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1/21 81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이보 지역

이보 지역 1900년 서부 나이지리아 보호령이 설립되었을때, 그곳은 이보와 이비비오(Ibibio)같은 동부의 광대한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외국 통치의 경험이 전혀 없었다. 그러나 이 부족들은 기본적으로 이방인에게 적의를 가졌으며 영국에게 있어서 그들을 정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정복 정책은 영국에서 찬반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1895년 조셉 챔벌린(Joseph Chamberlain)이 식민지 장관(Colonial Secretary)이 되었으며 무력 사용에 대한 그의 견해는 명백했다 : [" 계란을 깨지않고 오물렛을 만들 수는 없다. 야만주의, 노예, 수세기 동안 아 프리카 내부를 황폐화시킨 미신을 무력없이는 파괴시키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이보지역의 아로(Aro)족에 대한 무력..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요루바 지역

요루바 지역 영국이 요루바지역을 보호령으로 선포하게 된데에는 세가지 요소가 작용하였다. 첫째는 보호에 대한 선교사의 압력과 요루바 지역의 '평화'였다. 둘째는 영국의 선점에 대한 프랑스의 위협이었다. 그리고 셋째는 빈번한 무역의 중단 그리고 라고스(Lagos)식민지의 수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었다. 라고스 식민지는 1861년에 설립되었는데 부분적으로 선교사의 압력 때문이었다. 그러나 사랑과 형제애에 대한 주장도 내륙 국가까지 의심을 하는 선교활동을 중단시키지 못했다. 새로운 식민지의 첫번째 총독인 브랜드(Brand)조차 1862년에 공포감을 나타내고 있다 : [이 정부는 주위에 있는 나라들의 불신과 의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두려움은 라고스의 영토가 모든 나라들을 집어삼킬 때까지 ..

영국의 점령과 반발 - 베넹의 오바 오븐람웬(Oba Ovonramwen), 1892-7

베넹의 오바 오븐람웬(Oba Ovonramwen), 1892-7 1892년 베넹과 영국사이에 보호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왜냐하면 영국이 이 지역을 니제르강 삼각주 보호령에 편입시키길 원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베넹은 영국이 중단시키고자 했던 인간제물 관행이 있었다. 어쨌든 영국의 대리총영사인 필립( Phillips)은 베넹의 점령과 오바(Oba)의 정복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1897년 그는 베넹을 영국의 통제하에 두기로 결정했다. 이당시 오바는 성대한 아규(Ague)축제를 열고 있었다. 필립은 방문을 연기하라는 조언을 받았으나, 그는 계획을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결정은 비니(Bini)족의 의심을 받았는데, 그들은 그의 방문이 나쁜 동기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와 그 일행이 전멸당했다. 이에 분개..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이체키리의 나나 올루무(Nana Olumu), 1883-94

이체키리의 나나 올루무(Nana Olumu), 1883-94 나나 올루무는 1883년 이체키리의 총독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유럽인들을 열등하게 대우하는 것이 아니라 동등하게 다루기로 결정했다. 그는 나폴레옹 1세의 외교정책을 연상시키는 무력의 사용, 우정 그리고 동맹결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우호보스(Urhobos), 자미슨(Jamieson), 에티오페(Ethiope) 그리고 와리(Warii)족들을 그의 무역제국으로 병합시켰다. 그가 이 지역을 통제하는 것을 시기하고 있던 영국은 1885년에 그에게 보호조약을 제의하였다. 나나는 조약에 서명했으나, 그의 제국에서의 영국 무역업자들의 상업적 우대의 항목을 생략하였다. 무어인영사와 무역업자들이 나나가 베넹강과 와리족 주민들에 의해 그 지역의 유일한 권력자로 ..

영국의 점령과 반발 - 오포보의 자자, 1870-87

오포보의 자자, 1870-87 자자 (혹은 주보 주보가:Jubo Jubogha)는 이보(Iboland)지역의 중심지인 아마이보(Amaigbo)에서 1821년에 태어났다. 12살의 나이에 그는 보니(Bonny)족의 이가니퓨구마 알리슨(Iganiphughuma Allison)추장의 노예로써 팔려갔으나 곧 안나 페플(Anna Pepple)의 마두(Madu) 족장에게 선물로 보내졌다. 1869년 자자는 고대 보니왕국의 18명의 의원(Houses)중 14명을 이끌고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면서 오포보왕국을 건설하였다. 자자는 발전에 관한 서구적인 개념의 가치를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의 근대적인 경향들은 매우 선택적이었다. 이것은 선교사들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 잘 나타난다. 자자는 그의 나라안으로 기독교 선교사들이..

