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9 53

<font color=blue>[ 아프리카 역사 I ] - 결론</font>

4. 결론 전통적인 정치 조직은 기본적으로 두 종류가 있다. 그것은 세속 통치자의 손에 정치 권력을 부여한 중앙집권적 국가와 씨족이나 혈통과 같은 친족 집단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정치 권력을 통제하거나 연령 계급 체계에서의 "계급"으로 지위가 결정된 연장자의 모임(장로회)에 의해 정치 권력이 유지되는 보다 평등하고 중앙집권에서 탈피한 공통체이다. 정치적 중앙집권화는 고대부터 내려오는 아프리카의 전통이다. 고고학적 증거를 보면, 중앙집권화는 아프리카 외부로부터 들어온 상업적, 종교적, 문화적 영향에 의해 발달하였으며, 동시에 근본적으로 아프리카의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나온 자연스런 결과임을 잘 알 수 있다. 크든 작든, 중앙집권화되었든 탈중앙집권화되었든 어떤 아프리카 사회도 그 자체로 고립되어 있지는 않았다...

<font color=blue>[ 아프리카 역사 I ] - 고대왕국의 형성</font>

3. 고대왕국의 형성 3.1 북부 아프리카 이 지역에서는 역사적 발전, 고대 문명, 그리고 아프리카와 세계의 다른 지역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풍부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집트, 쿠시(Cush), 악숨의 역사는 매우 길어서 세계 문명의 가장 영속적인 유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지역에서 성취한 것에 대한 해석이 얼마간은 다른 인종의 기여, 보편적인 철학 사상의 토대, 서구에 대한 아프리카의 영향과 같은 문제에 대한 커다란 역사적 논쟁의 일부분이 되었다. 최근 일부 논쟁에서는 아프리카 중심의 신흥 정치사상을 정의하고 있는데, 현대 문명의 뿌리가 고대 흑인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흑인으로부터 파생된 많은 사상들이 이집트와 그리스와 같은 고대 문명의 형성과 발달에서 인정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

<font color=blue>[ 아프리카 역사 I ] - 아프리카인의 이주와 반투족의 이동</font>

2. 인류의 기원지로서 아프리카 인류가 속한 영장류의 진화는 7,000-8,000만년부터 시작되었다. 초기 유인원과 구세계 원숭이는 2,30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 나타났고, 그 후에 유라시아로 퍼졌다. 일부 유인원은 살아 남아 환경에 계속적응하면서 우연히 인류 조상의 고유한 특징인 직립 보행이나 두 발 보행을 보여주는 집단이 출현했다. 이 집단의 구성원들은 "호미니드(Hominid)"라 불리거나, 인류와 400만~800만 년 전에 다른 유인원으로부터 갈라진 이후 공통의 진화 경로를 공유하는 인류의 화석 조상을 포함하는 사람과(호미니드 ; Hominidae)의 생물학적 과(科)의 구성원이라 불렸다 호미니드 과(科)에서 살아 있는 유일한 종은 우리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

<font color=blue>[ 아프리카 역사 I ] - 서론</font>

1. 서론 오늘날 벌어지는 아프리카의 많은 갈등과 문제들은 유럽의 식민통치체제와 맞물린 경제, 환경, 정치, 사회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식민주의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과 마찬가지로, 식민통치 이전 수천년에 걸쳐 쌓인 아프리카 역사의 일정한 양식과 정체성이 아프리카의 식민지 경험에도 영향을 미쳤고 식민지 이후의 아프리카를 형성하는 데에도 강력한 힘을 행사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한다면 이 대륙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는 동시에 아프리카인들이 역사적 도전에 처했을 때마다 반응했던 고도의 적응성과 역동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아프리카인들은 자기 고유의 역사를 창조했고 또 지금도 창조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자신들도 통제하..

아프리카의 자연 및 지리적 환경

1. 아프리카의 다양성과 복잡성 아프리카대륙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나 편견 그리고 무지는 수세기 동안 유럽인의 사고의 특징을 이루고 있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지도를 그릴 때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은 동물의 사진이나 아프리카의 자연경관으로 채워 넣었다. 60년대와 70년대의 아프리카에 대한 이미지는 미래에 대한 장미빛 청사진과 함께 낙관주의가 두드러졌으며 이국적인 정서, 야생의 자연, 그리고 낭만으로 대비되었다. 80년대 이후부터는 정치적 부패, 경제적 낙후, 환경문제등으로 기아와 빈곤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프리카는 극명한 대조와 다양성을 보이고 있는 대륙이다. 미국의 3.5배 크기로 아시아 대륙에 이어 두 번째로 큰대륙이지만 인구규모는 8억정도에 불과하다. 언어로 본다면 4개의..

