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29 42

남아공의 타보 음베키

타보 음베키는 가 은퇴하면 후계자가 될 인물이다. 만델라는 지난해 12월부터 국정의 대부분을 그에게 넘겼다. 음베키는 42년 6월18일 남아공의 흑인 거주 지역인 트랜스케이에서 태어났다. 양친은 모두 교사이자 흑인 인권운동가였다. 특히 그의 아버지 고반 음베키는 아프리카민족회의에서 두드러지는 활동가였다. 20세부터 망명 생활…외교 활동 두각 이런 양친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음베키는 열네 살 때 민족회의의 청소년 조직에 가입했다. 열일곱 살 때 그는 남아공 수도 요하네스버그에 있는 학교로 옮겼다. 거기서 음베키는 ‘아프리카 학생회의’ 간부로 뽑혀 활동했다. 음베키는 고등학교 과정을 마친 뒤 런던 대학의 통신 교육 과정에 들어가 경제학을 공부했다. 60년대 초반부터 음베키는 민족회의의 지하 활동을 시작했고, ..

정치/인물연구 2001.10.29

남아공의 만델라 3

1994년 4월 27일 이후 넬슨 만델라 정부의 업적 남아공 민주주의는 협상과 합의의 정치, 국가 건설, 화합, 신애국주의 정책이 뒷받침하고 있다. 국민통합정부의 정치제도는 남아공에서의 정치적 포용 및 다당주의 민주 문화를 강화시켜 왔다. 남아공은 권리 장전을 포함하고 있는 세계적 수준의 민주 헌법을 제정하였다. 경제부흥개발프로그램(RDP)은 모든 정당이 지지하고 있으며 그 목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에 의해 야기된 사회 경제적 불균형을 바로 잡기 위한 것이다. RDP 사업의 초점은 주택, 고용 창출, 보건, 교육, 소외 계층에 대한 훈련 및 경제권 부여 등에 맞추어져 있다. 남아공 경제는 다음과 같이 탄력적이다: 인플레율 10% 이내, 경제 성장률 2%, 수출 증대, 고정 투자 증대, 시장 및 투자 우호..

정치/인물연구 2001.10.29

남아공의 만델라 2

94년 5월 만델라가 남아공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이같은 틀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아프리카의 르네상스를 위해서 이제 아프리카의 문제는 아프리카인들 스스로 해결하고 아프리카의 미래도 아프리카인들 자신이 개척해야 한다는 만델라의 주장은 검은 대륙에서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나이는 많지만 정통성 있는 권력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바탕으로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과 더불어 아프리카의 신세대 지도자로 통하는 만델라는 스스로의 주장을 뒷받침하듯 아프리카의 문제에 적극 개입했다. 만델라가 취한 문제의 해결방법 또한 기존의 아프리카 지도자들과는 크게 달라진 것이었다. 만델라 이전의 대다수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국내 또는 지역분쟁 해결을 위해 걸핏하면 과거의 종주국인 프랑스나 영국으로 달려가 자문을 구하고 원조를 ..

정치/인물연구 2001.10.29

남아공의 만델라

미국의 고(故) 마틴 루터 킹 목사와 더불어 20세기를 대표하는 흑인지도자로 꼽히는 넬슨 만델라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에게는 다양한 수식어가 붙어다닌다. 그중에서도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표현은 뭐니뭐니해도 「아프리카 흑인민권운동의 상징」. 아파르트하이트(흑백분리정책)란 이름 하에 전세계적으로 악명높았던 남아공 백인정권의 흑백차별정책을 종식시키기 위해 젊음을 바쳤고 결국 흑인 다수사회인 남아공에서 백인통치를 끝내는데 결정적 업적을 남긴 그의 업적에 대한 찬사다. 그를 가리키는 또다른 수식어라면 「화해와 관용의 정치가」다. 그는 백인정권의 억압에 저항하다 27년이란 긴 세월을 감옥에서 살았다. 그러나 94년 5월 대통령에 당선된 뒤 백인들에 대한 일체의 정치보복을 가하지 않았다. 남아공의 과거청산은 새로..

정치/인물연구 2001.10.29

기니의 세코우 토우레

프랑스 식민지통치를 받은 아프리카국가와 아프리카의 지도자들에게는 기니아 공화국처럼 저항없이 편안하게 독립을 획득한 국가도 없거니와 세코우 토우레 정치지도자와 같이 평탄에 권력을 장악한 자도 없었다. 그들은 드골의 권력체체하에서 불편없이 자유와 독립을 형유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독립후 수년간 기니아 공화국은 프랑스 정부로부터 별다른 지원을 받은 적도 없이 지도자와 국민들 스스로가 열심히 노력해 왔고 민주적 정당을 운용하였다. 정당운용은 신생국가 답지않게 당원상호간에 투쟁이 간섭없이 토론으로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습관을 갖기 시작함으로써 현대국가의 정치형태와 유사하게 관리했었다. 즉 기니아 민주당을 통하여 국가의 모든 정책을 생산하는 곳으로 훈련시켰다. 더욱이 당원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함으로써 ..

