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1/21 81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우간다의 반발

보호령과 우간다의 반발 우간다에서 루가드(Lugard)가 떠나자마자, 영국정부는 동아프리카에서 영국의 지위를 확고히 하기 위해 특별행정관을 임명하였다. 우간다를 보호령으로 삼으려는 영국의 의도를 알리기위해 제랄드 포탈(Gerald Portal)이 1893년 4월 1일 도착하였다. 5월에 그는 무왕가(Mwanga)와 새로운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 협정의 내용은 카바카(Kabaka)가 회사 대신에 영국정부의 보호를 받아들이고 영국의 허락없이는 어떤 국가와도 관계를 맺지않으며 재정에 관한 거의 절대적인 통제권을 영국에 이양하는 것이었다. 이후 포탈은 부간다를 영국의 지배하에 억류하기 위한 건의를 위해 영국으로 돌아갔다. 11월에 콜빌(Colville) 대령이 과도 정부 행정가로서 파견되었다. 그는 즉시 분요로..

외국의 점령과 서아프리카에서의 저항 형태

비교 요약 식민지 획득에 대한 프랑스의 태도는 영국의 그것과는 상당히 달랐다. 이러한 태도는 일련의 굴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그들은 200년전 영국에 의해 카나다와 인도에서 강제로 축출되었다. 그들은 이후 1871년의 프랑스-프러시아 전쟁에서 또다른 심리적 좌절을 경험하였다. 영국은 1882년 이집트문제에 관한 그들의 행동에서도 전혀 상황을 개선시키지 않았다. 따라서 프랑스는 어디에서건 이에 보상하려는 열렬한 욕망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같은 사실들이 서아프리카에 있는 프랑스 영토의 대부분이 불모지라는 사실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지역에서의 정복은 그 지역의 유용성과는 관계없이 행해진 것이었다. 정복은 종종 파리로부터 지시나 허가없이 즉석에서 군대나 프랑스인에 의해 행해졌다. 한편 영국은 상업적인 이유..

영국의 점령과 반발 - 감비아의 점령과 반발

감비아의 점령과 반발 감비아와의 오랜 친교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별다른 이익도 없이 이 지역을 점령하였다. 1891년까지는 영국인의 점령은 없었는데, 그 해에 소닌케(Soninke)의 족장체제가 마라보츠(Marabouts)와의 40년간의 내전으로 파괴되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영국의 간섭이 시작될때까지 이 지역에는 정치적 진공상태가 야기되었다. 단지 두명의 마라보츠족 사람만이 저항과 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포데 시라(Fode Silla:1891-94)와 포데 카바(Fode Kabba:1894-1900)였다. 실라는 영국에 맞서 장기전을 폈으나 1894년 패배하였다. 카바는 마 바(Ma Ba)를 를 계승하여 그 자신을 모디(Mohdi)라고 선포하고 강 주변과 콤보(Kombo)왕국 주변에서 가장 강한 ..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시에라레온의 점령과 반발

시에라레온의 점령과 반발 시에라레온은 해방된 노예들을 위한 식민지로서 1787년에 세워진 나라였다. 박애주의자들을 기독교와 합법적인 무역이 언젠가는 템네(Temne)와 멘데(Mende)족들이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남아있는 내부에까지 이르기를 희망하였다. 1896년, 시에라레온 오지에 보호령이 선포되었고, 이러한 부족들은 그들의 권력이 무너지는 비애를 당하였다. 그들의 불만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들은 1898년 폭동을 일으켰다. (a)템네-멘데족의 폭동.1898 1898년의 폭동은 세가지-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상호 연계된 원인을 갖고 있었다. 사회적 원인 처음부터 크레올(Creole)로 알려진 해안의 반카스트사회는 외국문화의 독점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선교활동의 지대한 영향력을 경험하였고..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영국에 대한 판테인의 반발

영국에 대한 판테인의 반발 아산테의 남쪽에 위치한 판테왕국은 만케심(Mankessim)인들에 의해 세워졌다. 18세기에 판테왕국은 프라강 어귀에서부터 가(Ga)왕국까지에 이르는 가나 해안지방까지 팽창했었다. 1840년대 이래 판테왕국은 영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는데, 영국은 아산테로부터 그들을 해방시킨 사람들로서 환영받았다. 그러니 그 이후 그들은 비폭력적인 저항으로 태도를 바꾸었다. 이 저항은 교육받은 엘리트와 족장들로서 판테연합(1868-73)을 형성함으로써 구체화되었다. 판테연합(Fante Confederacy) 맥클린(Macclean) 행정부 시기 이후로 판테인들이 아산테로부터 획득한 독립을 어느 누구로부터도 침해당하고 있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졌다. 당시 유럽인의 간섭은 늘어가고 있..

