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아프리카의 민족과 문화 139

아프리카의 시간개념과 약속-현재와 과거를 중시

3. 아프리카의 시간개념은 현재와 과거를 중시 아프리카인들에게 시간은 이차원적인 현상이다. 즉 긴 ‘과거’와 ‘현재’만이 있을 뿐 실제적으로 미래가 없다. ‘실제적인 시간’이란 현재의 시간이며 과거의 시간이다. 일단 일어난 사건은 이제는 미래를 향하지 않고 현재와 과거 속으로 전개해 나간다. 다시 말하면 앞으로 움직이기 보다는 뒤로 움직이는 것이다. 반면에 ‘잠재적인 시간’이란 미래에 틀림없이 일어날 사건, 또는 자연현상의 불가피한 리듬 안에 있는 것을 가리키고 일어나지 않은 것, 혹은 곧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사건은 비시간(No-time)의 범주 안에 속한다. 미래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미래 속에 있는 사건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이며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을 구성할 수 ..

아프리카의 시간개념과 약속-시간개념에 대한 이해

2. 시간개념에 대한 이해 우리는 시간을 인간의 삶 속에서 이용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시간이 우리를 만들고 이끌어가는 것일까? 아마 누구도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일 것이다. 시간은 고정불변의 것이라기보다는 문화집단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고 있다. 분명히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문화적 구성요소로서 시간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며 아울러 인간정신의 산물로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 현재, 혹은 미래에서 사건을 배치하는 것은 우리의 기준 틀에 달려있다. 언제 한 사건이 우리의 일시적인 삶 속에서 일어나느냐를 결정하는 것은 오로지 우리가 아침식사와 점심식사 사이와 같이 사적인 사건들의 익숙한 연속선상에서 어떤 시점에 사건을 배치시키느냐에 달려있다. 하지만 우리가 비즈니스의 세계 속에서 우리의 ..

아프리카의 시간개념과 약속-들어가는 글

1. 들어가는 글 아프리카인들의 시간개념은 어떨까?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는 한 가지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아프리카인들의 시간개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케냐의 나이로비에 갔을 때 친분이 있는 나이로비 대학 교수로부터 저녁식사 초대를 받은 적이 있었다. 호텔에서 만나기로 한 약속시간이 저녁 6시였는데 그는 7시 30분쯤에 나타났고 전혀 미안한 표정도, 왜 늦었는지에 대해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도 없이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갔다. 저녁은 우갈리과 차파티 그리고 수쿠마위키등 비교적 간단한 식사였는데 저녁 10시 30분에야 먹을 수 있었다. 처음에는 화가 너무 났었지만 나중에는 아주 지쳐서 화내는 것도 포기하였다. 결국 숙소에는 11시 30분에야 돌아왔다. 아프리카에서 현지인들과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약속을 ..

<font color=magenta>[ 아프리카의 사회조직과 통과의례 ] - 직업과 사회적 지위

6. 직업과 사회적 지위 아프리카인들의 생활에서 집단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며 친족 집단에 관하여 너무 많은 글이 발표된 나머지 다른 집단의 다른 원리들은 때때로 무시되고 있다. 일부 사회적으로 인정된 가치의 불평등한 분배에 기초한 부이다. 그리고 이 부에서 중요한 것이며 그것은 부인될 수 없다. 그리고 일부 사회에서 그것은 권력의 주요한 기초가 된다. 그러나 다른 사회에서는 종종 그 반대의 경우가 되기도 한다. 즉 어떤 사람은 영향력, 권력, 명성을 가진 사람이라고 간주되기 때문에 부를 소유하고 있을 것이다라고 추측한다. 더구나 이들 후자의 특성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개인적 성취도에 기초하는 것만큼이나 사회에서 그 개인의 세습 지위에 그 토대를 두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씨족 성원들의 계급을 의..

<font color=magenta>[ 아프리카의 사회조직과 통과의례 ] - 비밀스런 결사조직, 비의결사, 연령집단

4. 비밀스런 결사조직, 비의결사(秘儀結社 ; secret societies) 아프리카 사회구조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또 하나의 단체가 비의결사이다. 이것은 주로 서부 아프리카와 콩고분지에서 나타났던 사회제도이다. 이 비의결사는 사회를 통제하고 젊은이들을 어른이 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정교하고 오래끌었던 통과의례들은 비의결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어떤 때는 몇 년 동안 지속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그들의 힘과 영향력은 강한 종교적 제재에 의하여 후원되었다. 어떤 사회는 신성한 숲(sacred grove)을 소유하고 이곳에서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들은 언제나 상징물을 구체화했고 의식을 위한 도구를 가지고 있었다. 비의결사는 통과의례의 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font color=magenta>[ 아프리카의 사회조직과 통과의례 ] - 할례(circumcision)