정치/인물연구 2001.10.29

아프리카 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 AfDB)

◎ 아프리카 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 AfDB) 아프리카의경제 발전을 진척시키기 위해 1964년에 설립된 지역은행이다. 코뜨디브아르의 아비잔(Abidjan)에 본부를 둔 아프리카 개발은행은 아프리카를 위한 유엔 경제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 남아공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회원국이다. 초기 자본금은 2억 5천만 달러였으나 현재는 12억달러를 상회할 정도로 증가했다. 비록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 대륙내의 은행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로 원했지만 비 아프리카 국가들의 회원가입에도 동의하였다. 모든 지역은행들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 개발은행은 특별한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고 또한 대부를 통해 지역의 이익을 진척시키기 위해 형성되었다. 대부분의 대부, 약 90%는 수송, 새로운 사업들 그리고 지..

아프리카의 민주화 운동

아프리카의 민주화 운동 1960년대초 아프리카 국가의 권위주의 정 치의 특징은 독자적, 집단적 성향을 가졌으며, 이러한 경망의 정권들에 대한 도전의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대다수가 도피하거나 해외에서 반대 단체를 형성했지만, 이보다 큰 영향력을 미친 것은 원조국의 정책변화였다. 그리고 민주주의 성향(pro-democracy)과 대륙내 인권단체의 성장이었다. 법률가. 학생, 광부, 농촌 여성 조직, 도시 노동자와 비고용자, 언론인들, 성직자와 다른 여러 사회단체들은 폭력적이고 비생산적인 권위주의 정권의 결과로 민주주의 방향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케냐에서 급진장로교성직자는 다당제 선거를 요구했고, 가두시위를 일으켰다. 봉고(Omar Bongo) 가봉 대통형 반대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상점약탈과 리브레..

정치/정치일반 2001.10.29

아프리카 정당(Political Parties)

◎ 아프리카 정당(Political Parties) 아프리카의 정당은 아프리카의 독립 달성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그러나 아프리카 정당에 있어 몇 가지 특성이 나타난다. 첫째, 일당제의 추세였다. 1958년 불령 아프리카 각 지역들은 불령 공동체(French Community) 내에서 자치 공화국이 되었고,(제5공화국의 국민투표에서 반대표(No)를 던진 기니는 예외) 2년후에 각 공화국은 불란서와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는 협정서 하에서 각각 독립을 달성하였다. (아프리카의) 신생국가들은 프랑스의 중앙집권적인(centralising) 전통을 이어 받으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이 일당제를 채택하게 되었다. 전독립기의 선거에서 보여 준바 있던 높은 지지에 비춰 대부분의 불령 아프리카내의 여당들은 국민들의 자..

분리운동(Secession)

◎ 분리운동(Secession) 한 독립국가 혹은 다른 국가와의 연합형태에서 그들의 점령된 영토와 국민을 분리, 독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들은 그들 자신의 운명과, 신념, 언어 흑은 관습을 만들어 유지하기 위해 흑은 또 다른 집단들과 연합하기 위해 한 국가로부터 분리하려고 한다. 그들은 자신의 단체 성원들에 의해 흑은 그들 자신의 지역을 통치하기를 추구한다. 또한 그들은 정치나 경제체계 등 서로 다른 종류를 설립하기 위해 기존의 체제로부터 분리를 시도한다. 내전은 일상적으로 분리주의자들이 그들의 목적 달성을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단이다. 분리주의 운동은 다음과 같은 무력분쟁을 야기시켰다. 자이레(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카탕가(Katanga) 분리운동, 수단 남부지역에서의 분리운동(기독교와 이슬람교)..

범아프리카회의(Pan African Congress :PAC)

◎ 범아프리카회의(Pan African Congress :PAC) 1958년 ANC로부터 이탈한 남아공의 흑인 조직이다. PAC는 소부크웨의 지도하에 다인종주의 보다 흑인주의를 강조하고 남아공 보다 범 아프리카 국가를 그리고 ANC가 추구하는 것 이상으로 더 호전적 경향을 보였다. 소부크웨는 노동파업을 주도하였고 아프리카인들이 그들 스스로 통행증을 불태울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통행권의 집단적 소각의 조치로 1960년 3월 21일 대규모 집회를 요구하였다. 이 집회결과 세프빌에서 경찰들의 발포로 67명이 사망하고 186명이 부상을 입었다. ANC의 루툴리 의장은 비록 그가 PAC의 회원은 아니었지만 그 집회의 동참의미로 그의 통행증을 불태웠다. 그해 4월 남아공 정부는 ANC와 PAC를 불법단체로 규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