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481

30. 로마와 아프리카

제 3 차 카르타고 전쟁(Third Punic War)에서 일어난 자마(Zama)의 전쟁이후 카르타고를 정복한 로마는 북아프리카의 지배권을 확립하게 되었고 해외까지 제국을 확대하게 된다. 이 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권을 얻기 위해 기원전 146년 로마는 카르타고를 완전히 무너뜨리고 튀니지와 이집트 로마 주로 편입시키는 한편 누미디아(Numidia)를 정복한다. 지난 세기 동안 로마는 이집트에 관심을 가지고 일련의 조약을 체결함으로서 완전히 통합되었다. 이집트는 로마제국에게 농산물, 특히 곡물과 파피루스 생산품 그리고 중동, 아시아, 그리고 인도양 무역로의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제공한다. 트리폴리타니아(Tripolitania)와 키레나이카(Cyrenaica)에서 온 베르베르(Berber) 유목민들은 종종..

29. 동부 아프리카의 주요 종족

1. 동부 아프리카의 주요 종족 팔라샤(Falasha)족 : 팔라샤인들은 비록 많은 수가 최근 이스라엘로 이주했지만 북부 에티오피아의 고지에 살고 있다. 대부분의 팔라샤인들은 에티오피아에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티그리냐(Tigrinya)어나 암하라(Amharic)어를 말하며 더 최근엔 히브리(Hebrew)어를 말한다. 팔라샤인들은 유대인이지만 최근 수백 년 동안만 세계 유대사회에 접촉을 했을 뿐이다. 암하라(Amhara)족 : 암하라인들은 대부분 북부 에티오피아의 고지에 산다. 비록 암하라인들은 에티오피아 인구의 3분의 1정도 밖에 안 되지만, 그들은 에디오피아 역사에서 과거와 현재에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배민족으로 역할을 해왔다. 암하라어는 암하라족의 언어이다. 암하라인의 대부분은 ..

28. 동부 아프리카의 역사

1. 동부 아프리카의 역사 19세기에 무역을 장려하라는 목적으로 선물로 주어진 니암웨지(Nyamwezi) 조각은 니암웨지인들이 동부와 중부 아프리카 무역의 선구자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대 에티오피아어인 게즈(Geez)어는 과거에 기도서(성경)로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896년 아도와 전투(Battle of Adowa)에서 에디오피아가 이탈리아를 패배시킴으로서 에디오피아는 아프리카에서 독립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최근에 일어난 르완다와 부룬디의 후투(Hutu)와 투치(Tutsi) 사이의 인종 갈등은 동부아프리카의 최대 문제였다. 많은 왕국들이 빅토리아 호수(Lake Victoria)와 알버트 호수(Lake Albert) 사이에서 번성하였다. 이중 가장 중요한 왕국 중 하나..

27. 동부 아프리카의 아시아인

1. 동부 아프리카의 아시아인 동아프리카의 소수민족으로서 아시아인의 규모는 작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케냐의 나이로비(Nairobi)와 몸바사(Mombasa)는 가장 큰 동 아프리카 아시아인 사회를 가지고 있지만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과 잔지바르(Zanzibar)도 중요한 지역이며 또한 많은 사람들이 20여년 만에 우간다로 다시 모이고 있다. 아시아인들은 수백 년 동안 동아프리카에서 살아왔다. 이 지역은 무역업자들을 매료시켰고 다우(Dhow ; 짐을 옮기는 배)선은 상아, 금, 노예, 향신료를 인도산 직물, 철제품과 교환하기 위해 인도, 아라비안 반도, 그리고 동아프리카를 왕래했다. 그러나 오늘날 아시아인 공동체의 대부분은 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몸바..

26. 동부 아프리카

1. 동부 아프리카 탄자니아(Tanzania)와 케냐(Kenya), 그리고 에티오피아(Ethiopia)를 포함한 그레이트 아프리카 리프트 밸리(the Great African Rift Valley)는 고대 인류의 화석이 풍부하게 발견되는 지역으로 인류학자들이 동아프리카가 인류의 기원지라고 주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역사시대에 고대 이집트(Ancient Egypt)는 가장 강력한 국가였으며 그 당시 가장 가치 있는 상품이었던 유향(乳香)(frankincense : 동아프리카․아라비아산 감람의 일종. 이스라엘 민족이 제례에 쓰던 고급 향료)과 몰약(沒藥 ; myrrh ; 미르라)을 생산하였다. 현재의 소말리아(Somalia)지역은 “푼트의 나라(Land of Punt)”로 알려진 지역이었다. 케냐와 탄자니아의..

