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1/19 44

고무 소녀

이 이야기는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에서도 잘 알려진 것으로 나이지리아 하우사족의 거미에 관한 것이다. 어느 날 거미가 그의 아내에게 몇 개의 땅콩을 가지고 와서 그것을 들에 심어야겠다고 말했다. 거미는 괭이를 가지고 들판에 도착하자마자 날씨가 덥고 게으른 동물이기 때문에 그늘진 시냇가에 앉았다. 그는 술을 마시고 그 땅콩을 먹기 시작했으며 마침내 그 땅콩을 모조리 먹고는 잠들고 말았다. 그가 깨어났을 때는 저녁이었다. 그는 냇가에서 진흙을 가지고 와서는 그의 몸 전체에 바르고 집에 갔다. 그리고 그의 아내에게 더러운 몸을 씻기 위해 목욕할 물을 달라고 말했다. 똑같은 일들이 땅콩이 열매맺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러자 거미 부인은 그의 이웃들은 땅콩을 이미 수확하기 위해 땅을 파고 있다고 말하고 그녀는 자신..

거미와 토끼이야기

이 이야기는 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알려져 있는 우화로 거북이와 토끼의 꾀와 사기 그리고 승리에 관한 것이다. 이 이야기들은 아메리카 대륙으로 잡혀간 노예들에 전해진 것이다. 적도 아프리카에는 토끼가 없다. 따라서 수단과 사바나지역에 살고 있는 토끼는 노출된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빠른 발과 꾀에 의지하는 영리한 동물이다. 토끼의 주요 적은 하이에나로 아메리카에서는 브레르 여우(Brer Fox)라고 불린다. 숲속에는 거미가 살고 있었다. 거미 역시 영리한 동물이다. 이 이야기들에서는 약하나 교활한 동물이 강하지만 우둔한 동물들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것을 전해주고 있다. 아마 이것은 일반 평민들이 독한 지배자와 혹은 외국 정복자들에게 대항하는 것을 영리한 토끼와 거미를 대비시켜 복수하는 것을 ..

아프리카 단결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OAU)

이 기구는 1963년 5월 25일 30개 아프flak 국가들이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서 아프리카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만들었다. 흑아프리카 국가들은 1957년 가나의 독립을 시작으로 연쇄적인 독립을 이룩하였다. 독립된 국가들의 증가로 아프리카 내에 두개의 반대되는 그룹이 형성되었다. 첫 번째 블록은 1961년 1월 모로코에서 회담이 개최된 이후 만들어진 카사블랑카 그룹이다. 이 그룹은 가나의 은쿠르마 대통령의 주도하에 급진적 자세를 견지하며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치통합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이 블록의 회원국으로는 알제리 임시정부, 이집트, 가나, 기네아, 말리 그리고 모로코 등이다. 두 번째 블록은 1961년 5월 라이베리아 수도에서 열린 회담의 결과로 몬로비아 그룹으로 알려졌다. 회원국은 ..

아프리카 정치형태와 군부 쿠테타와의 상관관계

군사정권이란 서구 사회정치 체계나 공산정치 체계가 아닌 '재3세계' '개발도상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웅어 또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군사정권을 군부와 민간인의 제휴, 또는 결합체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며 이런 의미에서 군부가 민간인, 관료, 기업가, 또는 경영인, 정치인 및 기술관료와 결탁관계를 하여 세워진 정권을 말한다. 이러한 성격을 지닌 현대 군사정권은 대개가 권위주의적이고 전제적이며 다만 정도가 정권에 따라 다를 뿐이다. 권위주의적 현상은 민간정부의 경우에도 나타나지만 군부가 집권할 때 더욱 두더러지게 나타난다. 이런 의미에서 신생국 정치는 권위주의적 정권에 의한 권위주의화의 정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아프리카 다수의 국가들이 60-70..

정치/정치일반 2001.11.19

아프리카에서의 쿠바(Cubans in Africa)

아프리카에서의 쿠바(Cubans in Africa) 아프리카에서의 쿠바는 군사적 혹은 경제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1970년대 초 쿠바는 소말리아와 기네아와 같은 '혁명' 국가들에 대한 약간의 기술들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아프리카와 본격적인 관계는 1975년 독립이 진행되고 있던 앙골라에서였다. MPLA가 독립 정부의 통제권을 얻는 것 처럼 보였으나 1975년 여름 동안 미국, 중국 그리고 남아공이 FNLA와 UNITA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MPLA를 지원했으나 마지못해 하였다. 쿠바의 피텔 카스트로(Fidel Castro)는 MPLA의 지도자인 네또(Agosti Neto)의 군사지원 요구를 받아들였다. 또한 소련도 그들의 전위세력으로 쿠바군을 앙골라에 끌어들였다. 1975년 ..

