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9/27 15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결혼 상대자의 선택

5. 결혼상대자의 선택 아프리카에서도 누구와 결혼을 할 것인가는 육체적인 매력, 개성, 그리고 그 집안의 사회적 지위 같은 소위 말하는 남자들의 관심을 표출시키는 규칙과 규범들이 있다. 결혼 상대자의 선택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어떤 사회에서는 부모들이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아이들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결정하는 수도 있다(수단지역에서 찿아 볼 수 있으며 &#039;결혼 예약, 신청&#039;의 형식). 또 하나는 널리 퍼져 있는 관습으로 젊은이의 부모나 친척들이 특정한 처녀의 부모들에게 가까이 가서 혼담을 진행시키는 방법이다(일종의 중매결혼). 이같은 혼담은 사춘기와 일치해서 행해지는 통과의례 기간을 전후해서 이루어진다. 강압에 의해서 하는 경우도 있으나 배우자의 동의를 얻어서 결혼..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혼인자금/신부값, 혼인노동

4. 혼인자금/신부값(bride-price, bride-wealth ; lobola, lobolo), 혼인노동(bride service) 흔히 결혼에는 재화와 노력봉사(신부값으로, 신부값 대신으로 또는 신부값을 줄이기 위해) 등의 물질적인 보상이 뒤따르고 이것이 새로 이루어지는 결연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뒷받침이 된다. 즉 일종의 "결혼계약서"이며 "서약서"라고 할 수 있다. 돈이나 재화의 형식으로 신부값을 지불함으로서 신랑은 신부와 결혼할 권리 및 신부가 낳은 아이에 대한 권리를 허락 받게 된다. 신부값은 첫째로 결혼으로 인한 한 사람의 일손을 잃게 되는 신부집에 대한 물질적인 보상이다. 둘째로 이 신부값은 장차 며느리를 볼 때 지불해야 하는 신부값으로 충당되기도 한다. 셋째, 이렇게 신부값을 받음으..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아프리카 결혼제도의 또 다른 형태

3. 아프리카 결혼제도의 또 다른 형태 결혼은 미국 사회를 포함하여 많은 사회에서 최근에 극적인 변화를 겪은 개념이다. 캐슬린 고우(Kathleen Gough, 1968)는 결혼이란 한 여성과 한 명 이상의 타인과 형성된 관계라고 했다. 왜냐하면 이 관계를 통해 여성은 어떤 승인된 환경 아래에서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할 수 있고, 여성이 출산한 아이도 완전한 출생권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아프리카에서는 이 점에 대해 아주 굉장한 예를 제시하기도 하는 반면 그 반대의 예를 제시하기도 한다. 많은 서구인들은 결혼이란 같은 나라의 이성(異性) 파트너와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뉘르족의 유령 결혼(ghost marriage)이나 난디(Nandi)족의 여성 결혼(female -female marriage..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결혼(marriage)

2. 결혼(marriage) 결혼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남녀 두 사람이 사회적으로 인정된 성적 및 경제적인 결합"이다. 다시 세밀하게 정의하면 첫째, 혼인은 한 남자와 한 여자의 결합이며, 둘째, 이 결합에서 태어난 자녀에게 합법성이 부여되고, 셋째, 부부는 성적으로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결합되며(남녀간의 성적인 분업으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두 사람은 경제적인 협동이라는 이점을 가지게 됨;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출산을 제외하고 불가피한 것은 없음), 마지막으로 이런 결합은 사회적으로 인정된 것이어야 한다. 아프리카 사회에서 널리 분포해 있는 가족은 두 가지 기능이 있는데, 첫째, 젊은이들의 사회화와 발전에 대해 주책임이 있는 사회 단위이고, 둘째, 사회내 근본적인 경제단위이며 생산을 용이하게..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성(性;sex)의 역할

우리가 가장 유념해야 할 사항은 &#039;현대화(modernization)&#039;라는 것이 &#039;서구화(westernization)&#039;는 아니라는 것이다. 서구인들은 아프리카 사회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사회제도를 무시하고 중앙집권적인 통치구조를 만드는 데만 열중하였다. 현재 아프리카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제도는 &#039;전통적(traditional)&#039;인 것일 뿐 아니라 &#039;현대적(modern)&#039; 아프리카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우리가 관심 있게 살펴보아야 할 것은 아프리카가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식민주의 유산과 탈식민 이후에 이루어지고 있는 외부세계의 경제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039;아프리카인(African)&#039;으로서의 정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