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정치일반 34

[콩고민주공화국]정부 반군관 협상 결렬

콩고 민주공화국(구자이레)의 분쟁 종결을 위해 남아공의 선시티(Sun City)에서 진행되고 있던 콩고민주공화국 정파들의 대화가 4월 19일, 정부와 반정부 세력이 평화에 합의하지 못하고 결렬되었다. 주요 결렬 이유는 임시 정부하의 대통령 선거에 대해 의견이 대립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주변 6개국이 콩고민주공화국 내전에 파병하여 「아프리카 세계대전」이라고 불리는 이번 내전은 국제분쟁의 복잡성을 띠고 있어 협상이 타결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이며 정부군과 반국간의 전투가 한층 더 격화될 가능성도 있다. 2월말부터 계속된 정부군과 반군과의 대화는 임시 정부에서도 카빌라 대통령이 유임하고 반면 우간다의 지원을 받은 반정부 세력의 콩고 해방운동(MLC)의 벰바(Jean-Pierre ..

정치/정치일반 2002.04.22

미국의 테러 확전국가 소말리아 지목

소말리아의 단지 일부를 장악하고 있는 소말리아 신생 정부의 수반은 12월 11일 화요일 소말리아에는 테러리스트가 존재하지 않고 있으며 외부 세계는 소말리아를 공격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시정부 수상인 하산 파라(Hassan Abshir Farah)는 미 군사 요원들이 소말리아의 배도아(Baidoa)를 방문하였다는 보고와 미국이 테러와의 전쟁을 벌이기 위한 두 번째 국가로 소말리아를 택했다는 보도이후 국회에서 이같이 연설했다. “소말리아에는 테러리스트들을 위한 캠퍼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신한다. 소말리아에 대한 공격은 정당하지 않다”라고 파라는 국회에서 말했다. 소말리아의 경우 미국이 직접적인 군사작전을 수행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미 전투기가 소말리아를 정찰비행한 데 이어 미군 장교..

정치/정치일반 2001.12.17

아프리카 정치형태와 군부 쿠테타와의 상관관계

군사정권이란 서구 사회정치 체계나 공산정치 체계가 아닌 '재3세계' '개발도상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웅어 또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군사정권을 군부와 민간인의 제휴, 또는 결합체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며 이런 의미에서 군부가 민간인, 관료, 기업가, 또는 경영인, 정치인 및 기술관료와 결탁관계를 하여 세워진 정권을 말한다. 이러한 성격을 지닌 현대 군사정권은 대개가 권위주의적이고 전제적이며 다만 정도가 정권에 따라 다를 뿐이다. 권위주의적 현상은 민간정부의 경우에도 나타나지만 군부가 집권할 때 더욱 두더러지게 나타난다. 이런 의미에서 신생국 정치는 권위주의적 정권에 의한 권위주의화의 정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아프리카 다수의 국가들이 60-70..

정치/정치일반 2001.11.19

아프리카 연합(AU) 출범

지역 통합의 바람이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거세게 일고 있다. 종족 분쟁으로 나라간 반목이 심했던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역통합 운동은 세계화의 조류에서 소외된 아프리카 국가들이 힘을 모으지 않으면 세계 무대에서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나의 아프리카' 운동〓53개국으로 구성된 아프리카연합(AU) 이 오랜 논의 끝에 26일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창설됐다. 유럽연합(EU) 을 본뜬 AU는 기존의 아프리카통일기구(OAU) 를 발전적으로 대체한 기구다. 1963년 OAU는 역내 무역 자유화 등 아프리카 대륙 공통의 이익을 추구해 왔지만 각 회원국의 내정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때문에 지역 분쟁이나 종족 학살 등 정치적 문제의 해결에는 무력..

정치/정치일반 2001.10.29

아프리카의 민주화 운동

아프리카의 민주화 운동 1960년대초 아프리카 국가의 권위주의 정 치의 특징은 독자적, 집단적 성향을 가졌으며, 이러한 경망의 정권들에 대한 도전의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대다수가 도피하거나 해외에서 반대 단체를 형성했지만, 이보다 큰 영향력을 미친 것은 원조국의 정책변화였다. 그리고 민주주의 성향(pro-democracy)과 대륙내 인권단체의 성장이었다. 법률가. 학생, 광부, 농촌 여성 조직, 도시 노동자와 비고용자, 언론인들, 성직자와 다른 여러 사회단체들은 폭력적이고 비생산적인 권위주의 정권의 결과로 민주주의 방향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케냐에서 급진장로교성직자는 다당제 선거를 요구했고, 가두시위를 일으켰다. 봉고(Omar Bongo) 가봉 대통형 반대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상점약탈과 리브레..