중국의 대 아프리카 정책(Chinese Policy in Africa)

중국의 대 아프리카 정책(Chinese Policy in Africa)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정책은 처음에는 아프리카 문제들 때문이 아니라 중국 자신의 소련과의 투쟁 때문에 이루어 졌다. 즉 1960년대 중국과 소련과의 사회주의 패권 투쟁은 제3세계에서 치열했는데 중국의 지지는 소련의 지지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앙골라에서 소련이 MPLA를 지지했을 때 중국은 FNLA와 UNITA를 지원했으며 이것은 결국 미국과 남아공과 연합하는 결과를 낳았다. 소련이 짐바브웨에서 은코모(Nkomo)를 지지했을 때 중국은 부◎베(Mugabe)를지원했는데 이 경우 중국이 지원한 무가베가 승리하였다. 소말리아가 소련과 관계를 단절하였을 때 중국은 소말리아를 포섭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정책은 소련..

소련의 대 아프리카 정책(Soviet Union Policy in Africa)

소련의 대 아프리카 정책(Soviet Union Policy in Africa) 소련은 아프리카에 대해 초기에는 사회주의 노선에 의한 경제개발이야 말로 아프리카 국가건설의 장기적 목표라고 주장하고 그 단기적 목표로서 아프리카 국가통합에의 해결책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들의 외교정책을 수행해 왔다. 70년대에 들어와서 보다 실질적으로 국가이익에 기반을 둔 팽창주의 전제하에 아프리카에서 세력을 확대시켜 나갔다. 소련은 역사적으로 아프리카와 전혀 무관하였다. 소련 자체의 격렬한 혁명과 레닌-스탈린으로 이어진 맑스주의 혁명은 1950년대와 60년대 때 독립운동의 폭발에 아무런 역할을 수행치 못했다. 1970년대 중반까지 아프리카에 대한 자세는 관심만 거의 가지지 않았다 1960년대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내..

미국의 대 아프리카 정책(USA Policy in Africa)

미국의 대 아프리카 정책(USA Policy in Africa) 미국의 대 아프리정책은 소련의 세력팽챙을 변수로 해서 시기적으로 변모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볼 때 미국의 아프리카 관계는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시기는 아프리카 식민제국이 대거 독립하기 시작한 60년대부터 포드 행정부 시대인 1975년까지이며 제 2기는 카터행정부(1977-1980년), 제 3기는 레이건 행정부 시대 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1기인 60년대는 미국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소련우위를 유지해 왔다. 닉슨, 포드 행정부 시대 남부아프리카에서 현상유지정책은 미국이 소련 우위의 세력균형을 지속시키려는 전략에서 비롯된다. 제 2기인 카터행정부의 외교정책 방향은 키신저 미 국무장관이 주장하고 있었던 현상유지론 및 세력 불균형론을..

설리반 원칙(Svllivan Principles)

설리반 원칙(Svllivan Principles) 남아공에서의 미국기업은 종업원을 고용할 때 인종차별을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말한다. 이 원칙은 1977년 제너랄 모타사(GM)의 감독위원회 중 최초의 흑인이자 침례교 목사인 설리반(R.Leon Sullivan)이 만들었다. 그는 미국인 회사에 고용된 남아공흑인 노동자들은 회사가 제시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설정하는데 동의할 것을 제의하였다. (1) 임금, 노동조건, 그리고 흑인들의 부가급부 개선. (2) 관리직원으로 흑인진급 가능. (3) 흑인 노동조합의 대표인정 등이다. 1980년대까지 130개 미국회사들은 남아공에 있는 미국회사의 모든 고용원의 75%가 설리반 원칙에 적용되었다. 그 원칙의 목적은 아파르테이트의 영향력을 좌절시키려는 의도 뿐만 아니라 ..

엔떼베 구출작전(Rescue at Entebbe)

엔떼베 구출작전(Rescue at Entebbe) 항공기를 납치하여 이스라엘 인질을 억류한 우간다 엔떼베 공항을 이스라엘 군인들이 습격하여 인질들을 구출한 사건을 말한다. 여객기 납치범들은 비행기를 납치하여 비이스라엘인들은 석방하고 1976년 6월 7일 엔떼베 공항에 착륙하였다. 그들은 이스라엘에 있는 죄수들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인질들 중 블로치(Dora Bloch)라는 나이 많은 여성은 병으로 병원에 이송되었다. 우간다의 이디 아민은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이스라엘은 치밀한 계획하에 엔테베 공항을 점거하고 납치범들을 사살하여 승객들을 구했다. 이 과정에서 1명의 이스라엘 군인이 사망하였고 블로치 여성은 병원으로부터 이송되는 동안 살해당했는데 이는 아민의 명령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도되었다. 대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