아프리카 정치

아프리카 정치 30년 이상의 부패와 독재 정치를 겪고 난 후였던 1990년대 초에는 실제로 아프리카 전 대륙에서 강력한 정치적 개혁과 민주화를 보여주는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아프리카인들은 1989년 베닌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 초 여세를 몰아 독재적 지배에 저항하기 시작했다. 숨막힐 듯 답답하고 악화된 경제와 구 소련 및 동구 유럽의 몰락으로부터 자극 받은 아프리카인들은 다당제 정치체제와 시민의 자유 확대, 자유 선거를 요구했다. 이러한 자유화의 물결은 남아공과 나이지리아의 민주화 과정으로 인해 최고조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 남아공은 1990년 2월 1일 드 클레르크(F.W. de Klerk)가 300여년 동안 지속되어왔던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라는 초유의 인종차별정책 폐지를 선언하였고 ..

정치/정치일반 2003.09.25

아프리카를 알고 떠나자!

1. 아프리카에 대한 무지와 편견 타잔속의 아프리카, 부쉬맨, 정글, 사냥과 채집, 원시인, 현대문명생활과는 동떨어진 생활. 식인종과 식인풍습, 잔인한 종교와 의식, 난폭한 사람들 등등 독특한 아프리카의 관습과 제도는 환경에 적응한 문화 ; 일부다처제, 신부값, 조상숭배의식, 주술사, 성년식, 할례 등등 가뭄과 기아, 내전 등등 사람이 살수 없는 곳 아프리카인들은 모두 흑인 ; 흑인이 다수이나 백인, 아시아인, 그리고 칼라드(Coloured)등 다양한 인종이 공존. 아프리카에도 위성안테나, 핸드폰, 컴퓨터, 인터냇 카페가 있다. 아프리카는 덥다? ; 이디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서 남아공의 케이프타운을 잇는 동남부 아프리카 지역은 소림과 장초가 우거진 사바나 기후로 고산기후지역이며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지는 ..

희망봉(Cape Town) 역사

희망봉(Cape Town)은 우리에게 어떻게 알려지게 되었을까? 백인들이 들어오기 전에 이 지역의 해안 지대에는 주로 코이산어족에 속하는 산(San)족과 코이코이(Khoikhoi)족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노란색 피부와 작은 키 그리고 단음절의 흡기음(吸氣音, staccato click sound)을 사용하는 사람들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산족은 수렵채집문화를 가지고 있었고 코이코이족은 주로 양과 소를 기르는 유목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의 땅 남아공화국이 백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488년 바돌로뮤 디아즈(Bartholomew Diaz) 휘하의 포르투갈 탐험대가 아프리카 대륙을 돌아 인도양으로 가는 항로를 발견하면서부터이다. 디아즈는 1488년 희망봉을 크게 돌아 알 수..

아프리카의 민주주의 발전

아프리카의 민주주의 발전 "검은 대륙 아프리카"가 발전하고 있다. 독재와 부정부패, 구데타와 내전, 그리고 가난과 에이즈 같은 단어가 먼저 떠오르게 하는 비극과 절망의 대륙 아프리카가 변화하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의 발전,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개방경제로의 전환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들어 동서냉전 종식에 따른 전세계적인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가 조성됨에 따라 역내 국가들간에도 이념적 대결 가능성은 사라지고, 다당제 도입, 자유선거실시 등 개혁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의 절반 이상이 다당제에 기초한 선거가 실시되었고 절차적인 민주주의가 시작되었다. 시에라리온 사태의 확산 가능성, 코트디브와르의 민주화 이행 지체, 짐바브웨 사태의 확산 가능성, 코모로의 ..

정치/정치일반 2003.09.25

칼라드(Coloured)

칼라드(Coloured) 칼라드(Coloured)라는 의미는 &#039;혼혈인&#039;이라는 말로 해석되어야 하지만 다른 국가와 구분이 모호하고 이미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하나의 인종 집단으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039;칼라드&#039;라고 기술된다. 칼라드는 케이프 반도 주변과 내륙에 집중되어 있으면서 주로 서부 케이프와 북부 케이프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들은 전통적으로 남아프리카 사회의 &#039;의붓자식(stepchildren)&#039;이었다. 그들의 조상은 말레이(Malays)계 노예들과 코이코이(Khoikhoi) 노동자들, 산(San)족 또는 반투족 아프리카인들과 백인들 사이에서 불법적인 결합으로 태어난 후손들로 구성된다. 19세기 후반에 &#039;칼라드(coloured)&#039;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