정치/정치일반 2001.10.29

아프리카 정치 - 아프리카에는 미래가 있는가?

아프리카의 현대사는 전쟁과 쿠테타, 인권 유린 등 피로 얼룩진 역사를 이어왔다. 이런 아프리카에 희망이 있는 것일까? 분명한 것은 아프리카인들은 지난 과거에서 역사적 교훈을 찾고 있다는 것이다. 아프리카인들이 겪어 온 현대사(특히 60년을 정점으로 한 탈 식민 지배 이후)를 돌아 보건대 유럽식/서구식 민주주의 체제 혹은 동유럽식 사회주의체제는 아프리카 토양에 맡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프리카 각국에서 실천해 온 유럽식 민주주의, 다당제, 사회주의식 일당체제 등이 거의 예외없이 실패를 했다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다시 말해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정치적 경제적 갈등과 가난, 민주화에 대한 끝없는 진통 등은 탈 식민 국가들이 유지하고 있는 정치 체제가 더 이상 존속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역설적으..

정치/정치일반 2001.10.22

아프리카 정치이데올로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 노선 실험 ... 탄자니아의 아프리카식 사회주의. 영국과 독일은 1841년 이후 탕가니카와 잔지바르(탄자니아의 전신인 두 지역)에 급속한 세력 확장을 시도했다. 17세기 이후 잔지바르를 중심으로 세력을 잡고 있던 오만(Oman)은 그 영향력을 잃고 영국과 독일의 세력 다툼은 치열해져 갔다. 제 1차 세계 대전이후 독일은 패전국으로 전락한 반면 영국은 승전국으로 탕가니카와 잔지바르에 영향력을 독점했다. 탄자니아 흑인들의 정치 세력화는 1929년 탕가니카 아프리카회(Tanganyika African Association)으로 시작해서 1954년에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ganyika African National Union)으로 발전했다. 이때부터 탄자니아의 국부(國父)로 음왈리무(Mwa..

정치/정치일반 2001.10.22

전통적인 정치 체제에서 근대 국가로의 전이

아프리카에서의 근대적인 국가 형태는 식민지배를 거치면서 형성되었다. ■ 아프리카의 현대 정치 체제 1) 60-80년대 중반까지의 일당 독재/사회주의 국가 체제 ... 이디 아민(1971-79) 이 시기의 아프리카 정치형태는 권위주의적 정치체제(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으로 요약할 수 있다. 1982년을 기준으로 49개국 중 7개국을 제외하고는 권위주의적 정치체제를 취하고 있는데 군사정권과 일당 정치체제가 주요 통치 형태이다. ■ 아프리카의 군사정권 아프리카의 각 국이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난 이후 아프리카의 정치체제는 일당독재 또는 군사정권으로 대표되었다. 사실 일당독재나 군사정권의 정치형태는 아프리카 뿐 만 아니라 식민 지배를 갓 벗어난 대다수의 제 3세계에서 공통으로 발견되..

정치/정치일반 2001.10.22

아프리카 정치 제도의 발달사

남부 아프리카의 흑인 사회에 추장제도가 도입된 것은 기원 후 약 800년 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실 학계에서는 남부 아프리카의 흑인 사회에 처음 추장제도가 도입된 경위를 정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다만 추론하기를 1) 씨족 모델(the Clan model) ... 남부 아프리카 흑인 사회에 추장 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 이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던 정치 형태는 일정한 영토와 혈연을 중심으로 뭉친 씨족 집단(decent group)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인구가 증가하고 집단 간의 충돌이 일어나면서 서로 우위를 점하려는 갈등이 일어나고 그 과정에서 우세한 집단이 열세한 집단을 지배하는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추장제도가 대두되게 된 한 가지 설이다. 2) 거인 모델(the Bi..

정치/정치일반 200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