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4/10 11

아프리카와 AIDS - 결론

8. 결론 요즘 우리는 일말의 교훈을 찾으려는 생각에서 지난 세기의 잔학 행위에 관한 논쟁을 벌인다. 루스벨트 대통령 등이 2차 대전 중 6백만 명에 이르는 유대인들을 말살로부터 구하기 위해 유럽 난민을 미국에 받아들이거나 아우슈비츠로 이어지는 철도에 폭격을 가했다면 좀 더 나은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그러나 우리는 현재 신판 홀로코스트에 직면해 있다. 성격은 매우 다르지만 인간 파괴라는 측면에서 볼 때 훨씬 규모가 크다. 예컨대 미국인의 평균 기대 수명은 지난 세기 동안 30년 늘어났지만 아프리카 남부의 신생아는 기대 수명이 짧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의 최근 보고서는 이 지역 주민의 기대 수명이 1990년대 초의 59세에서 2010년엔 45세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에이즈 퇴치 노력은 ..

7. 에이즈퇴치를 위한 노력

7. 에이즈퇴치를 위한 노력 7.1 아프리카 역내 국가들의 노력 역병(疫病)이 존재하는 것은 인간 탓이 아니다. 그러나 그 결과를 감당하는 임무는 인간의 몫이다. 아프리카의 에이즈 문제에 관한 한 지도층의 책임에 대한 질문은 피할 수 없다. 각국 정부가 에이즈 퇴치에 대한 기존의 접근태도를 바꾸지 않거나 보다 폭넓은 지원을 하지 않는다면 아프리카에서 에이즈를 퇴치하거나 감소시키는데 수십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세계적으로 극소수의 제약업체만이 백신개발에 나서고 있어 누구도 기적적인 에이즈 해결책을 내놓고 있지 못한 상태인 만큼 에이즈에 대한 각국 정부가 태도를 바뀌지 않는다면 백신개발은 더욱 더 요원해 질 수 있는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에이즈 문제에 대해 좀더 큰 기여..

6. 에이즈 아프리카 국가들에 미치는 영향

6. 에이즈 아프리카 국가들에 미치는 영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성인의 5분의 1이나 4분의 1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 양성 반응자이다. 획기적인 조치들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이들 국가들은 앞으로 10년 안에 성인 인구의 5분의 1 이상을 잃게 될 것이다. 짐바브웨의 경우 에이즈 때문에 인구 성장이 2002년에 멈출 것으로 예상되며 보츠와나의 평균 수명은 1990년 61세에서 2005년에는 40세로 감소될 전망이다. 인류 역사상 질병 때문에 이러한 규모의 인구가 사라지는 것은 의약이 발전하지 못한 16세기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언 공동체에 천연두가 번져 수많은 사람이 죽어간 사례나 14세기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 인구 3분의 1이 몰살한 경우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남부 아프리카의 에이즈 위기는 세..

5. 에이즈 치료와 대책

5. 에이즈 치료와 대책 지난 1996년 유럽과 미국에서는 81년 에이즈 바이러스가 발견된 이후 에이즈 연구 사상 가장 획기적인 진전이 있었다. 그 결과 확실한 사형선고로 받아들여지던 에이즈가 여전히 치명적이긴 하지만 고가의 치료법이 개발됨에 따라 사망자 수가 감소하게 되었다. 즉 96년 미국에서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 수는 19% 감소했으며 97년 서유럽의 신규 감염자 수는 30% 감소했다. 그러나 이제 서구에서도 바이러스 감염의 대상과 경로에 있어 아프리카의 양상을 닮아가고 있다. 동성애로 인한 에이즈 감염이 많았던 서구 사회에 이성간의 성접촉으로 인한 에이즈 감염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에이즈는 아프리카에서 맹위를 떨치는 다른 질병들과는 달리 서구인들에게도 전염되기 때문에 서구의 여러 제약 ..

4. 아프리카 에이즈의 심각성

4. 아프리카 에이즈의 심각성 국제 언론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의 에이즈 확산이 통제불능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에이즈퇴치를 위한 유엔 전담기구인 유엔에이즈계획(UNAIDS)에 따르면 보츠와나, 나미비아, 스와질랜드, 짐바브웨 등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의 에이즈 확산이 국가의 존재를 위협할 만큼 심각한 수준이며 성인의 4분의1 이상이 에이즈에 감염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UNAIDS/Unicef. "Children orphaned by AIDS: front line responses from eastern and southern Africa" Geneva: UNAIDS/Unicef, 1999). 남아공에서도 지난 10년 동안 에이즈 감염자의 수가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또한 남부..

3. 아프리카의 에이즈 현황

3. 아프리카의 에이즈 현황 유엔 HIV/AIDS 퇴치계획(UNAIDS)과 세계보건기구(WHO)의 '세계 HIV감염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15세에서 49세 사이 연령층은 1백명 중 1명 꼴로 HIV에 감염된 것으로 집계됐고 감염자중 겨우 10%만이 자신이 감염된 사실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200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83). 이 보고서에 따르면 HIV 감염이 종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감염률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아프리카 등 개도국에서는 여전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또 2000년 한해에만 HIV에 ..

2. 에이즈의 기원

2. 에이즈의 기원 2.1 에이즈에 대한 정의 에이즈(AIDS)란 Acqured Immune Deficiency Syndrom의 약어로 "후천성면역결핍증"이라고 한다. 에이즈는 에이즈바이러스(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가 몸속에 침입하여 인체의 면역세포(T4 세포)를 파괴시켜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보통 상태에서는 거의 생기지 않는 각종 감염이나 질병 암 등이 생겨서 사망하게 되는 질병이다(두산대백과 EnCyber). 1983년에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몽따니에 박사팀이 에이즈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분리하는데 성공하였으며 1985년에는 에이즈 감염여부를 가려내는 HIV 항체검사법이 개발되어 에이즈 감염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

아프리카와 AIDS - 서론

아프리카와 AIDS 1.서론 아프리카 대륙이 전쟁과 기아로 인한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20세기를 마감하고 21세기를 향해 나아가는 이제 또 한차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새로운 전염병인 에이즈(후천성 면역결핍증)로 휘청거리고 있다. 이미 전쟁과 빈곤으로 피폐해진 아프리카 대륙을 에이즈가 또다시 한 세대의 상당 부분을 쓸어내고 있다. 사회구성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가족이 파괴되고 숙련된 근로자가 줄어들고 사회전반에 걸쳐 붕괴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처럼 에이즈가 아프리카에서 심각하게 확산된 데는 품팔이를 위한 노동자들의 이동 난민 그리고 생계를 위해 매춘밖에 달리 방법이 없는 여성 등 사회적 불안 탓도 있지만 정부의 에이즈에 대한 안일한 대처와 에이즈에 대한 인식 부족 및 문화적 요인도 한 몫 했다. ..

아프리카 경제위원회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아프리카 경제위원회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약칭 ECA이다. 유엔 경제사회 이사회의 하부기구의 하나로서, 1958년 4월 29일의 유엔 경제사회 이사회 결의 671A에 의해 설립된 아프리카 지역경제 위원회이다.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개발, 경제협력의 촉진을 목적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사회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거나 이에 대한 권고를 실시하는 등의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2001년 현재, 아프리카의 유엔 가맹국인 53개국이 가맹하고 있다. 본부는 이디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Adis Ababa)에 있으며 약 70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총회, 각종 대신 회의, 기술적 준비 전체 위원회, 전문 분야별 보조 기관 외에 아프리카 경제 개발 계획 연구소, 아프..