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3 17

이라크 사태와 아프리카의 딜레마

이라크 사태와 아프리카의 딜레마 아프리카 국가들이 미국의 이라크에 대한 군사적 도발은 잘못을 저질르는 일이 될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디오피아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서 열린 아프리카연합(AU) 정상회담에서 아프리카 각 국가들의 수뇌들은 이라크에 대한 제재는 유엔안보리의 시스템 하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분명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프리카 대륙 전체적인 분위기는 아프리카연합 정상회담 결의 내용을 수용하고 있지만 개별적인 국가들의 입장은 다르기도 한다. 일부 국가들은 미국의 일방주의적 경향을 우려하고 있는 반면 일부 국가들은 이라크가 먼저 완전무장을 선행해야 한다는데 동의하기도 한다. 세네갈의 외무부 장관인 식크 티디안 가디오(Cheikh Tidiane Gadio)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딜레마..

아프리카 범죄문제 2 - 살인과 갱범죄

살인 대다수 살인의 경우 가해자가 상태편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벌어지고 있다. 남아공에서는 친인척 간에도 종종 살인 사건이 발생화고 있다. 전문가들은 총과 같은 살인에 사용되는 무기에 대한 쉬운 접근이 피를 흘리는 분쟁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남아공의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이 범죄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아프리카 국민회의(ANC)를 지지하는 호사족과 인카타 자유당(IFP)를 지지하는 줄루족 사이의 정치적 분쟁이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는 과거 백인정권하에서 벌어지던 흑백간의 살인사건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1994년 다인종 선거이후 흑인들간의 분쟁으로 인해 살인사건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남아공에서 인구 10만명당 살인사건이 가장 비번하게 발생하는 주는 웨스턴 케이프 ..

남아공의 범죄문제-1

오늘날 범죄는 남아공의 주요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모든 유형의 범죄들이 일상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범죄행위도 더욱 과격화되고 있다. 남아공은 범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의 한 나라로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다. 20대 흉악 범죄가 연평균 인구 10만명 당 20건 발생하고 있다. 또한 20개 의 가장 심각한 범죄가 남아공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체 범죄의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범죄가 흉폭해지고 있다. 남아공이 기록하고 있는 범죄율은 인구 10만명당 5651건에 달하고 있는데 국제사회 평균은 10만명당 2662명에 그치고 있는 점을 보면 남아공의 범죄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모든 범죄들이 모두 보고되지 않은 점을 감안한다면 남아공의 범죄율은 실제 보다 50%가 높다고 봐야할 것이..

[이집트]동성애는 유죄

이슬람 국가인 이집트에서 동성자들간의 성행위로 인해 13명의 남자들이 경찰에 처포되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13명의 이집트 남자들이 동성애 죄목으로 카이로에서 체포되었으며 검찰에 넘겨졌다고 보안관리가 지난 화요일 밝혔다. 13명의 피의자들은 임대한 아파트에서 동성간의 성행위를 하다 체포되었다고 익명의 관리가 전했다. 그 용의자들은 조사기간 동안 감옥에 갇혀있게 된다. 담당 검사는 그들을 방탕한 생활과 동성간의 성행위에 대한 죄목으로 기소할 것인지 혹은 구류를 연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Wafd 신문에 의하면 체포된 남자들에는 대학생들과 호텔 종업원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전했다. 그 신문은 용의자들이 그들의 동성애 행위에 대해 부정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비록 이집트 법률적 규정..

남부아프리카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

남아공을 포함한 남부아프리카개발 공동체(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 SADC)에 대한 외국인의 직접투자가 예상했던 것 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남아공의 비즈니스 맵 재단(BusinessMap Foundation)이 밝혔다. 그 재단의 국장인 렉 럼니(Reg Rumney)는 남아공의 경우 남부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직접투자가 이루어진 국가라고 말했다. 남아공의 경우 과거 2년 동안 남부아프리카에 유입된 전체 외국인 투자액 77억2천만 달러 중 30억달러가 유입되었다. 럼니는 남아공과 남부아프리카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그 재단의 보고서 배포에서 그 내용을 설명했다.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고무적인 상황인 반면, 그 보고서는 그 지역 ..

수력발전과 아프리카에너지 위기 극복

수력발전과 아프리카에너지 위기 극복 남아공의 전력회사인 에스콤(Escom)이 콩고민주공화국의 개발되지 않은 잠재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한 계획에 착수하였다. 에스콤의 한 관계자는 콩고강의 인가 그란드(Inga Grand) 지역이 아프리카 전 지역 중에서 충분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가장 최적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에스콤은 아프리카대륙에서 주요 전력 시스템 개발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에스콤의 콩고강 수력자원을 전력화하기 위한 장기 비전은 '서부전력 회랑'(Westcor) 회사에 전력공급을 위한 제휴관계를 모색 중에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아직 미개발된 잠재적인 전력 생산요소들이 아주 많이 있다. 그리고 콩고강의 인가 그란드 지역은 만약 생산 시설이 갖추어진다면 약 3..

아프리카 발전과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뉴 파트너십'

아프리카 발전과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뉴 파트너십'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뉴 파트너십'(NEPAD)은 2001년 7월 9-11일 잠비아의 루사카에서 개최된 제37차 OAU 정상회의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주도의 MAP(Merger of the Millennium Partnership for the African Recovery Program)와 세네갈 주도의 Omega Plan을 합친 NAI(New African Initiative)를 승인하였다. 이 계획은 AU출범과 더불어 시행코자 하는 아프리카 지도자들의 야심 찬 청사진이다. NAI는 다시 2001년 10월 23일 나이지리아의 수도 아부자에서 개최된 AU 정상 평의회 발족 준비회의에서 그 명칭을 NEPAD(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