영국의 점령과 반발 - 1900년의 영-아산테전쟁

1900년의 영-아산테전쟁 영국은 점령초부터 현지 행정부의 재원뿐만 아니라 1896년 원정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아산테내에서 수입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행정가들은 소위 '부채에 대한 이자'로서 수입을 증가시킬 계획을 분명히 하였다. 이 수입은 오만헤네(Omanhene)에 의해 징수되었는데, 이들은 거둔 액수의 10%를 차지하였다. 허즈슨총독은 새로운 계획을 추장들에게 제시하는데 있어서 매우 무례하였다. 그는 아산테의 상징인 황금의자를 요구하였다. 외국인의 그들 주권에 대한 이러한 무례한 도전은 아산테인들에게는 참을 수 없는 것이었고, 이 두가지 사건은 1900년의 아산테봉기를 촉발시켰다. 쿠마시가 아산테인의 공격으로 포위되었으나 결국 아산테인들은 패배하고 말았다. 그들의..

영국의 점령과 반발 - 1874년의 영-아산테전쟁

1874년의 영-아산테전쟁 1874년의 아산테전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엘미나(Elmina)항구문제였다. 1872년 케이프 코스트(Cape Coast)에서 영국과 화란간에 항구의 교환이 있었다. 이러한 거래는 자부심 강한 아산테인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는데, 왜냐하면 엘미나가 그들과 관계가 좋지않은 영국에 넘겨졌기 때문이었다. 엘미나는 오세이 투투(Osei Tutu)가 덴키라(Denkyira)를 정복하고 획득한 곳이었다. 따라서 그들의 분노는 감정적, 정치적 원인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거기에는 경제적 이유도 있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화란으로부터 엘미나항 사용료로 연간 80파운드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영국은 사용료 지불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그곳이 바다로 향하는 유일한 출구였던 아산테와의 통로도 봉쇄해 버렸..

영국의 점령과 반발 - 황금해안(가나)의 점령과 반발

황금해안(가나)의 점령과 반발 아산테(Asante)동맹은 영국의 가나점령에 주요 장애요인이 되었는데, 왜냐하면 프라(Pra)강 남부에 위치한 국가들이 동맹의 소속국이었기 때문이다. 이 소속국들은 친영국가인 판테(Fante)의 뒷쪽에 위치해 있었다. 이러한 해안 민족에 대한 영국의 보호는 아산테 동맹에 계속적인 자극원이 되었는데, 왜냐하면 친영국가는 해안에 이르는 통로를 막았고, 따라서 그들의 노예수출을 방해하였기 때문이었다. 동시에 친영국가는 아산테로부터 탈출하려는 사람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였다. 아산테동맹은 1863년, 1874년, 1900년 세 차레의 전쟁을 일으켰다. (a) 1863년의 영-아산테 전쟁 1863년 아산테전쟁의 원인은 식민지 간섭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특히 1844년의 &#039..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영국 정부에 의한 점령

영국 정부에 의한 점령 왕립 니제르 회사(Royal Niger Company)는 북부나이지리아에 대한 영국의 보호령이 공식적으로 선포되기 전부터 수년간 니제르강과 베뉴(Benue)강을 따라 활동하고 있었다. 그 활동은 본질적으로 상업적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회사는 많은 토후국들과 조약을 맺고 진출하였다. 이 조약들 중 일부는 토후국에 정치적 권위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1884-5년에 걸친 베를린회담에서 북부나이지리아를 영국의 영향력하에 있는 지역으로 인정하게 만든 것은 바로 그러한 조약들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국제적 승인을 확보하기에 불충분하였다. 프랑스는 이미 현 니제르 공화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한편, 독일도 카메룬에서 그들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었다. 북부 나이지리아 지역은 불안정..

영국의 점령과 반발 - 북부 나이지리아

북부 나이지리아 남부의 점령이 무력과 외교의 혼합을 통해 이루어진 반면, 북부의 점령은 직접적인 정복으로 이루어 졌다. 여기에는 두개의 영국 단체들, 즉 왕립 니제르 회사(Royal Niger Company)와 영국정부가 참가하였다. 회사에 의한 점령 - 누뻬(Nupe)와 일로린(Ilorin) 왕립 니제르 회사의 골디(Goldie)가 북부에 위치한 토후국들을 효과적으로 점령하는데는 몇가지 요소가 작용하였다. 니제르강의 항해를 위한 거점을 확보하는데 있어 프랑스의 위협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북부의 변경에 위치한 두 토후국, 즉 누뻬와 일로린에 의한 점증하는 적의였다. 비다(Bida)에 본부를 둔 아부 보카리(Abu Bokhari)는 누뻬의 왕족이었다. 그는 그의 독립이 인정된 1871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