영국의 점령과 반발

영국의 점령과 아프리카인의 반발 총과 함께 그들의 국기가 등장하는 프랑스 점령지역의 상황과는 반대로 영국의 점령지역에서는 그들의 국기는 무역과 함께 등장했다. 영국인들의 무역활동은 이 지역에 대한 영국의 점령에 강력한 동기를 부여했다. 이것은 영국이 경제적 이익이 있는 지역을 주로 점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부 아프리카지역의 분할은 1900년에 이르러 완료되었고, 영국은 나이지리아, 황금해안, 시에라 레온, 감비아 등을 포함한 지역인 48만평방마일을 차지하게 되었다. (ii) 나이지리아의 점령과 반발 영국은 라고스(Lagos), 삼각주 지역, 그리고 내륙지방에서 활발했던 야자유 무역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영국은 라고스를 1861년에 그리고 삼각주 지역을 1885년에 점령하였다. 골디(Goldie)의 ..

프랑의 점령과 반발 - 만딩카(Mandinka)에서의 사모리 토우레의 반발, 1882-98

만딩카(Mandinka)에서의 사모리 토우레의 반발, 1882-98 사모리는 프랑스 점령지 중 최대의 저항세력이었다. 그는 1만명에서 1만2천명의 정예군과 9만의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그는 필요한 경우에 대비한 게릴라부대을 준비하고 있었다. 1882년에 들어서자 군대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는데, 왜냐하면 프랑스가 서부수단으로 진출하기로 결정하였고, 사모리의 제국은 그들이 반드시 제거해야만 할 주요 장애물이었기 때문이었다. 사소한 충돌이 있은 후, 사모리는 프랑스가 그의 제국의 안보와 서부로의 팽창에 대해 도전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1883년에 그는 철도변에 군대를 집결시켰고, 철수의 명령도 거부하였으며, 프랑스군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그는 데스보데스(Desbordes)휘하에 있..

프랑의 점령과 반발 - 토콜라의 아마도우 세코우의 반발, 1882-96

토콜라의 아마도우 세코우의 반발, 1882-96 토콜라제국은 1862년 알 하즈 우마르에 의해 건설되었다. 1880년대에 들어서 토콜라제국은 아마도우 세코우의 통치를 받았으며, 니제르의 전지역에서부터 팀벅투(Timbuctu)까지 영토를 확대하였다. 아마도우는 여러가지 문제점에 직면했다. 이들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 사모리의 니제르로의 영토확장 야망 ; 그에 대한 공물지불을 거부하는 마시나(Macina)에 있는 티자니(Tijani)족 ; 밤바라(Bambara)족의 계속적인 저항 ; 그리고 프랑스와의 문제점. 철도는 아마도우의 영토를 통과하여 니제르강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갈리에니는 니제르강 좌측 제방에 있는 아마도우 영토의 양도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니제르강에서의 프랑스 독점무역을 요구하였다...

프랑의 점령과 반발 - 마나도우 라미네(Manadou Lamine)의 반발, 1886-87

마나도우 라미네(Manadou Lamine)의 반발, 1886-87 마나도우는 마디스트(Mahdist) 신봉자인 소닌케 마라보우트(Soninke Marabout)의 제자였다. 그는 1886년 세넨디보우(Senendibou)에서 그 자신을 구세주라고 선언하고, 바켈(Barkel)에 주둔한 프랑스군을 공격하였다. 그는 본도우(Bondou)에 침입하였으며 세넨디보우에 있는 프랑스군을 공격하였다. 갈리에니(Gallieni)는 마나도우의 권력을 분쇄하기위한 작전을 펼쳤다. 1887년 12월 8일 마나도우는 마침내 Upper Gambia에 있는 탐바코우다(Tambacouda)에서 패배하여 살해당했다. 그의 죽음은 세네갈에서의 저항이 종결되었음을 의미했으나, 알 하즈 우마르의 계승자인 아마도우 세코우(Ahmadou ..

케이어(Cayor)의 라트 디오르(Lat Dior)의 반발, 1883-6

케이어(Cayor)의 라트 디오르(Lat Dior)의 반발, 1883-6 라트 디오르는 철도가 통과할 지역에 위치한 종족인 케이어의 족장이었다. 비록 초기에는 토콜라(Tokolor)족에 대한 두려움때문에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지만, 라트 디오르는 그의 영토를 통과하는 철도건설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였는데, 왜냐하면 그는 철도건설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는 철도건설을 지지한다는 협약을 거부하고 프랑스에 대한 무장투쟁을 개시하였다. 프랑스는 그를 제거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으며, 그를 폐위시키고 꼭둑각시족장을 세웠다. 라트 디오르는 다른 곳으로 피신하여, 1885년 철도가 완성될때까지 프랑스에 대항하는 게릴라전을 전개하였다. 그는 1886년 은데케테(N'Dekete)에서 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