3. 할례(circumcision) 할례는 아프리카인들의 통과의례중 중요한 의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음경의 표피 전부 또는 일부를 자르는 행위. 이 의식이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 할례가 하나의 의식으로 여러 민족에 분포된 점과 금속 칼보다는 돌칼을 널리 사용한 점은 이것이 매우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암시한다. 할례를 전통의식으로 행하는 곳에서는 사춘기 전이나 사춘기 때 행하며, 이슬람교도들 중 어떤 이들은 결혼 직전에 행하고, 어떤 이들은 종교교육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되었을 때나 출생 뒤 곧바로 행한다. 유대인들이 남자아이를 낳은 지 8일 만에 할례를 행하는 것은 하느님이 아브라함과 맺은 계약의 일부 내용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유대교로 개종하는 모든 남자는 의무적으..

<font color=magenta>[ 아프리카의 사회조직과 통과의례 ] - 통과의례

2. 통과의례(通過儀禮 ; initiation rite, passage celebration, passage rite, puberty rite) 아프리카에서 통과의례는 젊은이들이 성숙한 인간으로서 또 책임 있는 존재로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동체의 특권과 의무를 갖게되며 교육적 기능을 수행한다. 그들은 새로운 권리를 전수 받고 사회는 그들이 새로운 의무를 수행해줄 것을 기대하는 것이다. 젊은이들로 하여금 성생활, 결혼, 자녀의 출산, 가족에 대한 책임 등에 대한 일들을 준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간동안 고통을 견디는 것을 배우고 서로 함께 사는 법을 배우며 순종하는 것을 배우고 남녀관계의 비밀과 신비를 배운다. 아프리카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년이 되는 통과의례는 현대생활..

<font color=magenta>[ 아프리카의 사회조직과 통과의례 ] - 친족(kinship)

아프리카의 사회조직을 이해하는 핵심은 사회적 집단(social groupings)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개인은 매일 매일의 생활속에서 중복되어 집단에 소속된다고 볼 수 있는데 정리하여 본다면 첫 번째가 가족이나 동족, 씨족을 포함하는 친족집단이다. 두 번째는 비 친족 집단인 연령집단, 비의결사, 통과의례, 기술조합 같은 단체들이다. 셋째는 주거하는 지역에 따른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1. 친족(kinship) 1.1 친족집단의 조직과 기능 친족관계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결혼이란 당사자간의 문제가 아니라 신랑의 가족과 신부의 가족, 또는 두 친족집단간의 문제이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하고 있다. 이미 모든 사회들이 일정한 범위의 근친들간에는 결혼 및 성관계를 금하는..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가족, 세대, 개인

10. 가족, 세대, 개인 일부다처제를 선택하고 있는 아프리카 가족은 세대가 교차하는 확대가족제도이다. 어린아이들은, 특히 아들들, 그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부모를 돌본다. 사람들은 많은 아이들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그 자녀들이 커서 성공하기를 바라며 돌본다. 왜냐하면 자녀들이 노년의 자신들을 보살필 것이며 죽었을 때 성대한 장례식을 치러 줄뿐만 아니라 그들을 기억해주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소유의 출계집단제도(descent group system of land tenure)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토지사용의 계속성을 보장한다. 이런 제도는 사회의 재산을 유지하고 몇몇 부유한 사람들에게 독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들의 출계집단에 소속된 땅을 경작할 수는 있지만 그것들을 개인적으로 팔 수는..

<font color=green>[ 성과 결혼 그리고 가족 ] - 출생

9. 출생 출생은 대단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어떤 아프리카 사회에서는 아내가 출산을 하기까지는 그 결혼을 완전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거나 그 결혼이 완성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첫 임신은 결혼을 매듭짓는 징표이면서 동시에 여인이 남편의 가족과 친족집단에 완전히 통합되었다는 표시이다. 때문에 아무리 훌륭한 자질을 가진 여인이라 할 지라도 아이를 낳지 못하면 그 여인은 가장 불행한 사람이다. 아이를 낳지 못한다는 것은 치유될 수 없는 치욕이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사회에서는 임산부가 지켜야 할 금기와 규제가 있다. 그 이유는 임산부와 아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는 성교에 관한 것이다. 사회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아이를 가졌을때부터 출산후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는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