대통령은 아프리카 민족회의의 일원으로 활동하다 국민당 정부에 의해 28년간 감옥에 갇혀있었다는 것을 생각할 때 이 두 정당의 긴밀한 협력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두 정당은 올 해안에 공동 상호 포럼을 개최하고..

우유새

1. 우유새 어느 날 한 여성이 들에 나가 경작할 밭을 일구고 있었다. 그녀는 돌을 골라내고 잡초를 뽑아내는 등 씨를 뿌릴 준비가 될 때까지 매일 쟁기질하고 잡초를 제거하였다. 다음날 그녀는 밭에 돌아왔을 때 어제 뽑았던 잡초들이 모두 다시 살아나 밭에서 자라나고 있었고 그녀의 쟁기가 부서져 있었으며 땅이 전보다 더 굳어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녀는 다시 돌을 골라내고 잡초를 뽑았고 또 쟁기질을 하고는 집에 와서 그녀의 남편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었는지 이야기하였다. 그녀의 남편은 망을 가지고 밭이 있는 들에 나가 관목 뒤에 숨었다. 그가 오래 기다리지 않아 곧 노래를 부르는 긴 꼬리를 가지 노란 새가 나타났다 : 이 들은 나의 아버지의 땅이라네. 땅을 파고 쟁기질해서는 안된다네. 식물은 돌아가서 땅에 묻..

에이즈는 어디에서 왔을까?

에이즈는 어디에서 왔을까? "인류 공동의 敵 에이즈", "인류에게 내린 천형"...이제 에이즈라는 병은 TV를 통한 방송매체를 통해서만 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속에서 조심하고 경계해야할 질병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만약 가까운 시일내에 에이즈를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약이 나오지 않는다면 우리들은 결혼할 때 에이즈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증명서를 첨부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에게 섹스는 분명 아프리카인들처럼 신성한 것이었으며 종족보존의 중요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들어와 섹스는 쾌락의 도구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문명의 이기는 이를 위해 많은 혜택을 주었다. 임신의 걱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맘껏 섹스를 즐기기 위해 각종 피임약과 기구가 생겨났다. 또 섹스에 관련된 수많은 정보를 인터냇같..

'여자와 어린아이부터' -케이프 타운(Cape Town)과 희망봉 이야기-

'여자와 어린아이부터' -케이프 타운(Cape Town)과 희망봉 이야기- 희망봉(Cape Town)은 우리에게 어떻게 알려지게 되었을까?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의 땅 남아공화국이 백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488년 바돌로뮤 디아즈(Bartholomew Diaz) 휘하의 포르투갈 탐험대가 아프리카 대륙을 돌아 인도양으로 가는 항로를 발견하면서부터이다. 디아즈는 1488년 희망봉을 크게 돌아 알 수 없는 바람에 이끌려 현재의 모슬 베이(Mossel Bay)에 최초로 발을 디뎠으며 식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코이코이족과 조우하였다. 1488년 한여름에 그레이트 피쉬(Great Fish)강에 도달했으며 돌아오는 과정에서 최초로 케이프를 보았다. 디아즈는 이 지역을 Tormentoso(The..

아프리카의 구전역사/구전문화

아프리카의 구전역사/구전문화 -아프리카의 이야기, 노래, 속담을 중심으로- 아프리카학 또한 다른 학문(지역학)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의 본질' 또는 '아프리카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른 지역학분야와 마찬가지로 아니 다른 지역학분야보다도 더욱 학제간 연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아프리카 대륙만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더욱 그렇다. 기록 문자가 다른 대륙보다 적은 아프리카를 학문적으로 연구해 나가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실증적 연구방법론을 갖춘 연구분야가 중시되고 있는데 구전전통과 구비전승의 역사, 고고학, 문화인류학, 그리고 언어학이라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 역사의 재구성은 하나의 도전으로서 간주되어 왔다. 그러..

[아프리카] 인터넷, 휴대폰 급격한 증가

유엔이 부자 국가와 가난한 국가들 사이의 디지털 기기의 사용 조사에 의하면, 인터넷과 휴대전화 사용이 세계에서 가장 정보화 기술이 뒤떨어진 아프리카에서 조차 증가하고 있다고 9월 30일자 보고서에 밝혔다. 아프리카에서 인터넷 가입자는 지난 18개월 동안 20%가 증가하였으며 휴대폰 사용도 급상승하는 것으로 유엔의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러지 팀들이 밝혔다. 지난 5년 동안의 휴대폰 증가율이 지난 1세기 동안 증가하였던 유선 전화보다 더욱 늘어났다고 그 팀은 밝혔다. 비록 현재 아프리카의 인터넷 시설과 증가는 세계 평균보다 아래에 있지만 아프리카 도시 지역에서는 사이버 카페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장소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대륙은 아직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극도로 제한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