25. 독일의 아프리카 지배

1. 독일의 아프리카 지배 1895년에 아프리카에 영향을 주었던 독일의 식민지배는 4군데의 주요 지역에 집중되었다: 토고랜드(Togoland), 카메룬, 독일령 동 아프리카(German East Africa), 그리고 독일령 남서 아프리카(German South West Africa). 1.1.1. 1. 독일령 카메룬(German Cameroons) 노예무역을 근절시키고자 노력했던 영국 선교사들은 19세기 초반에 현재의 서부 카메룬에서 활동했다. 그리고 1858년에 영국인들은 유럽인들의 최초의 영구적인 정착지인 빅토리아(Victoria)를 이 지역에 건설했다. “아프리카에 대한 분할(scramble for Africa)”시기에 영국이 아닌 독일이 이 지방에 대한 통치권을 갖게 되었다. 독일은 1884년 ..

24. 독립을 위한 투쟁

1830년대 초에 알제리는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프랑스 식민당국은 대부분의 비옥한 토지를 점령하고 원래의 주인들을 쫒아냈다. 알제리 사람들은 억압받고, 시민권을 유린당했다. 1945년 이후 아메드 벤 벨라(Ahmed Ben bella)를 비롯한 젊은 민족주의자들은 은 민족자유전선(Front de Libération Nationale ; National Liberation Front ; NLF)을 결성하고 자유를 위한 무장투쟁에 돌입한다. 적은 수의 인원과 형편없는 무기들이었지만, 그들은 프랑스 군대에 맞서 격렬하게 저항을 했다. 군사적 행동과 더불어 정치적으로는 정치적 단체를 조직하고 시위를 통하여 독립에 대한 의지를 고취시켰다. 프랑스는 이러한 반대세력을 없애기 위해 폭력적 방법으로 탄압하였고 약 ..

23. 대이주(Great Trek, 1836-1846)

케이프 식민지(Cape Colony)에서 흑인들에게 호의를 베푸는 정책의 시행과 함께 이루어진 영국화 정책은 보어인들이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북쪽으로의 이주를 촉진시켰다. 영국 통치자들의 정책은 흑인들 혹은 “햄의 후손들”의 노예화를 합법화 시켰던 캘빈교도의 기독교적 가치관과 갈등상태에 놓이게 했다. 1809년의 호텐토트 법(Hottentot Code)은 코이산족과 다른 흑인들에게 고용과 거주의 증거로써 통행증을 가지고 다니도록 강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노예무역의 종말은 선교사들의 영향력이 강화됨으로서 50번 조례(Ordinance Fifty)의 신설과 호텐토트 법의 폐지로 나타났다. 북쪽으로 이루어진 대이주(Great Trek)는 보어인 공동체가 현재 아프리칸스(Afrikaans)로 알려진 네덜란드어..

22. 다호메이(Dahomey)

1. 다호메이(Dahomey) 다호메이는 서아프리카의 왕국으로 같은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1625년 폰(Fon)족은 지금의 베닌 중부 지역에 있는 아보메이(Abomey)라는 곳에 왕국을 설립했다. 이 국가를 폰 다호메이(Fon Dahomey)라고도 부른다. 아가자(Agaja) 왕의 통치시기(1708-1732)에 번영을 누렸다. 잠시 동안 다호메이 왕국은 요루바(Yoruba)족의 오요(Oyo)왕국에 지배를 받았지만 1850년 중반에 독립하였다. 다호메이는 야자 기름과 노예무역으로 이익을 얻었지만 프랑스는 1889년에 다호메이의 연안지역을 빼앗았다. 1982년에 왕의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다호메이는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다. 1.1.1. 1. 폰(Fon)족 다호메이(Dahomey) 왕국의 폰(..

21. 다르푸르(Darfur)

1. 다르푸르(Darfur) 다르푸르(Darfur)는 수단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과거에는 술탄이 지배하는 독립된 국가였다. 최초의 다르푸르 통치자 다주(Daju) 또는 다가(Daga)는 기원전 4,000년 전에 고대 이집트가 태동할 무렵에 통치를 시작했다. 툰주르(Tunjur) 또는 툰구루(Tungur)의 뒤를 이어 다자(Daja)가 통치권을 물려받았다. 서기 900~1200년에 기독교가 전해지지만 서쪽에서 이슬람교를 믿던 카넴-보르누 제국이 동쪽으로 진출함에 따라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13세기에 다르푸르는 카넴-보르누 제국의 한 주가 되었다. 1640년경부터 1916년까지는 케이라(Keira)족이 다르푸르를 지배하였고 다르푸르는 이슬람을 전적으로 받다들였고 또 독립을 회복하게 되었다.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