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 417

우자마(Ujamaa)

◎ 우자마(Ujamaa) 우자마라는 것은 스와힐리어로 영어로는 Familyhood, 우리말로는 '가족애' 혹은 '동포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우자마 개념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전통적 맑스주의의 '계급투쟁론'을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아프리카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은 혈연을 중심으로 한 평등주의와 상호부조의 원칙에 입각한 전통 부족사회의 기본 가족 단위에 있다는 것이다. 니에레레는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기반과 목적은 우자마 혹은 가족 공동체에 있다. 이는 대중의 착취를 근간으로 해서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자본주의 체제에 반대하며 인간사이에 회피할 수 없는 갈등의 철학을 골간으로 해서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교조적 사회주의에 역시 반대한다. 우리는..

아루샤 선언(Arusha Declaaaration)

◎ 아루샤 선언(Arusha Declaaaration) 이 선언은 탄자니아의 전 대통령인 니에레레에 의해 1967년 아루샤 마을에서 소농농장, '일당' 아래의 민주주의 그리고 자존이라는 사회주의에 기반을 두고 선언한 공식적인 문서를 말한다. 아루샤 선언이 주창한 사회주의 국가는 '모든 사람들이 노동자들이며 자본주의도 연방주의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탄자니아는 적절한 공급을 할 수 없는 돈의 사용과 산업화의 실패로 국가경제가 침체되고 있던 상태였다. 소농들과 소수의 노동자들이 생업을 가지고 사회주의를 건설하려 하였다. '일당' 민주주의는 단지 소농들과 노동자들이 '일당'에 대한 정치권리를 가짐으로써 '자본주의와 연방..

아프리카 사회주의(African Socialism)

◎ 아프리카 사회주의(African Socialism) 아프리카의 전통사회는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자본주의' 보다 '사회주의'가 그들의 특성과 비슷하다고 믿고 있다. 이 특성들 중에는 토지의 공동소유, 확대가족. 그리고 친족의 공동 노동 개념이 있다. 그같은 개념의 동반은 공유의 관습에 있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사회들은 음식이 있으면 굶주린 사람에게 나눠 주어야 한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의 가치관들은 경쟁보다는 협력을 강조하며 개인 보다는 집단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 개념들은 오늘날 자본주의 보다는 사회주의와 일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프리카 사회주의는 팔스주의나 소현식의 사회줄의가 아니다. 아프리카 사회주의자들은(예를들면, 세네갈의 레오폴드 셍고르 같은)..

아프리카인의 개성(African Personality)

◎ 아프리카인의 개성(African Personality) 다른 민족들과는 구별되는 아프리카인의 특유한 개성을 말한다. 아프리카인들 중에는 이성론자, 공동체주의적, 감상주의적, 직관적인 개성유형을 양상하는 동질적인 문화를 가진 아프리카인들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인들은 이와같은 개성의 일부분만 끄집어 내어 아프리카인들은 게으르고, 미성숙하고, 어린애 같고, 그리고 과격한 성격을 지녔다고 묘사하고 있다. 영어권 아프리카에서 그같은 개념을 교화시키는 것을 막으려고 애쓴 가나의 은쿠르마는 아프리카인의 철학 혹은 관련된 기질을 언급함으로써 인종주의적 요소로 편견을 갖고 있는 식민주의적 사고를 제거하려 하였다. 그는 불어권 지역에서 나타난 네그리뛰드(Negritude)의 개념에 대처되는 '아..

중앙아프리카 연방(Central African Federation)

◎ 중앙아프리카 연방(Central African Federation) 1953년 영국의 세 식민지인 북로데지아(현 잠비아), 남로데지아(현 짐바브웨) 그리고 니아샬랜드(현 말라위)의 불행한 연방통합을 말한다. 새로운 정부로의 정돈에도 불구하고 그 연방은 영국통치하에 계속 존속되었으며 흑백인종의 '동반자 관계'를 양산하기 위해 존재하였다 그 시기 약 30만명의 백인(주로 남로데지아)와 9백만명의 흑인이 있었다. 백인 정착민들은 남로데지아의 자치정부 식민지를 경영하였으며 영국인 행정관은 나머지 두 나라를 통치하였다. 대부분의 아프리카인들은 자신들의 정부운영에 참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방을 반대하였다. 또한 몇몇 흑인들은 남로데지아 백인들이 새 식민지 모두를 통치하는 것으로 ..

아프리카 독립교회(African Independent Church)

◎ 아프리카 독립교회(African Independent Church) 이 교회는 인종주의와 식민주의 그리고 아프리카 관습의 포기를 반대하는 교회를 형성하거나 흑은 기존의 교회로부터 분리하여 세워진 아프리카에 있는 교회 목사들과 이들의 회합을 말한다. 1884년에 템부(Tembu) 교의 기원인 남아프리카 웨슬레이안(Wesleyan) 감리교인인 틸레(Nehemiah Tile)는 기존 교회로부터 탈퇴하여 템부 민족교회를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모든 인종의 사람들에게 개방되었다. 1890년대에는 일부 목사들이 웨슬레이안 감리교에서 탈퇴하여 '아프리카인을 위한 아프리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에티오피아교회를 창설하였다. 에티오피아교회의 대부분 집회는 미국에 있는 흑인교회 개척자들과 아프리카 감리교 ..

추장의 아이들

3명의 아들을 둔 족장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총명하고 강인한 젊은이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아버지는 종종 뛰어난 총명함을 지닌 아이들을 데리고 있는 것을 놀라곤 했다. 어느 날 마을 회의실에서 추장의 원로들이 모였다. 추장은 원로들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넉넉한 하얀색 옷을 잡아 끌며 그들을 앉히고 아침회의를 시작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세 아들 중 누가 제일 똑똑한지 결정할 것을 원로들에게 물어보았다. “이 바오밥 나무로 오게 하시오” 한 원로가 말했다. “내 세 아들을 즉시 이곳으로 데려오라” 족장이 말했다. 그 원로는 일어나서 밝은 햇살이 비치는 밖으로 나갔다. 족장과 나머지 원로들은 바오밥 나무가 있는 곳으로 그들의 발길을 옮겼다. 얼마 후 세 젊은이가 말을 끌고 나타났다. “내 아들들아..

우나나(Unanana)와 코끼리

아주 옛날 두 명의 어여쁜 아이들을 가진 우나나나(Unanana)라고 불리는 여인이 있었다. 그들은 길가의 오두막에 살았고 사람들은 지나가다 그 아이들을 보고 자주 멈추어 아이들의 팔과 다리의 통통함과 피부의 부드러움 그리고 아이들의 빛나는 눈빛을 보고 감탄을 했다. 어느 이른 아침에 우나나나는 장작을 모으러 수풀로 갔고, 그녀의 두 아이들은 그들과 함께 사는 어린 사촌과 함께 놀며 집에 남았다. 아이들은 누가 가장 멀리 뛸 수 있는지 놀이를 하면서 즐거워했고, 놀다 지치면 오두막 가장자리의 먼지 많은 땅에 앉아 자갈을 가지고 게임을 했다. 갑자기 그들은 풀 가까이에서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그들은 바위 위에 앉은 이상한 형상을 지닌 비비를 보았다. "이 아이들은 누구의 아이들이냐?" 비비는 어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